[사회·정치·경제]

국사 정리해 놓은 것.

kipacti 2011. 1. 11. 10:31

전문연구요원 시험 준비하면서 정리했던 것 방출.

 

Excel 파일 국사_정리.xlsx


옆쪽 드레그가 어려워서 각 sheet별로도 따로 포스팅 합니다.

 

구석기~연맹체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청동기~철기 시대 (고조선) 철기 시대 (고조선) 고조선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마한 진한 변한   삼국 시대 고구려 태조왕 백제 고이왕 신라 내물왕
  약 70만년 전~BC 8000년 BC 8000년~BC 2000년 BC 2000년~ BC 500 ~ BC 2333 ~ BC 108   ~ 494 BC 37 ~     ~4~6세기         1세기 후반~2세기 3세기 중반 4세기 후반
대외 상황     중국: 연나라 -> 전국 시대(기원전4세기) -> 진, 한 교체기(기원전2세기, 위만) -> 한 무제의 고조선 침략(BC 109) Bitmap         진(기원전 2세기) -> 연맹체   중국: 한 -> 위진 남북조 시대(위촉오) -> 수 -> 당
발달 및 교류       중국 전국시대 혼란기에 유이민들이 전래(근거-널무덤)
중국 화폐 출토,
한자 사용
우리 민족의 전통, 문화의 정신적 지주
기자 조선(중국과 관련, 받아들여지지 않음)
위만 조선(BC 194)
고구려, 백제의 건국 세력
3세기 말 선비족의 침략 후 쇠퇴 -> 고구려 문자왕(494) 때 편입.
부여의 주몽 건국(BC 37) 부여족의 한갈래   마한 -> 목지국 -> 백제국 -> 백제 진한 -> 사로국 -> 신라 변한 -> 구야국 -> 가야 연맹   철기 문화 -> 우세한 집단의 정복활동 ->영토 확장   BC 18~ 북방 유이민 + 한강 토착민 BC 57~ 토착 세력이 유이민 흡수, 통합
경제 뗀석기, 뼈도구 -> 채집, 사냥(수렵), 어로 간석기(돌낫, 갈돌, 갈판) -> 식량 생산, 곡식을 갈아 음식(농업), 토기 제작(식량 저장): 농경, 목축의 시작 농경의 발달 -> 잉여 생산물 철제 농기구 사용 -> 농업 발달(조, 피, 수수, 보리, 콩, 일부 벼농사)
간석기의 다양화(
반달 돌칼)
농경, 철제의 본격적 수용
동방의 예, 남방의 진 -
중계 무역 - 중국
농경, 목축(하호가 생산담당)
말, 주옥, 모피
약탈 경제(옥저 정복) 어물, 소금, 농사 농경, 어로, 명주, 삼베
특산물: 단궁, 과하마, 반어피
벼농사 발달, 저수지 축조, 철(변한)     부여 유이민 + 압록강 토착민    
주거
(위치)
떠돌아 다니며 무리생활(동굴, 강가에 막집) 강가나 바닷가에 움집(정착 생활, 씨족 중심의 부족사회)   배산임수 지역(집단 취락), 움집 -> 지상 가옥, 주춧돌(초석) 사용, 화덕은 벽쪽 요령 지방과 대동강(평양) 유역 만주 길림시, 송화(쑹화) 강 유역 압록강 지류(동가강 유역) 졸본(환인) 지방 -> 압록강 가의 국내성 함경도 및 강원도 북부의 동해안 경기, 충청, 전라도 (천안, 익산, 나주) 대구, 경주 김해, 마산     졸본성 -> 국내성 하남 위례성 -> 한강 유역 경상도 지역
사회 무리 사회(큰 사냥감을 찾아 이동),
지도자 중심 평등한 공동체
부족 사회(혈연 바탕, 점차 족외혼): 폐쇄적 독립사회, 평등 사회(모계 사회) 청동기 사용(비파형 동검) -> 사유 재산, 계급 발생(족장 출현) -> 고인돌
전문 장인 출현(청동기 제작)
남녀 역할 분화(여성: 집안일, 남성: 농경, 전쟁), 사유 재산제, 계급 분화, 빈부 격차 -> 군장의 등장 -> 정복 활동 -> 연맹 국가 풍백, 우사, 운사 등등 계급
사유 재산제, 계급 사회
부왕, 준왕/(상, 대부, 장군) -> 위만
-> 멸망(한 군현)

한 군현 설치(낙랑, 진번, 임둔, 현도군) (-> 고구려에 의해 소멸(313))
관리: 마가, 우가, 저가, 구가, 대사자, 사자
행정구역: 사출도

5부족 연맹체,
수해나 한해 -> 왕 책임
순장, 흰옷, 은력 사용, 형사취수, 일부다처제
상가, 고추가… (상가, 대로, 패자, 고추가, 주부, 우태, 승, 사자, 조의, 선인)

서옥제(데릴사위제)
읍군, 삼로

민며느리제, 가족 공동 무덤(골장제, 세골장, 두벌묻기)
읍군, 삼로

족외혼,
책화
귀틀집
저수지 관리권: 신지, 견지/ 읍차, 부례

천군(소도: 신성지역, 신구 문화의 완충지, 제정분리)
  중앙 집권 국가
(국왕 중심 일원적 통치 체제),
부자 상속, 군대 파견

중국에 대항하며 성장
계루부 고씨의 왕위 세습 (5부 체제)
옥저 정복,
낙랑 공격
관제 정비(6좌평 16관등제), 한 군현과 항쟁, 한강 차지, 율령 반포, 관복 제정 김씨의 왕위 세습(마립간), 고구려의 도움으로 왜구 격퇴(광개토대왕릉비, 경주의 호우총-호우명 그릇)
진한 지역
차지
전진(북중국)과 수교
사상
(신앙, 법)
- 원시 신앙: 애니미즘, 샤머니즘, 토테미즘, 영혼 불멸 사상, 조상 숭배 - 천신, 선민사상: 스스로 하늘의 자손이라 믿고 약한 부족을 통합
거석 숭배
제정 분리(소도)
민본주의
토테미즘, 샤머니즘, 제정일치

8조의 법(살인 -> 사형; 상해 -> 곡물; 도적 -> 노비, 배상; 여자의 정절)
4조목: 살인 -> 사형; 1책 12법; 여자의 정절, 간음한 자, 투기가 심한 부인 -> 사형)

영고(12월), 우제점법
동맹(10월), 점복, 1책 12법 등 부여와 비슷한 법

제가회의
  무천(10월) 수릿날(단오,5월), 계절제(10월)   불교 수용, 율령 반포      
예술 석회암, 동물의 뼈, 뿔 등을 이용한 조각(주술적 의미) 여러 토기들, 조개껍대기 가면
원시적 수공업(가락바퀴, 뼈바늘)
청동 제품들(동검, 거울), 고인돌, 토기 청동 제품의 의기화(의식용), 종교 정치적
토 제품, 청동 제품, 바위그림
  구릉, 넓은 못 (동이 지역 가운데 가장 넓고 평탄한 곳), 오곡, 과일 x, 체격이 크고 성품이 강직 용맹 근엄 후덕, 노략질 안함. 큰 산, 깊은 골짜기, 성품 흉악 급함, 노략질. 고구려에 복속. 대인을 뽑아 사자로 삼아 토착 지배층과 함께 통치 대군장이 없고 후, 읍군, 삼로 등의 관직. 산천을 중요시, 산과 내마다 구분 함부로 안들어감.(책화) 5월에 파종 후 귀신에 제사. 10월에 농사일이 끝나면 다시 제사. 제사 때 노래하고 춤추고 술마시며 밤낮 놈.          
기타 조개더미(패총): 조개껍대기의 석회질로 토기, 석기 등의 보존상태가 좋음     문헌: 삼국유사, 제왕운기, 세종실록지리지, 응제시주, 동국여지승람          
유물 뗀석기, 뼈도구 간석기(돌낫, 갈돌, 갈판), 가락바퀴, 뼈바늘, 토기(이른 민무늬, 빗살무늬, 덧무늬 등) 비파형 동검(-> 세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 잔무늬 거울), 고인돌, 반달 돌칼(추수용), 바퀴날 도끼, 홈자귀, 토기(미송리식, 민무늬, 붉은 간) 세형 동검, 잔무늬 거울, 거푸집, 토기(덧띠, 검은 간)                          
무덤 양식 - 토묘(흙을 파고 관없이 매장) 고인돌, 돌무지무덤, 돌널무덤(-> 널무덤, 독무덤) 널무덤, 독무덤                            

 

 

삼국 종합 정리

  고구려 백제 신라 중국
1~2세기 - 태조왕: 옥저 정복, 계루부 왕위 세습
- 고국천왕: 부자 상속, 진대법, 5부 행정구역 정리
   
3세기 - 동천왕: 서안평 공격(실패)->위축, 오와 통교 - 고이왕: 한강 유역 차지, 6좌평, 16관등제, 율령 반포, 관복 제정   5호 16국
4세기 - 미천왕: 서안평 점령, 낙랑 복속
- 고국원왕: 백제에 전사
- 소수림왕: 전진과 수교, 불교 수용, 율령 반포, 태학 설립
- 광개토왕: 백제 공격, 신라 도움, 가야까지 영향
- 근초고왕: 마한 차지, 부자 세습, 고구려 공격, 고대 상업 세력 형성(요서,산둥,왜), 동진,왜와 통교
- 침류왕: 불교 전래
- 내물왕: 전진 수교, 김씨 왕위 세습(마립간), 고구려의 도움(왜구격퇴): 광개토대왕릉비, 경주 호우명 그릇 전진(북중), 동진(남중)
5세기 - 장수왕: 평양천도(남하정책, 중원 고구려비), 한강 확보, 남북조와 교류, 경당 설립
- 문자왕: 부여 복속, 최대 영토
- 비유왕: 나제 동맹
- 문주왕: 웅진 천도
- 동성왕: 탐라국 복속, 결혼 동맹
- 눌지왕: 부자 세습, 불교 전래(고구려 묵호자), 나제 동맹
- 소지왕: 6부 행정, 시장, 우역, 결혼 동맹
남북조
6세기   - 무령왕: 22담로, 양나라와 수교
- 성왕: 사비 천도, 불교 장려(일본에 전파), 22부 설치, 나제 동맹 결렬(진흥왕)
- 지증왕: 신라 국호, 왕 칭호, 우경,동시전, 우산국 정벌, 순장 금지, 주군 정비, 군주 파견
- 법흥왕: 율령 반포(17관등), 불교공인(이차돈), 골품제 정비, 상대등 제도, 병부설치, 금과가야 복속
- 진흥왕: 화랑도 공인, 한강 확보, 대가야 점령, 원산만(함경도) 진출, 국사(거칠부) 편찬, 당항성(중국과 교류)
7세기 - 영양왕: 살수대첩(을지문덕, 수 양제의 침입)
- 보장왕: 평양성 함락
- 의자왕: 사비성 함락(660) - 문무왕(676): 삼국통일(대동강~원산만)
         
  발해 통일 신라  
7세기 - 고구려 멸망(668)
- 대조영: 진 건국 -> 발해
- 무열왕: 백제 멸망, 진골 왕위 세습
- 문무왕: 고구려 멸망, 당군 축출
- 신문왕: 14부 완비, 관료전 지급, 녹읍 폐지, 9주5소경, 9서당 10정 정비, 귀족 숙청, 만파식적 제작, 국학
 
8세기 - 무왕: 당과 대립, 산둥 반도 공격
- 문왕: 당과 친선, 중앙 관제 정비, 상경 천도, 주자감 건립
- 성덕왕: 정전(백성) 지급
- 경덕왕: 녹읍 부활, (국학->)태학
- 선덕왕: 내물왕계 즉위(하대 시작)
- 원성왕: 독서삼품과 시행
 
9세기 - 선왕: 최대 영토, 해동성국, 말갈족 복속, 요동 진출, 지방 행정 구역 정비 - 진성여왕: 최치원 시무 10조  
10세기 - 애왕: 거란에 멸망 - 후백제 건국(900)
- 후고구려 건국(901)
- 고려 건국(918)
 

 

삼국 시대~고려

  삼국 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고구려           백제     신라 틍일 신라   발해(698~926)     후삼국 시대(900~936)   고려  
    태조왕 고이왕 내물왕     태조왕 고국천왕 동천왕 미천왕 고국원왕 소수림왕 광개토 대왕 장수왕 문자왕 영양왕 영류왕 보장왕 발해 건국   고이왕 근초고왕 침류왕 비유왕 개로왕 문주왕 동성왕 무령왕 성왕 의자왕   내물왕 눌지왕 소지왕 지증왕 법흥왕 진흥왕 진평왕 선덕여왕 진덕여왕 무열왕 문무왕 신문왕 성덕왕 경덕왕 혜공왕 선덕왕 원성왕 헌덕왕 흥덕왕 문성왕 진성여왕 효공왕 멸망 전체적으로     대조영(고왕) 무왕(대무예) 문왕(대흠무) 선왕(대인수) 멸망 전체적으로     후백제 후고구려(마진 -> 태봉) 고려 고려사회 태조(왕건) 혜종 정종 광종 과거, 음서제도 경종 성종 통치 조직 군사 조직 목종 현종 덕종 문종 선종 숙종 예종 인종 의종 명종 신종 희종 고종 원종 충렬왕 충선왕 충목왕 원(몽골) 간섭기 권문세족 공민왕 우왕 신진 사대부 창왕 공양왕 멸망
    1세기 후반~2세기 3세기 중반 4세기 후반     1세기 후반~2세기 2세기 후반 3세기 중반 4세기 초반 4세기 초반 4세기 후반 5세기 초반 5세기 5세기 후반 600 624 645 7세기 말   3세기 중반 4세기 후반 4세기 후반 5세기 전반 5세기 후반 5세기 후반 5세기 후반~6세기 초 6세기 초반 6세기 중반 7세기   4세기 후반 5세기 전반 5세기 후반 6세기 초반 6세기 전반 6세기 후반 7세기 초반 7세기 중엽 7세기 중엽 654~661 661~681 681~692 702~737 742~765 771 하대 시작 788 821 828 838 888 900 935       698~719 719~737 737~793 818~830 926       900~936 901~918 918~ 태혜정광경성/현덕숙예인의/명신희고원/충렬선목/공우창공 936~943   945~949 949~975   975~981 981~997 - - 997~1009 1009~1031 1031~1034 1046~1083   1095~1105 1105~1122 1122~1146 1146~1170 1170~1197 무신정권 1259~1274 1274~1308         ~ 1351~1374 1374~1388 ~     1392
대외 상황 중국: 한 -> 위진 남북조 시대 -> 수 -> 당       5호 16국 시대 전진(북중), 동진(남중) 남북조             전진(북중),
동진(남중)
남북조         전진(북중),
동진(남중)
남북조                                 (668) 당의 안동도호부에 저항         거란 건국(916)     5대10국(907~960), 만주 서부 거란(발해 침공 926) -> 송(960~1127), 여진족(금, 1115~) -> 원(몽골, 1206~1368) - 귀족: 문벌 귀족- 음서, 과전, 공음전(자녀에게 세습), 왕실과 혼인

-
중류층
: 서리, 남반, 향리, 군반, 역리
세습적, 호족 ->
향리, 실지배층
-> 과거를 통해 몇몇은 귀족대열에 합류

-
양민
: 농민, 상공업, 백정
특수 구역:
향, 부곡(농업),
(수공업, 광업): 세금 부담이 큼.

-
천민
: 사노비, 공노비
사노비: 사원에 예속, 주인집에 살면서 잡일,
외거하면서 신공을 바침, 경제적으로는 독립, 양인으로 상승 가능
.
일천즉천
(부모 중 한쪽이 노비 -> 노비)
천자수모법
(어머니 쪽 소유주에 귀속)

대가족 단위

여성의 지위가 비교적 높음


과전(전시과): 세 1/10, 반납
사전(공음전, 공신전): 세 1/2, 세습


깊이갈이(심경법, 우경), 시비법(가축 배설물 + 풀, 갈대 태우거나), 윤작법(2년3작: 보리, 콩, 조 돌려짓기), 이앙법, 농상집요(이암이 원의 책 소개)


시전, 행상
화폐: 곡물이나 삼베가 대신
고리대업(장생고) 성행
발해 <- 거란에게 정복 경제

! 농민 보호책
: 잡역 금지, 면재법(재해), 자모 정식법(법으로 이자율 제한), 겸병 금지

!
향도
(불교의 신앙조직 -> 마을 공동체)

! 왕의 적전 경작, 개간 장려
  송(960~1127), 요(거란) 말갈(발해) -> 여진족(금, 1115~1234)   원(몽골, 1206~1368): 금 공격, 거란족 복속; 요 -> 대요수국(1216 거란); 금 쇠퇴 -> 동진국(1217 여진) 명(1368~1644) -> 청
발달 및 교류 철기 문화 -> 우세한 집단의 정복활동 부여 유이민 + 압록강 토착민 -> 계루부 고씨의 왕위 세습 (5부 체제) -> 옥저 정복, 낙랑 공격 북방(부여) 유이민 + 한강 토착민 토착 세력이 유이민 흡수, 통합 연맹체: 금관가야(3세기경) -> 고구려군의 공격(4세기 말 5세기 초) -> 대가야(5세기 초) -> 금관가야 정복(법흥왕, 532) -> 대가야 병합(진흥왕, 562)   부여 유이민 + 압록강 토착민 부족적 전통 5부 -> 행정적 성격의 5부제로 개편 서안평 공격(실패) -> 위축 서안평 점령(311), 낙랑군, 대방군 축출(313) 백제 근초고왕 침입 -> 왕 전사   연호: 영락   부여 복속(494) 살수대첩(을지문덕 612):수 양제의 침입   안시성 싸움(양만춘 645)     북방 유이민 + 한강 토착민 고구려 공격(고국원왕 전사(371)), 가야 공격     장수왕에 의해 전사 왕권 약화     국호: 남부여     토착 세력이 유이민 흡수, 통합     국호: 사로국 -> 신라,
왕호:
마립간 -> 왕
연호: 건원 연호: 개국, 대창
백제와 연맹 ->
한강 상류 진출(단양 적성비), 한강 하류까지 확보(북한산 순수비, 신주)
      무열계 김씨 집권(성골 -> 진골) 고구려 멸망(668) -> 삼국 통일(676), 왕권 전제화 김흠돌(장인) 모역 사건 -> 귀족 숙청 -> 왕권 전제화       혜공왕이 죽고 상대등 김양상이 즉위 내물계 김씨 집권 무열계의 몰락                 국호:진->발해(713), 연호:천통
고구려 유민 +
말갈 집단
연호:인안 연호:대흥 연호:건흥,
해동성국
거란에게 멸망       견훤 궁예(신라 왕족 후예, 도적 집단으로) 왕건(송악 지방 호족, 예성강 하구에서 중국과 해상 무역) 신라 병합(935): 정통성 확보 -> 후백제 멸망(936) ! 조세(1/10)
공납(부담), 역

호적작성
! 벽란도(무역항, 대외 무역) 과거제도
광종 때 쌍기의 건의
종류:
문과: 제술업(한문학), 명경업(유교 경전)
잡업
: 회계, 법률, 지리 등 기술관
승과
: 교종시, 선종시
무과: 무신(실시되지 못함)

양인 이상 응시 가능, 주로 귀족, 향리들이 응시. 백정 농민은 주로 잡과 응시.

3년주기(
식년시), 실제 격년시
유행
과거 시험관(
지공거
): 문생과 결속.

절차:
1단계(
향시
): 상공(개경), 향공(지방), 빈공(외국인) 구분
2단계(
국자감시
, 사마시, 진사시): 향시 합격자, 국자감생, 12공도 생도, 현직 관리 -> 진사(합격)
3단계(
예부시, 동당감시): 처음 국자감생, 12공도 응시 가능. 중기 이후 국자감시를 거친
진사만 응시.

음서제도
공신, 종실 자손, 5품 이상 고위 관료의 자손 등이 과거를 거치지 않고 관료 등극.
공음전귀족적 특성.
  친송, 북진정책 -> 1차 요나라(거란)의 침입(993). -> 서희: 외교, 강동6주 확보, 거란과 교류 약속. 중앙(2성6부)
중서문하성: 최고관서, 문하시중(장관)이 국정 총괄. (재신, 낭사)
중추원: 국정, (
추밀
, 승선)
재신+추밀: 핵심적 위치


도병마사: 국방 임시 회의 기구 -> 충렬왕 때 도평의사사(도당)로 개편. 최고 정무 기구.
식목도감: 재신, 추밀이 모여 법제정, 규정심의. 임시 회의 기구
.

상서성, 6부, 어사대(감찰), 삼사(곡식 출납 회계), 한림원(외교, 왕명 문서 작성), 춘추관(실록, 국사), 대간(낭사+어사대: 직위는 낮지만 견제 균형 역할)

전체적으로 세분화 전문화


지방
(12목 -> 4도호부8목(현종), 5도 양계)
5도: 안찰사 파
견, 상설x, 향리(실무 행정)
양계: 북계, 동계: 북방 군사 특수 지역, 병마사 파견
, 진 설치
4도호부8목
: 행정, 군사적 방비의 중심지 역할
3경
: 개경, 서경, 동경(경주)->남경(한양)

말단: 촌, 향 소 부곡
중앙군
2군 6위: 국왕 친위 부대(2군), 수도 경비, 국경 방어(6위), 상장군, 대장군 등의 무관, 직업 군인(군인전) -> 토목 공사 동원, 군인전 지급 미흡 -> 몰락
중방: 합좌 기관
, 군사문제 논의 -> 무신난 이후 정치적 역할.

지방군

주현군: 5도에 배치.
주진군
: 국경지대(양계) 배치.

특수군

광군: 정종 때(947) 거란족 대비. -> 주현군 모체.
별무반: 숙종 때(1095) 여진족 정벌
위해.
삼별초: 최우 집권 시(1219) 편성, 사병화 -> 개경 환도 후 몽골에 항쟁
.
연호군: 양민+천민. 혼성부대
  거란 2차 침입(1010): 친송, 교류x. 강조의 정변(목종 폐위) 계기. 강동 6주 반환 요구. -> 양규의 선전(퇴로 차단.) -> 강화(친조 약속)

거란 3차 침입(1018): 고려의 친조 약속 불이행, 강동 6주 반환 요구 거부 -> 침입 -> 귀주대첩(강감찬, 1019) -> 강화 후 철수

나성(개경) 축조
! 일본, 아라비아와 무역     화폐: 삼한통보, 해동통보, 해동중보, 활구(은병) -> 유통한계 금(여진) 건국(1115) -> 거란 정복 -> 고려에 군신 관계 요구.(이자겸이 정권 유지 목적으로 수락)     정중부의 집권(1170~1179):
중방
중심으로 권력 행사, 사병 기르며 권력 쟁탈전. 토지, 노비 탈취.
김보당의 난(1173), 조위총의 난(1174), 승려의 난: 의종 복위 운동.

경대승의 집권(1179~1183):

정중부 제거,
사병 집단 도방
설치.
전주 관노의 난(천민, 노비)


이의민의 집권(1183~1196):
김보당의 난 때 의종 제거. 천민 출신,
중방
중심.

최충헌의 집권(1196~1219):

봉사(시무)10조
제시:혼란 극복: 토지 겸병,승려 고리대업 금지, 조세제도 개혁
권력 유지에 치중: 사회 개혁 흐지부지, 사병 양성,
도방 부활, 교정도감 설치: 반대 세력 제거, 최고 집정부, 조계종
후원.
만적의 난(천민, 노비: 정권 탈취 시도)


최우(최이)의 집권(1219~1249):
정방 설치: 인사권 장악, 교정도감, 서방
설치: 숙위 기구, 고문역할
삼별초 조직: 사병, 몽골과 항쟁
.(자주성)
대몽 항쟁: 강화도 천도, 팔만대장경 조판
민란들
전주 관노의 난(천민, 노비)

김사미, 효심의 난
(양민, 명종 때 + 1193): 신라 부흥 표방

만적의 난(최충헌의 사노: 정권 탈취 시도, 천민 없는 (공경장상?) 추구)


망이, 망소이의 난(양민): 신분 해방 -> 향 소 부곡 해방.

최광수의 난(1217): 고구려 부흥 표방.
이연년의 난(1237): 백제 부흥 표방.
몽골의 침입
최우(최이)의 집권시기(1219~1249)
여몽협약(1219): 거란족 토벌 구실, 공물 강요.

1차 침입(1231): 몽골 사신 피살 -> 공물.

2차 침입(1232): 무리한 조공 요구, 간섭 -> 강화도 천도, 장기항전 태세 -> 처인성 전투(중 김윤후), 일반 민중의 대항.
-> 몽골군 퇴각.

국토의 황폐화, 문화재 소실, 최씨 정권 붕괴, 몽골과 강화.

정동행성(일본 원정):
고려에 선박, 식량, 무기, 군대, 선원 징발
  전민변정도감 설치: 권문세족 농장 혁파

홍자번의 편민 18사
건의: 재정난, 민생 문제

동녕부, 탐라총관부 수복
사림원 설치: 정방 폐지 시도, 왕명 출납

의염창
: 소금 전매제(각염법)
전농사 설치: 농장, 노비 조사
정치도감 설치: 권문세족 농장 혁파
양전 사업,
녹과전 지급
쌍성총관부(1258~1356): 화주(영흥), 철령 이북 -> 공민왕 때 수복(1356)
동녕부(1270~1290)
: 자비령 이북, 서경(평양) -> 충렬왕 때 수복.
탐라총관부(1273~1301): 삼별초 항쟁 진압 후 제주도, 목마장 경영 -> 충렬왕 때 수복


삼별초 항쟁(1270~1273): 배중손의 지휘아래 온을 왕으로 추대, 진도에서 장기항전 -> 제주도 -> 평정.
관제 개편: 부마국(속국보단 나은)
관제 격하
: 폐하->전하, 태자->세자, 조,종->충~왕 등
중서문하성+상서성 ->
첨의부

6부 ->
4사 통합.

내정간섭기구
정동행성: 개경, 일본 원정 준비.
순마소
: 반원 인사 색출, 개경 치안
만호부
: 군사적
다루가치
: 감찰관, 내정 간섭

결혼도감
: 고려의 처녀, 공녀 공출.
응방
: 매 징발, 특산물 징발

자주성 손상, 통치 질서 와해, 몽골풍(변발, 몽골식 복장, 몽골어)
고려양(몽골에 전해진 고려 풍습)

충선왕 때 원나라에 학문 연구소
만권당
설치: 학자간 학문 교류


홍건적(한족 농민 반란군), 왜구의 침입

1차(공민왕, 1359): 이승경, 이방실이 격퇴
2차(공민왕, 1361): 정세운, 안우, 이방실,
이성계 등이 격퇴

왜구의 고려 침입: 격퇴위해
신흥 무인 세력 성장
(최영, 최무선, 이성계, 정지, 박위)
화약 제조법 발달(최무선): 화통도감
무신 정권 붕괴 후 권문세족 대두

거대한 농장 소유
몰락한 농민을 노비로~
주로 친원파(몽골 귀족과 혼인, 몽골어 능숙, 친원적 전공)
과거보다 음서(유교적 소양이 약함, 불교를 옹호하거나 온건하게 비판), 보수적, 도평의사사, 첨의부, 밀직사 등의 고위 관직 독점.

위화도 회군(1388)이후 농장 상실 -> 세력 약화 -> 사대부에 의해 조선 건국
홍건적, 왜구의 침입 위화도 회군(1388) 무신 집권기 등장, 공민왕 때 세력화

하급관리나
향리
출신(중소 지주 출신, 권문세족과 농장 충돌)
원의 관섭과 측근 정치
-> 공민왕의 개혁 때 성장
성리학을 수용, 불교(권문세족) 폐단 시정, 친명적
과거
를 통해 정계 진출

관직으로의 진출 제한, 과전 녹봉 지급을 제대로 못받음.

성리학 사상
: 일상생활과 관계 된 실천적 기능 강조
소학, 주자가례 중시(
성리학적 유교 의식), 대의명분
강조
가묘
(개인 사당) 설치

신흥 무인 세력(이성계)과 제휴 -> 조선 건국
     
경제 퇴비x(땅을 묵혔다가(2~3년) 농사), 철제 농기구(4~5세기), 6세기:쟁기, 호미, 괭이, 우경
고리대
농경, 토기제작, 수공업, , 해상 교통(중계 무역: 왜-낙랑)     춘대추납(진대법)                                                   시장, 우역 개설 우경, 동시전(시장 관리 감독)             ! 향, 부곡 설치(반항지역에 특수한 역) 관료전 지급, 녹읍 폐지(왕권 강화) 정전(농민) 지급(722 왕권 강화) 녹읍 부활(왕권 약화), 민정문서(수취체제 정비)     사원 면세전 증가   동시(동시전) + 서시, 남시         동시(동시전) + 서시, 남시
견,마직물, 금은세공, 나전칠기
고리대, 밭농사 중심
                          역분전(개국 공신)
취민유도(조세 1/10)

흑창(춘대추납, <- 고구려 진대법)
제위보(963, 빈민 구제 기금)
황무지 개간 규정, 수리시설 개선, 시비법 발달
시정 전시과(인품 반영, 수조권만 줌) (흑창 ->)의창, 상평창(물가 안정)
무기 -> 농기구
화폐:
건원중보(최초의 철전)
개정 전시과(기준 마련) ! 문벌귀족: 점점 토지 세습(공음전, 사전) 경정 전시과(현직 관료에게만, 무신 차별 시정)
별사전(승려) 지급
    이자겸의 난(1126): 권력 장악 -> 척준경 -> 탄핵 -> 이자겸 세력 몰락.: 문벌 귀족의 폐단.
-> 왕권 위축
->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1135): 왕권 강화 목적
, 칭제건원, 금국정벌(북진 정책), 대위국: 묘청의 난
->
김부식과 대립. (보수적 사대적 유교 사상. 금에 굴복.) -> 진압. 서경 지위 하락(분사제도 폐지)


-> 숭문천무 현상 ->
무신정변
  숭문천무, 의종의 실정(향락), 무신의 경제권 침해(군인전) -> 무신정변(1170) 녹과전(관리의 생계를 위해) 과전법(권문세족 토지 몰수 -> 신진사대부)
목화(문익점)
경시서(시장, 물가 관리. 상행위 감독. 실패.)     과전법 제정(1391)
영토 정복, 통합 -> 영토 확장 졸본성 -> 국내성 하남 위례성 -> 한강 유역 진한 지역 차지 낙동강 유역   졸본성 -> 국내성       전연과 대립(요동), 선비족 모용씨 침입   요동지역 확보, 신라지역 왜 격퇴, 남부까지 영향 평양 천도(남하 정책), 흥안령 장악 최대 영토 살수 대첩 천리장성 축조 평양성 함락(668)     하남 위례성 -> 한강 유역 전라도(마한) 장악(369)
요서지방 진출, 산둥지방, 일본 규슈 지방 진출
      웅진(공주) 천도(475) 탐라국 복속   사비(부여) 천도(538)
신라와 연합 -> 고구려 -> 신라에게 한강유역 빼앗김.
사비성 함락(660)   진한 지역 차지     우산국(울릉도) 정벌 금관가야 정복(532) 대가야 점령(창녕비),
원산만 진출(함경도, 황초령비, 마운령비)
        대동강~원산만 삼국통일(676) 경주, 5소경 중심   불국사, 석굴암 축조, 신종 주조                   묵혔다가 농사     길림성의 돈화시 동모산 기슭 북만주 일대 장악 중경 -> 상경 천도 말갈족 복속, 요동 지역 진출         전라도 지방 완산주(전주) 도읍 송악(개성=개경) 도읍 -> 철원, 강원도, 경기 일대 송악(왕건의 세력 근거지)     강동 6주 설치(서희): 압록강까지 영토 확장. 한인전(6품이하 하급 관료의 자제)
공해전(중앙과 지방의 각 관청)
            친원파 숙청
정동행성 폐지

관제 복구
몽골풍 폐지
쌍성총관부 회복: 철령 이북 수복
요동 수복 정책

왕권 강화책
정방 폐지
-> 신진 사대부 등장
성균관: 유학교육 강화, 과거제 정비

전민변정도감 설치: 승려 신돈 등용, 권문세족 농장 혁파, 재정 확대

개혁 실패:
원나라의 간섭, 권문세족들의 반발(신돈 제거, 공민왕 시해), 신진 사대부의 세력 미약
      쓰시마 섬 토벌(박위, 1389)
사회 중앙 집권 국가 (국왕 중심 일원적 통치 체제), 부자 상속, 군대 파견
조세, 공물, 역


중국에 대항하며 성장
지배층: 형사취수제, 서옥제(데릴사위제) 관제 정비(6좌평 16관등제), 한 군현과 항쟁, 한강 차지, 율령 반포, 관복 제정 김씨의 왕위 세습(마립간), 고구려의 도움으로 왜구 격퇴(광개토대왕릉비, 경주의 호우총-호우명 그릇)     계루부 고씨의 왕위 세습 (5부 체제)
옥저 정복,
낙랑 공격
형제 상속 -> 부자 상속
족장 ->
귀족 편입
          광개토 대왕릉비, 중원 고구려비(백제 수도 한성 함락)       연개소문이 죽은 후 지배층의 권력 쟁탈전     관제 정비(6좌평 16관등제), 한 군현과 항쟁, 한강 차지, 율령 반포, 관복 제정 형제 상속 -> 부자 상속           22담로 설치(왕족 파견) 5부5방 지방제, 22부 중앙관서 정치 질서의 문란, 지배층의 향락   김씨의 왕위 세습(마립간), 고구려의 도움으로 왜구 격퇴(광개토대왕릉비, 경주의 호우총-호우명 그릇)   6부의 행정 구역 주군 정비, 군주 파견 병부설치, 상대등 제도, 골품 제도 정비, 율령 반포(17관등 및 백관의 공복 제정) 화랑도 공인(진골 출신 화랑 + 6두품이하 낭도)     관제 정비 직계 상속,
집사부 시중(중시)의 세력 강화, 상대등 세력 억제
마전, 적성 전투(675),
매소성 전투(675),
기벌포 전투(676)
중앙 14부, 지방 9주5소경(군주->총관), 군사 9서당(중앙, 민족 융합 정책) 10정(지방)

!
상수리 제도(호족 상경, -> 기인 제도(고려))
귀족 세력 약화, 6두품 부각(왕권 결탁, 집사부 사랑직: 왕의 조언자) 중시 -> 시중으로 격상

귀족: 향락, 사치 -> 농민 부담
귀족들간 권력 다툼,
지방 통제력 약화
힘이 있으면 왕이 된다.   김헌창의 난(822),
김범문의 난(825)
사치 금지령(834)
바다 가운데 섬에서 소, 말, 돼지를 길러 필요할 때에 활로 쏘아서 잡아먹었다.
  골품제도 모순 -> 자연재해 + 농민 부담 증가 -> 민란
원종과 애노의 난(889)
호족 세력(성주, 장군이라 칭하며, 지방 행정, 군사 장악, 경제 지배)
장보고 이후의
해상 세력
(금성, 송악 등지)
6두품 세력
      고구려 멸망 왕족: 대씨, 귀족: 고씨
고구려 계승 의식(고씨, 일본에 보낸 국서에 고려, 고려국왕이라 칭함.)
산둥반도 공격(장문휴의 수군),
요서지역에서 격돌
  지방 15부62주 귀족들의 권력 투쟁
유민들이 고려로 흡수
    호족, 6두품 중심의 개혁 신라에 적대적, 농민 수취, 호족 포섭 실패 광평성 등 여러 관서, 9관등제

지나친 조세, 전제정치
호족 세력의 지배층화 -> 문벌 귀족
유불 문화 융합
능력 본위의 개방적 사회
고구려 계승(고려): 북진정책
호족과 정략결혼, 사성정책(왕씨성 부여)
기인제도(향리 자제, <- 상수리(신라)), 사심관 제도(중앙의 고관 - 지역연대 책임)
태조의 정략 결혼 폐단(왕위 다툼) 서경 천도 계획(실패)

광군사 설치(947, 거란 침입 대비 30만명)
노비안검법(혼란기 노비 해방 -> 국가 재정 기반)
과거 제도(958, 신구 세력 교체): 쌍기의 건의
백관의 공복 제정
칭제 건원
(황제, 독자적 연호)
주현 공부법(주현 단위 공물 징수)

신구 세력 교체, 왕권 안정, 국가 기반 확립
  유교 정치 실현,
중앙 집권적 국가 체제 확립
(
문치주의에 입각한 문벌 귀족 사회로
~)

노비환천법, 연등회, 팔관회 폐지
천리장성 축조(1029, 덕종~정종) 녹봉 제도 완비(현직 관리에게 쌀, 보리 지급)   여진과의 1차 접촉 패 -> 별무반 편성,
윤관의 별무반 북침 ->
9성 축조(1107) -> 9성 환부(거란과 대치, 수비 곤란): 여진족의 조공
    최영, 이성계 개혁 방향 갈등     사대부 분열
급진 개혁파: 이성계, 정도전 -> 관학파, 훈구파(15세기)
온건 개혁파: 이색, 정몽주 등 사대부 대다수, 고려 틀 안 점진적 개혁 추진. -> 사학파, 사림파(16세기)
사상
(신앙, 법, 역사)
불교 수용, 율령 반포
시조신, 샤머니즘, 점술
도교 발달(불로장생, 신선, 산천숭배), 풍수지리설
제가회의(귀족 합의제) 정사암회의(귀족 합의제) 화백회의(귀족 합의제, 만장일치제)               율령 반포, 불교 공인, 태학 설립   경당 설립(사설 교육 기관)     도교 전래 불교 세력 누르기 위해 도교 장려       고흥 서기 편찬 불교 전래           불교 장려(일본에 전파)     ! 화백제도(집단의 단결) 불교 전래(고구려 묵호자)   순장 금지 불교 공인(이차돈 순교) 국사(거칠부) 편찬, 불교 장려
승려 혜랑을 맞아 국통으로 삼고 교단 조직
업설,
미륵불 신앙
세속5계(원광법사 -> 화랑도) 숭불 정책(분황사 건립)
선종(법랑)
설계두(골품제 모순 지적) -> 당으로(621)   화장법(호국적) 국학 설립(유학 교육), 유교 정치 이념, 화엄종 개창(의상), 설총의 화왕계(임금도 향락을 멀리하고 도덕적일 것)   국학 -> 태학(유학 교육) 선종(신행)   독서삼품과 설치(관리 채용) 도의: 중국의 선종 수입     삼대목 편찬, 최치원 시무10조(골품제 모순 지적?) 골품제 비판, 새로운 유교 정치 이념, 과거제도 제시
풍수지리설, 선종, 도교, 노장 사상 등 유행
  대승, 소승 불교(여러 종파), 귀족 불교, 토착신앙과 결합
통일 신라 명승(원효: 직접 전도,나무아미타불 정토종 아미타 신앙, 의상: 화엄 관음사상, 원측, 혜초)
    중국과 대등(연호 사용)
정당성(합의 기구)
  주자감(유학교육)   선종(실천적, 혁신적: 호족의 이념적 지주, 불교의식 권위 배격),
풍수지리설(지방의 중요성 -> 호족)
아들간 내분   독자적 통일, 유교 불교 중심 관습법
불교(연등회, 팔관회 강조(토착 신앙과 결합): 훈요10조)
      시무 28조(최승로, 왕의 명령으로 국정쇄신, 비판, 정책 건의) 수용. -> 유교 이념, 불교 규제(연등회, 팔관회 일시 폐지), 호족 세력 견제, 중앙 관제 정비, 군사제도 개편, 신분제도 확립, 문벌 귀족 사회 확립
봉사 2조(김심언)

국자감 정비(유교), 통치 기구 개편(당 송 모방(중추원, 삼사) + 도병마사, 식목도감 독자적 체계), 지방제도 정비(12목, 서경에 분사 -> 묘청 운동 때 폐지)
! 최충: 해동공자 칭호, 훈고학(유학) 7대 신록, 초조대장경
연등회, 팔관회 부활. 현화사 건립
  사학 12도 융성: 최충 문헌공도(9재학당)
풍수지리설: 한양 명당설(남경)
  서적포: 서적간행 국자감 -> 국학(유학 교육) 개칭, 7재 설치, 양현고 설치(경제기반, 장학재단), 청연각, 보문각 설치(도서관 겸 학문 연구소) 경사 6학(개경) 정비, 향교 중심 지방 교육 강화
풍수지리설(묘청의 서경 천도운동)
    안향: 성리학 소개, 섬학전 설치, 국학 -> 성균관 개칭, 문묘 신축(유교 진흥) 이제헌: 성리학 이해 심화   성리학 전파: 이색 -> 정몽주, 권근, 정도전    
외교       전진(북중국)과 수교         오와 수교(위촉오) -> 위 견제   전연과 대립(요동) 전진과 수교   남북조와 각각 교류, 두 세력을 조종   돌궐과 연합   나당 연합군에 의해 멸망       동진, 일본과 통교
왜와 친밀(칠지도)
  나제 동맹(장수왕의 남하 정책 대항) 위에 국서 보냄   결혼 동맹(493) 양나라와 수교   나당 연합군에 의해 멸망   전진(북중국)과 수교 나제 동맹(장수왕의 남하 정책 대항) 결혼 동맹(493)     당항성을 통해 중국과 직접 교류 수와 외교(원광 법사 -> 수 양제에게 걸사표)   친당 외교   당의 야욕:
계림 도독부(663, 경주),
웅진 도독부(664, 백제),
안동 도호부(668, 고구려)


고구려 부흥 운동 후원
소부리주 설치(671, 사비성)
            ! 일본 해적 장보고(청해진(완도) 설치) 청해진 해체(851)       신라방, 신라촌, 신라소, 신라관, 신라원 등이 당에 위치(무역 활발)       당과 대립(흑수부 말갈족),
돌궐, 일본과 연결
당관 친선, 신라와 관계 개선(신라와 상설 교통로 개설: 신라도) 당의 견재정책으로 신라와 경쟁 일본과 끝까지 우호관계 유지,
돌궐과 친교
발해관(당 산둥반도), 일본과 활발히 무역     중국과 외교, 오, 월, 거란, 일본 외교 사절   중국의 여러나라와 외교, 발해유민 포섭(926), 신라에 우호정책 북진정책, 거란에 대한 강경책     송과 통교(962), 거란(요) 견제     고려, 송, 거란 세력 균형.         기타! 신채호의 조선사연구초: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높이 평가. 자주성.       원의 간섭과 왕권 약화로 대부분의 개혁 실패      
예술   미륵보살 반가상     돌무지무덤 굴식 돌방무덤   돌무지무덤 굴식 돌방, 벽돌무덤(무령왕릉)   돌무지덧널무덤: 지상이나 지하에 시신과 껴묻거리를 넣은 나무덧널을 설치하고 그 위에 냇돌을 쌓은 다음에 흙으로 덮었다. 도굴이 어려워 많은 껴묻거리가 그대로 남아있다. 굴식 돌방무덤 화장법(호국적)     민정문서                   불교 중심, 귀족 중심   굴식 돌방무덤(고구려적)         ! 대장경 조판, 금속활자                 경원 이씨(대표적 문벌귀족, 이자겸)                        
유물 및 기타   광개토 대왕릉비 백제 금동 대향로, 사택지적비, 무령왕릉 지석                     광개토 대왕릉비                                             황룡사 9층 목탑   첨성대       만파식적(신성한 악기)   불국사, 석굴암, 무구정광대다라니경(목판 인쇄물), 다보탑                   ! 금동 미륵보살 반가상     이승휴(제왕운기), 유득공(발해고) 등이 연구                     의료 기관: 동서 대비원, 혜민국, 구제도감, 구급도감                     현화사 건립
초조대장경
  흥왕사 건립
속장경
      삼국사기(김부식, 1145): 현존하는 최고 역사서, 기전체,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 삼국부터 다룬 왕조 중심의 정사(신라 계승)     팔만대장경(재조대장경)
상정고금예문(금속활자)
  삼국유사(일연 1285): 고조선(자주적 사관), 기사본말체, 설화중심 야사
제왕운기(이승휴, 충렬왕 때): 단군 고조선(자주적), 중국사와 대등
동명왕편(이규보): 고구려 계승       직지심체요절(직지심경, 1377): 현존 세계 최고 금속 활자본        

 

조선(개요)

   
  건립 태조 (정종->)태종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예종->)성종 연산군 중종 인종 명종 선조 붕당정치 광해군 인조 효종 현종 숙종 경종 영조 정조 세도 정치 순조 헌종 철종 고종(대원군) 순종
    1392~1398 1400~1418 1418~1450     1455~1468 1469~1494 1498 1506   1545 1592   1609 1623 1654 1659 1674~   1724~ 1776~ 19세기 1801   1849~    
대외 상황 명의 철령위 설치 통보 -> 대립 명, 후금 성장   3포왜란(1510)   을묘왜변(1555) 서인,동인 -> 임진왜란(1592), 정유재란(1597) 16세기 중엽~선조:
신의겸(왕실 외척) 중심
서인
(개혁에 소극적) <->
김효원 중심
동인
(개혁에 적극적): 이조 전랑직의 대립

서인: 이이, 성혼의 문인: 백성 통치에 역점, 제도 개혁을 통한 부국안민

동인: 이황, 조식,서경덕(양명학): 자기 수양에 역점, 지배자의 도덕적 자기 절제, 신의겸(척신) 배척, 서인에 대한 비판

정파적, 학파적 성격의 붕당, 왕권 약화

양반들 사이의
관직 쟁탈전, 여론을 앞세워 비판 세력 공존, 특정 붕당의 독주 견제, 산림의 의견 반영, 건전한 정치 풍토


 -> 분열:
정여립 모반 사건(1589 정철(서인)의 집권) -> 동인 탄압 -> 정철의 세자 책봉(광해군의 건저의) 건의 -> 파직, 동인 집권

동인 -> 남인(온건파, 유성룡), 북인(강경파, 절의 중시(의병장), 이산해) -> 임진왜란 후 북인 주도 (~광해군)
명 -> 청(여진족 성장)
일본: 기유약조(1609): 교섭
정묘호란(1627), 병자호란(1636)   청: 군신관계
러시아 <->
나선정벌: 변급(1654), 신유(1658)
붕당정치 유지   청: 전통문화 + 서양 문물, 국경 대립(만주의 성역화): 백두산 정계비(1712) 순조 11세 즉위: 정순왕후의 수렴청정기, 노론 벽파 주도 -> 신유박해(1801): 규장각 인물들 몰아냄, 장용역 혁파, 훈련도감 정상화
정순왕후 사망 후:
안동 김씨 일파의 세도 정치기
: 김조순: 반남 박씨, 풍양 조씨의 협력, 순조의 견제 실패(세력 미흡)

헌종: 풍양 조씨
가문의 한 때 득세

철종: 안동 김씨
중심의 세도 정치


정2품 이상의
고위직만이 정치적 기능 발휘, 의정부 6조의 체제 붕괴,
비변사의 권한 집중


개혁 능력 부족, 사회 변화에 소극적, 사회 통합 실패(정조의 재야 세력, 남인, 소론, 지방 선비들 배제), 정치 기강 문란(관리의 수탈, 매관매직, 삼정(전정, 군정, 환곡)의 문란) -> 민란 발생, 상품 화폐 경제의 성장 둔화
고증학에 치우쳐 개혁 의지 상실, 도시 귀족화, 지방과 괴리
홍경래의 난(순조 1811): 세도 정치 폐해, 서북인 차별, 몰락 양반 홍경래+영세 농민, 밀무역-잠채 광업 규제책 시행에 반대.   임술 농민 봉기(철종 1862): 진주, 탐관오리, 토호에 저항->안핵사 박규수에 의해 평정    
발달 및 교류 최영: 즉각 출병 <->
이성계: 4불가론

위화도 회군(1388) -> 명과 관계 호전, 새 왕조 개창
숭유 억불(도첩제),
중농 억상,
사대교린 정책
두차례 왕자의 난 -> 개국 공신 세력 제거, 도평의사사 -> 의정부   병약한 문종 -> 어린 단종: 왕권 약화 -> 수양대군 정변 여진족 토벌 무오사화(1498): 조의제문(세조의 찬탈 비난) -> 훈구파의 사림세력 제거
갑자사화(1504): 척신(궁중파)들이 훈구 대신들을 몰아냄. 신진 사림 피해.(부중파)
중종반정(1506)
기묘사화(1519)
: 조광조(사림)의 급진적 개혁 추진 -> 훈구파 반발. 사림 제거
  을사사화(1545): 왕실 외척간의 대립 -> 사림 피해: 서원, 향약을 통한 향촌 세력 사림 중앙진출 -> 척신정치 청산에 대한 갈등 -> 붕당(사림 자체의 분열)정치: 장기적 투쟁, 지방(서원, 농장)이 근거, 심의겸 중심 서인 <-> 김효원, 신진 사림 동인 북인(대북: 학문적 기반 부족, 왕권 중심 지향, 소북) 정권
부국책: 양전 사업, 호적 정리,
대동법
시행, 은광 개발
강병책
: 성지, 무기 수리
문화 시책
: 동의보감(허준) 편찬, 소실된 사고 재정비(5대 사고)

중립(실리)외교

강홍립(1만 3천군)에게 소극적 전투 참여 명령 -> 조명 연합군 패배, 강홍립의 항복 -> 전쟁의 화로부터 해방, 복구 사업 치중

인조반정(1623): 명분을 중시하는 신하들의 반발 -> 인목대비 폐위, 영창 대군 살해, 무리한 토목 공사 -> 서인 중심의 인조반정(1623), 서인, 남인의 공존: 붕당 정치의 진전, 산림이 여론 주재
서인 주도의 인조반정

친명배금 정책, 명의 가도 사건(모문룡 장군 평안도 가도(압록강 끝자락)), 이괄의 난(후금과 내통) -> 광해군 보복 명분 정묘호란(1627) -> 정봉수(철산 용골산성), 이립(의주) -> 강화제의, 형제관계

후금 -> 청, 군신관계 요구: 주전파(척화파): 김상헌, 3학사 가담, 전쟁불사, 주화파: 최명길 중심, 외교적 교섭 해결 -> 병자호란(1636) -> 서울 점령(1636) -> 주화파 최명길이 청과 화의 -> 삼전도 굴욕(군신관계), 명과 단절, 두 왕자와 3학사(홍익한, 윤집, 오달제) 인질

국토 황폐화,
청에 대한 반감(오랑캐에게 항복, 군신관계) ->
북벌론 제기(서인의 패전 책임 회피 수단)
서인 주도의 인조반정     경신환국(경신 대출척, 1680):남인 병권 -> 역모모함 남인 실각 -> 서인 정권 일당 전제화
서인: 노론, 소론
분열
기사환국(1689): 장희빈, 남인
집권, 송시열 유폐
갑술환국(1694): 남인의 민씨(인현왕후) 복위 문제로 서인 무고 ->
서인(소론) 집권
희빈 소생 태자(소론 지지)
노론 제거(신축옥사, 신임옥사, 신임사화)
이인좌의 난(1728)
탕평책(탕평파 육성)
나주 괘서 사건(1755)
: 소론 강경파의 변란, 사도 세자의 죽음 -> 노론 우세
준론탕평(옳고 그름을 명백) -> 시파, 벽파, 붕당정치 붕괴 -> 세도정치 대왕대비 정순왕후: 수렴청정 -> 김조순(안동 김씨, 섭정) 정권, 세도정치 풍양 조씨 가문의 한 때 득세 안동 김씨 중심의 세도 정치    
경제 전제 개혁: 과전법(조준, 정도전): 구세력, 재야 세력 무마, 사대부 우대(휼양전, 수신전), 농민 우대 -> 신진 세력 기반 마련, 농민 생활 개선 ! 20년마다 양전 사업, 양안 작성
50만결 -> 160만결(15세기 중엽)
호패법 실시
사원 토지 몰수, 노비 해방
전분 6등법, 연분 9등법: 전제 상정소, 공법 상정소     직전법: 수신전, 휼양전 몰수, 인지의와 규형 발명, 팔방통보 주조, 호패 제도, 호적 제도 강화 관수 관급제: 지방 관청에서 생산량 조사 -> 관리에게 지급. !점점 농장, 지주 전호제 강화(병작반수제)->농민 몰락
!
공납: 방납(서리들이 대신 내주고 대가를 더 챙겨감)의 폐단, 수미법
대책
!군역: 요역 동원 -> 대립, 방군수포(다른 사람을 사거나, 포를 대신 냄.)
직전법 폐지(녹봉만 지급)
상공업 통제력 약화 -> 발전
임진왜란
이순신(전라 좌수사)의 활약: 한산도 대첩, 명량 해전, 노량 해전
김시민: 진주 대첩, 권율: 행주 대첩

의병
의 항쟁
농민, 전직 관리, 사림 양반, 승려: 충의, 향토 방위 -> 관군에 편입.

=> 수군, 의병의 활약+명의 원군 -> 평양성 탈환,
행주 산성 전투
-> 경상도 해안 일대 대치 -> 3년간에 걸친 회담 결렬

중앙군:
훈련도감 설치, 삼수병
양성
지방군:
속오법, 속오군
개편
화포 개냥, 조총 제작,
비격진천뢰, 화차

=> 인구 감소, 국가 재정 감소:
납속책, 공명첩(명예직 임명, 신분 동요), 민란봉기(이몽학의 난), 문화재 소실(불국사, 경복궁, 사고 등),
일본 -> 담배, 고추, 호박, 토마토 전래.
일본 <- 성리학, 출판술, 도자기 문화, 문화재, 포로
영정법(1635)
대동법(공물->쌀, 광해군~숙종)
상평통보
대동법 확대     금난전권 철폐(1791)          
영토 두만강 개척
진도: 요동 정벌 추진
사병 폐지 -> 군사 지휘권 장악 4군(압록강) 6진(두만강) 개척, 쓰시마 정벌, 현재 국경선 확보     보법 제정, 5위제, 진관 체제 요역: 토지 8결 기준 한사람씩만 동원, 6일/1년 제한. 규정. But … 훈구파 <-> 사림파(천거)
사화
서원: 성리학 연구, 제사, 교육, 향촌 사림 결집. 임진왜란 이후 급속히 발달. 최초 서원: 세운 백운동 서원(1543 풍기 군수 주세붕)
사액 서원: 이황
의 건의, 국가 지원(서적, 토지, 노비, 면세, 면역)
향약 보급(조광조): 전통적 공동 조직, 미풍 양속 계승 + 삼강오륜, 유교: 덕업상권, 과실상규, 예속상교, 환난상휼) -> 예안 향약(안동, 이황), 해주 향약(해주, 이이), 서원 향약(청주)
서인, 남인의 공존
북벌론 제기
(
서인의 패전 책임 회피 수단)
        균역법(1750): 군역 완화
훈련도감, 금위영, 어영청
           
사회 과전법: 수조권, 경기 지방, 세습(수신전, 휼양전) -> 조선개국(1392) -> 한양천도 정도전의 역할:
조선경국전, 경제문감: 민본적 통치규범,
재상 중심 정치
6조 직계제 실시
사관원 독립
외척과 대신들 견제
신문고 설치

악법:
서얼 차대법, 삼가 금지법
집현전 설치: 학문 연구, 국왕 통치 자문(-> 홍문관)
의정부 서사제: 재상
들에게 정치권 부여
인사와 군사 업무는 직접 처리(
왕권, 신권의 조화
)
유교 윤리 강조(주자가례
), 왕도정치
금부 삼복법: 사형 3심
    6조 직계제 부활
경국대전(법전) 편찬
집현전 폐지, 유향소 폐지(이시애의 난)
홍문관 설치(<- 집현전): 관리들의 경연 참여
사림파 등용, 유향소 부활(성리학), 도첩제 폐지(승려의 출가 금지), 불교 비판 -> 산간 불교
양난이후 예학 중시: 가례집람(김장생), 오선생예설분류(정구)
보학(족보) 중시
예송 논쟁(효종 왕위의 정통 성문제)
1차 기해예송(1659):
서인

2차 갑인예송(1674):
남인
환국을 왕이 주도(외척, 종실 집단의 비중↑), 형식상 탕평책,
3사와 전랑의 정치적 비중 감소
,
비변사의 기능 강화
  형벌 제도 개선, 속대전(법전) 편찬, 속오례의, 무원론
노비종모법(영조, 1744): 어머니가 양민이면 양민
서얼, 노비 차별 완화, 자유로운 상업 허락(통공 정책) 중앙 관서 노비 6만 6천여명 해방(1801)
밀무역-잠채 광업 규제책 시행(1808)
기해박해(현종 1839): 풍양 조씨(벽파) 세도 -> 천주교 탄압, 오가작통법(연대 책임제), 척사윤음(사교 배척) 발표   대전회통, 육전조례

병인박해(고종 1866): 수천명 순교 -> 프랑스 침입, 병인양요
 
사상
(신앙, 법, 역사)
숭유 정책(성리학(유학) 통치 이념), 농본 정책
풍수지리설(한양천도, 산송문제)
관학파(훈구파): 타 사상도 포용, 주나라의 주례 중시
사학파(사림파)
: 성리학 중시, 왕도정치 강조
불씨잡변: 불교 비판(도첩제, 사원x)
훈민정음 창제, 과학기구 발명(측우기, 자격루, 앙부일구), 아악 정리, 갑인자, 사고 정비

선, 교 양종
으로 통합, 36개 절만 인정
내불당 설치, 불경 간행
    훈구파: 세조의 왕위찬탈 찬성, 외척이 되어 척신정치
불교 진흥책
(간경도감)
경국대전 반포: 정치 체계 법제화
불교 비판 -> 산간 불교
      16세기 중반: 주자가례 중심의 생활 규범서, 예학 -> 16세기 후반: 가묘, 사당 건립
승과제 부활(불교)
대의명분 중시(서인(노론)) 비변사를 통해 의견 수렴
3사 언관, 이조 전랑
: 정치적 비중 ↑
산림 출현,
서원, 향교: 지방 의견
      신해박해(정조, 1791): 천주교 신자 윤지충의 모친상, 천주교식 장례(신주를 불사르고) -> 사형 신유박해(순조 1801): 노론 벽파 득세 -> 남인 사파 탄압 -> 실학 퇴조, 황사영 백서 사건(베이징에 전말 보고 발각) 동학의 발생  
외교 사대교린(실리외교 추구) 요동 정벌 준비 <-> 명과 대립 명과 교류 일본: 3포 개항(1426) -> 지나친 교역 증가 -> 계해약조(1443): 무역 제한           3포왜란(1510): 비변사 설치(임시) -> 임신약조(1512, 제포(진해)만 개항) ->사량진왜변(1544)   정미약조(1547): 통제 강화 -> 을묘왜변(1555): 국교 일시 단절, 비변사 상설 기구화

10만 양병설(이이) x
도요토미 히데요시(내란 수습) -> 임진왜란(1592): 평양, 함경도 지방까지 침임, 비변사 최고 기구화 -> 정유재란(1597): 이순신, 도요토미 사망. 전쟁 종료 일본과 기유약조(1609): 부산포만 개항
일본에 통신사 파견(1607~1811)

명, 후금(여진, 청)
중립외교
친명배금(청, 여진)   북벌 준비: 송시열, 송준길, 이완 중용, 군대 양성, 성곽 수리, 복수설치(복수하여 치욕을 씻자) 준비.   윤휴: 북벌론
이후~
북학 운동으로 전화
! 백두산 정계비(1712): 압록강, 토문강 경계로 국경 일본에 통신사 파견(1607~1811)     최초의 통상 요구(1832 영국 로드 암허스트)      
예술                                                      
기타                       임꺽정의 난                              
유물 조선경국전(최초, 정도전), 경제문감, 경제육전 분청사기(->백자)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팔도도, 신찬팔도지리지, 농사직설(최초 농서)
삼강행실도
, 효행록
자격루(물시계, 장영실), 해시계(앙부일구), 측우기(1441)
    동국지도, 해동제국기(일본)
오륜록
동국통감, 동문선, 팔도지리지, 동국여지승람, 악학궤범, 경국대전   신증동국여지승람   조선방역지도(만주, 쓰시마 섬) (분청사기->)백자                 속대전(경국대전 보안) 대전통편(경국대전, 속대전 통합), 동문휘고, 탁지지, 추관지, 규장전운            

 

조선

  조선
  조선 사회 건립 태조 (정종->)태종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예종->)성종 중앙 정치 조직 지방 행정 조직 신분 제도 사회 제도 군사 제도 대외 관계 연산군 중종 인종 명종 선조 붕당정치 성리학 광해군 인조 수취 체제의 개편 농업, 수공업의 변화 화폐 경제의 발달 효종 현종 숙종 근대 사회의 태동 통치 체제의 개편 정치 질서 변화 사회(신분) 구조 변화 향촌 질서, 사상(신앙)의 변화 농민의 항거 경종 영조 정조 세도 정치 순조 헌종 철종 성리학의 변화 실학의 발달 과학 기술의 발전 문화 발전 고종(대원군) 순종
  태세문단/연중명선/광인경영정순헌철고순   1392~1398 1400~1418 1418~1450     1455~1468 1469~1494             1498 1506   1545 1592     1609 1623       1654 1659 1674~               1724~ 1776~ 19세기 1801   1849~                
대외 상황 농업: 윤작법(2년3작: 보리, 콩, 조 돌려짓기)
이앙법
(모내기): 남부지방, 이모작(벼, 보리) 가능, but 정부는 금지령, 보리(조세x)
건사리(건경법), 물사리(수경법)
시비법: 밑거름 + 뒷거름 -> 휴경x, 농경지의 상경화

가을갈이
목화 재배 확대, 작물 재배(삼, 모시, 약초, 과수)
농기구 개량: 쟁기, 낫, 호미
농사직설(우리 편찬 최초의 농서), 금양잡록

지주 전호제 확대로 몰락: 대책: 구황촬요(잡곡, 도토리, 나무껍질 등을 먹자), 호패법, 오가작통법, 향약
광작 확대 -> 다수의 임노동자화
견종법
보급: 밭고랑

수공업
:
관영: 식비 정도만 지급, 기술자 공장안 등록(의류, 활자 인쇄, 화약, 무기, 문방구, 그릇 등 제조)
민영: 농기구, 양반의 사치품
가내: 생활필수품, 의류(무명(목화), 명주, 모시, 삼베)

상업: 통제됨

시전: 한양 종로 삼거리, 점포세, 상세, 독점 판매권 행사, 육의전(명주, 종이, 어물, 모시, 비단, 무명) 번성
경시서
: 불법 상행위 통제 (난전 통제)
장시: 보부상(5일장), 15세기 후반~(농업발달), 정부의 통제, 16세기 중엽~ 전국적 확대


화폐 발행: 태종(저화), 세종(조선통보), 세조(팔방통보: 전폐, 화살촉) -> 부진

국제 무역: 통제
: 사신 왕래, 공무역, 사무역 허용
일본
: 동래에 왜관 중심
여진: 국경 지역 무역소
교육:
초등교육:
서당
중등교육:
사학(4부 학당, 중앙), 향교(지방)
고등교육:
성균관
-> 과거제 문과
기술교육: 해당 관청

과거제도: 문과, 잡과, 무과(문무 양반 제도), 음서 축소(문음)
, 승진 시험(중시), 식년시(3년 주기)
상피제, 서경제도
(사헌부, 사간원에서 공정성 확보), 근무 성적 평가

훈민정음:
이두, 향찰 -> 집현전, 정음청 설치 -> 훈민정음 반포(1446): 불경, 농서, 윤리서, 벙서 편찬(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행정 실무에 사용

역사서:

초기: 왕조의 정통성 명분, 성리학적 통치 규범 정착: 정도전(고려국사), 권근(동국사략)
15세기 중엽~
: 민족적 자각, 왕실과 국가 위신: 고려사(기전체), 고려사절요(편년체), 동국통감(통사)
16세기
: 사림의 존화주의적, 왕도주의적 정치, 기자 숭상(사대주의적): 기자실기(선조, 이이), 동국사략(박상, 동국통감 단군 비판)
조선왕조실록
: 편년체, 조선 시대 연구의 기본자료

지도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팔도도, 동국지도(북방 관심), 조선방역지도(만주, 쓰시마 섬)
지리서
: 신찬팔도지리지, 팔도지리지, 동국여지승람, 신증동국여지승람, 해동제국기(일본 견문기)

윤리, 의례서
: 15세기: 삼강행실도, 효행록, 오륜록, 오례의, 국조오례의 -> 16세기: 이륜행실도, 동몽수지
법전:
조선경국전(최초, 정도전), 경제문감, 경제육전, 경국대전
명의 철령위 설치 통보 -> 대립 명, 후금 성장 경국대전으로 법제화

관리
: 당상관, 당하관
경관직(중앙직), 외관직(지방직)
계고직비, 계비직고

도평의사사 개편 ->
의정부(행정권), 삼군부(군사권), 삼사(간쟁권), 호조(재정권), 승정원(왕명 출납권)


중앙 정치 조직
의정부, 6조: 재상들의 합의, 행정의 전문화 효율화
승정원, 의금부
: 왕명 출납, 감찰기관: 왕권
사간원, 사헌부, 홍문관(3사): 비리 감찰, 정사 비판, 문필 활동: 언론 기능
-> 권력 독점 및 부정 방지
한성부
: 서울 행정 및 치안, 장관(한성판윤)
춘추관: 역사서 편찬, 보관
군현 정비: 전국 8도, 속현 폐지(직접 지배), 특수 행정 구역(향,소,부곡) 폐지, 임기제(관찰사 1년, 수령 5년), 상피제(출신지 피함) 시행
유수부
: 개성, 강화, 수원, 광주의 특별 행정 구역, 국왕 직속

지방(향, 군현)

관찰사: 감찰권, 행정권, 사법권, 군사권, 수령을 지휘 감독, 병마절도사, 수군절도사 겸직
수령: 조세, 공납
의 징수
향리: 수령의 행정 실무 보좌(세습적 아전으로 격하
)
면,리,통
: 향촌 말단까지 영향력
반촌(양반, 동성 촌락), 민촌(평민, 천민), 역촌, 진촌, 원촌, 어촌, 점촌(수공업)

유향소: 수령 보좌, 향리 규찰, 퐁속 교정 등 지방 행정 참여. (사족의 활동
: 향안, 향회, 향규, 동계, 동약)
경재소(서울): 유향소와 정부 사이의 연락 기능
, 유향소를 직접 통제.
->
향촌 자치 허용, 중앙 집권 효율화.

사림(성리학, 중소지주, 지방 사족, 영남, 기호)들의 향촌 자치 추구
양천, 반상제도
양천 제도(~15세기): 양인(자유민), 천민
반상 제도(16세기~갑오개혁(1894)): 4신분제: 양반, 중인, 상민, 천민


제한적 신분이동 가능

양반: 문,무반 가문; 기득권 위해 사족 범위 축소, 중인층 배제, 서얼층 배제, 신분적 특권 제도화 -> 분화: 양반, 중인, 상민

중인: 중간계층, 기술관, 서리, 향리, 서얼

양반에게 멸시, 하대. 나름 행세: 역관-무역 관여 이득, 향리- 토착 세력 위세

상민: 평민, 양인: 농민, 수공업자, 상인
과거 응시 법적
으로 가능, 전쟁 비상시 군공 등을 통해 제한적 신분 상승
농민
: 조세, 공납, 부역
수공업자
: 장인세
상인
: 시전 상인, 보부상, 상인세, 농본 억상 정책 피해
신량역천
: 천역 담당. 수군, 조례, 나장, 일수, 봉수군, 역졸, 조졸 등
석전(돌팔매);
동계, 동약, 두레, 향도 - 향도계, 동린계


천민: 노비, 재산 취급
공노비
: 국가에 신공, 관청
사노비
: 솔거(주인집) 노비, 외거 노비(신공)
백정, 무당, 창기, 광대
민본주의, 농본정책(토지 겸병 금지, 조세 경감), 양반 중심 봉건적 지배 체제(성리학)

환곡제: 의창(15세기), 상평창
(물가조절, 16세기 춘대추납)
사창제: 주민 자치적
(양반 지주층) 운영, 재난 대비, 농민 생활 안정, 향촌 질서 유지

의료시설
: 혜민국, 동서 대비원, 제생원, 동서 활인서
최소한의 미봉책

농민 이탈 방지책:
오가작통법(17세기 중엽), 호패법

법률제도: 관습법 ->
경국대전, 대명률(형법), 중대범죄: 반역죄, 강상죄(삼강, 오상), 연좌제 시행
민사: 관찰사, 수령
이 처리 (노비 관련, 종묘사직)
상속: 종법에 따라
사법 기관
: 행정 기관과 구분 미미
중앙-
의금부(왕명 특별 재판소), 3법사(사헌부: 관리 규찰, 비리 감찰, 형조:복심 재판 기관, 한성부
: 수도의 치안, 가옥, 토지 소송 담당)
부당한 재판 구제:
상고, 신문고
사병 폐지(태종) -> 양인개병제: 모든 양인 남자에게 군역. 정군(현역 군인, 품계), 보인(비용 부담)
면제
: 현직 관료, 학생, 향리
종친, 외척, 공신, 고급 관료의 자제:
고급 특수군

노비: 잡색군(필요에 따라 편제, 특수군)

중앙군(5위)
: 궁궐 수비, 수도 방비, 정군, 갑사, 고급 특수군
지방군
: 육군, 수군. 세조이후 진관 체제(성을 쌓아 방어)
잡색군
: 예비군, 유사시 대비

교통, 통신 조직

역원제: 역-주요 도로 옆, 원-교통 요지 여관, 역참-물자 수송, 통신
봉수제
: 통신제도, 620여 개의 봉수대
파발제: 임진왜란 때 공문 전달을 위한 통신망(기발, 보발)
사대교린

명: 사대정책(조공 관계)
사절 파견(문화 수입, 물품 교역), 내정 간섭x,
자주적 실리 외교
(선진 문물 흡수, 문화 외교, 공무역)
-> 마필, 인삼, 화문석
<- 견직물, 서적, 약재, 문방구, 도자기

폐단
: 과다한 금은 요구, 국내 수공업 위축
후기 =>
존화주의(사림): 지나친 친명 정책


여진: 회유 및 토벌
귀순 장려, 유숙소 설치(북평관), 국경 무역 허락
진, 보 설치(방비 강화), 본거지 토벌

북방 사민 정책: 삼남 지방 주민 -> 북방 이주, 개발(태종~중종), 토관 제도(수령x, 토착민 지배)

일본: 수군 강화, 화약 무기 개발, 쓰시마 섬 정벌(1419, 이종무), 교린 정책(제한된 조공 무역 허용)


동남아: 류큐, 시암, 자와 등과 교류
  3포왜란(1510)   을묘왜변(1555) 서인,동인 -> 임진왜란(1592), 정유재란(1597) 16세기 중엽~선조:
신의겸(왕실 외척) 중심
서인
(개혁에 소극적) <->
김효원 중심
동인
(개혁에 적극적): 이조 전랑직의 대립

서인: 이이, 성혼의 문인: 백성 통치에 역점, 제도 개혁을 통한 부국안민

동인: 이황, 조식, 서경덕: 자기 수양에 역점, 지배자의 도덕적 자기 절제, 신의겸(척신) 배척, 서인에 대한 비판

정파적, 학파적 성격의 붕당, 왕권 약화

양반들 사이의
관직 쟁탈전, 여론을 앞세워 비판 세력 공존, 특정 붕당의 독주 견제, 산림의 의견 반영, 건전한 정치 풍토


 -> 분열:
정여립 모반 사건(1589 정철(서인)의 집권) -> 동인 탄압 -> 정철의 세자 책봉(광해군의 건저의) 건의 -> 파직, 동인 집권

동인 -> 남인(온건파, 유성룡), 북인(강경파, 절의 중시(의병장), 이산해) -> 임진왜란 후 북인 주도 (~광해군)
이기론의 선구자
이언적: 이(기가 존재하는 근거, 운동 법칙) 중심
서경덕, 조식
: 기(만물의 구성요소, 실체) 중심, 불교, 노장 사장에 개방적, 실천성 강조

주리론: 중소지주층, 선구자 이언적, 이황
이 집대성
도덕적 원리, 실천 중시

왜란 후 -> 일본 성리학,
위정척사(성리학 이외 배척)  사상에 영향
주기론: 정치,경제↓, 산림, 선구자 서경덕, 이이
집대성
경험적 현실 세계 중시 -> 북학파 실학, 개화사상 영향, 노론 -> 19세기 중엽, 최한기 경험주의 철학


이황: 주자, 심성 중시, 근본적, 이상주의적, 주리론
이기 이원론(심성론), 이기호발설
저서: 성학십도, 주자서절요, 전습록변, 이학통록
영남 학파 형성: 김성일, 유성룡

이이: 경세가, 주기론, 도덕 중시, 현실적, 개혁적, 주기론

일원론적 이기 이원론, 기발이승일도설(기가 발), 사회경장론(기 속 이 구현)
성학집요(군주가 현명한 신하를 따라야), 동호문답, 만언봉사(10만 양병설), 격몽요결
기호 학파
형성: 조헌, 김장생

서인 <- 인조반정 후

노론(율곡): 송시열 중심, 주자 중심 성리학 절대시, 민생 정치 강조, 대의명분 중시, 율곡 이이 학통 계승, 조선 후기 정치 주도
소론(우계): 절충적, 실리 추구, 적극적 북방 개척, 성혼의 사상, 이황 학설 호의, 이이 비판, 윤휴의 학설 변호 두둔.
명 -> 청(여진족 성장)
일본: 기유약조(1609): 교섭
정묘호란(1627), 병자호란(1636)   조세제도: 150만결 -> 왜란후 30만결
개간사업
: 개간지의 소유권+3년 면세 혜택
양전사업
: 은결 -> 양안, 재정 증가
광해군 54만결 -> 인조 120만결 -> 숙종 140만결 -> 정조 145만결: 토지 겸병, 지주제 확대
국가 수입 미증가: 은전, 진황지(토질 불량), 궁방전, 관둔전(면세지 확대) ->
영정법(인조 1635)
: 토지 1결당 미곡 4두로 고정, but 수수료, 운송비, 자연 소모 보충 비용 -> 별 도움 없음.

방납의 폐해(
공납) ->
대동법의 실시: 공물 납부 방식 -> 토지의 결 수에 따라 쌀, 삼베, 무명, 동전
등으로 납부. 공인을 통하여 물자 구입.
공인의 활동: 어용상인
, 공가를 받아 물품 납부.
양반지주의 반대에 서서히 확대 ~
광해군: 경기도에서 처음 실행 -> 인조: 강원도 -> 효종: 충청도, 전라도 -> 숙종
: 함경도, 평안도 제외 전국, 1결 12두
공납의 금납화, 공납의 전세화, 지주 부담의 증가, 국가 재정 회복, 농민 부담 경감,
장시+상공업 발달(공인의 활동), 도고, 상업도시 성장, 상품 화폐 경제의 성장
, 봉건적 양반 사회의 붕괴, 현물 징수의 존속(진상, 별공)
=> 폐단의 재발: 상납미↑, 유치미↓ -> 농민 수탈

군역 제도의 개편: 5군영
모병제(용병제) 제도화, 수포군(납포군)
확산
군포의
폐단: 일반 경상비 사용, 중복징수, 차별 징수, 군포액 증가(납속, 공명첩 등으로 양반 면역
), 지방간의 농간 -> 농민 파산, 유망 촉진
=> 양역 변통론: 농병 일치론(공전제 환원), 호포론(양반에 군포 부담, 시행x) ->
균역법(영조, 1750)
: 군포 1필만 부담, 결작, 선무군관(일부 상류층, 지방토호), 어장세, 선박세
일시적 지주 부담 증가 => 폐단 재연
모내기법, 견종법 -> 광작, 상품작물 재배((주곡: 밭->논의 반답현상), 목화, 채소, 담배(<-17세기 초 일본), 인삼(18세기 개성 중심), 약초), 구황작물 재배(고구마(<-18세기 일본), 감자(19세기 청))
농기구 개량: 18세기 이후 쟁기(소 사용), 써레, 쇠스랑, 호미
저수지 신축, 논 비율 증대

지대
의 변화:
상품 화폐 경제 발달, 지주권의 약화, 전호권의 성장 -> 소작 쟁의

타조법: 반반, 농기구 소작인 부담, 지주의 간섭
도조법: 일정 지대액(~1/3), 경영 자유, 도지권(토지개간, 제방 축조로) 획득(영구 경작, 매매 및 양도 가능)
소작료의 금납화: 18세기 말 화폐 경제 발달 -> 금납제


몰락 농민의 증가
농민 부담 증가: 부세, 고리채, 관혼상제의 비용, 화폐 경제 발달.
소작지의 상실:
광작
(값싼 빈민의 고용) -> 지주의 직접 경영
=>
상공업, 임노동자, 광산, 포구


민영 수공업의 발달
대동법 실시 -> 공인
등장, 부역제의 해이(등록 회피), 관영 수공업의 쇠퇴
납포장의 증대(장인세만 부담), 품질과 가격 우위,
(작업장)의 발달
18세기 말 공장안(등록제) 폐지
, 관영에도 사장 고용
선대제(자금과 원료를 미리 지급)
수공업 발달
(상업 자본에 예속) -> 18세기 후반 독립 수공업 발달
농촌 수공업도 발달(옷감, 그릇)

광업: 초기 국가가 직접 경영, 농사철 놓치는 등 부담 -> 16세기 광산 부역 동원 거부 -> 민영 수공업 발달, 원료필요, 청과 무역( 수요) -> 17세기 사채 허용, 세금:
설점수세제(효종 1651): 금광, 은광 허가. 세금징수 -> 18세기 후반 수령수세제 -> 감독x, 활기, 잠채(몰래 채굴)의 성행
화폐: 인조(상평통보) -> 효종(유통) -> 18세기 후반, 금납제, 신용 화폐 보급(환, 어음)
전황(동전 부족): 고리대, 재산축적


공인: 대동법 실행 후 나타난 어용 상인(공가를 받아 물품을 구입, 납부), 상권 독점, 서울 시전+지방 장시 활동 -> 도고(독점적 도매 상인)로 발전

사상: 17세기 초, 소규모 생산자가 직접 판매 ->
중도아
등장: 중간상인
<->
시전 상인과 대처: 금난전권(사상
억압)
금난전권 철폐(1791): 사상
의 급성장, 육의전 제외 나머지 철폐(정조, 신해통공)
대외 무역
도 참여(청, 일본)
대표적 사상
:
송상(개성): 송방(지점), 인삼 재배, 판매, 대외 무역
경강 상인(한강 근거지): 운송업, 미곡, 소금, 어물 등의 운송, 선박의 건조 등 생산 분야까지 진출

장시
의 확대
15세기 말: 남부 ~ 18세기 중엽: 전국 1000여개소
지방민들의 교역 장소, 지역적 시장권 형성, 싸게 물건 구입
보부상
의 활동: 장날의 차이를 이용하여 옮겨다님, 조합결성(보부상단)

포구
의 성장
상업의 중심지, 후기 전국적 유통권 형성(칠성포, 강경포, 원산포)
선상
: 선박 이용, 운송업
객주, 여각
: 매매 중개, 운송, 보관, 숙박, 금융

대외 무역
의 발달
17세기 중엽부터
과 무역 활발, 국경 지대 중심 개시(공적), 후시(사적)
<-
비단, 약재, 문방구, 사치품

-> 은,
종이, 무명, 인삼
17세기 이후
일본과 정상화, 왜관 개시
<-
은(중개 무역)
, 구리, 황, 후추
->
인삼, 쌀, 무명
청: 군신관계
러시아 <->
나선정벌: 변급(1654), 신유(1658)
붕당정치 유지   양반 사회 동요(16세기): 정쟁 빈발, 지주 전호제 강화, 군적 수포제(양반, 상민 차별 구분), 환곡의 문란(고리대화), 방납의 폐단, 부역제의 해이, 사상의 비현실성(이기론)
이농화 현상, 민란 봉기, 농민의 각성
(의식 성장: 서당 교육, 한글 소설, 장시, 판소리, 타령 등)
-> 17~19세기
근대사회로 (민주화, 산업화, 합리화, 과학화
): 자본주의 사회, 평등한 사회, 과학적 논리적 사고(합리화), 민주정치 구현

경제면: 영농 기술 개발, 경영의 합리화, 독점적 도매
(도고)
사회면: 부의 축적에 따른 신분 상승, 정쟁, 농민 분화, 신분제 퇴색
(서얼, 노비)
사상면:
실학의 연구, 천주교 전래(평등 사회, 개인의 자유), 동학의 창시(농민층, 현실 개혁
의 사회 운동)
정치면: 근대x, 세도 정치, 행정 기강과 수취 체제 문란
-> 민란 발생

자율적, 주체적으로 내재적 역량에 의해 근대 사회로~,
북학론자들의 통상 개화론(개항, 개화)
왜란, 호란 -> 통치 질서의 모순 극대화
계측간 이동 불허, 소수 양반층의
특권 독점, 피지배층의 처지 개선 미흡, 양반들의 권위 강화
토지 제도의 모순(지주 전호제)
-> 농촌 사회 분화: 소수 양반(지주), 소작농(전호)
부세 제도의 모순: 전세, 공납, 역 (불법적 포탈)
=>
농민 이탈
(유랑, 노비, 도적)

지배 체제 유지위해 개혁 추진
:
비변사 기능 강화: 임시 회의 기구 -> 상설 기구화(16세기 중엽 을묘왜변, 명종 1555) -> 임진왜란 후 기능 확대(군사, 외교, 재정, 사회, 인사 등 거의 모든 정무): 왕권 약화, 의정부 6조 중심 행정 체계 유명무실, 19세기 세도 정치의 중심기구
-> 폐지(흥선 대원군): 의정부, 삼군부
3사, 전랑직의 기능 강화: 언론 기능, 상대 비판, 자기 세력 유지에 치중 -> 탕평책
(영조, 정조), 혁파

군사 제도
:
5군영 체제: 훈련도감(선조, 왜란 중): 삼수병(포수, 살수, 사수) 편제, 용병제상비군제

어영청(인조): 이괄의 난(1624) 계기로 설치, 북벌(효종) 때 기능 강화
총융청(인조, 개성, 남양, 수원 등 경기 일대+ 방위), 수어청(인조, 정묘호란(1627) 후 설치, 남한 산성 중심 광주 및 그 부근 일대), 금위영(숙종, 수도 방어)
임기응변적 설치, 용병화, 서인 정권의 군사적 기반
지방군: 진관 체제(지역 단위 소규모) -> 제승방략(유사시 방어처에 병력 동원, 장수 지휘) ->
속오군 체제
(진관 복구, 군대 편제, 군사 훈련 미실시, 양반 이탈)

수취 제도의 개편
:
지주제 강화, 과중한 수취 ->
영정법(전세), 대동법(공납), 균역법(군역)
: 지주에게 부담 -> 실제 운영은 성과x
전기:
사족향촌 자치 -> 후기: 수령, 향리 중심: 농민 수탈이 더 심해짐.
17세기 후반: 농업 생산량 증대(이앙법, 이모작, 견종법), 상품 화폐 경제 발달(장시, 화폐 유통), 서인 남인 공존x, 지주제와 신분제 동요에 따라 사족 중심 향촌 지배가 어려워짐, 사상적 문제(예론) -> 군사, 경제 문제

환국, 왕위 계승 문제 중심의 정쟁 -> 벌열 가문의 정권 독점, 양반층의 분화(몰락, 낙향), 서원의 남설(사우: 특정 가문, 경상도 지방)
집권욕에 집착 -> 분열, 왕권 약화 -> 왕권 중심
탕평론
제기

탕평론: 선조~현종: 자율적 힘의 균형 -> 숙종이후: 왕권에 의해 타율적 중재

-
숙종: 명목상의 탕편론, 원리x, 편당적 조처, 환국
-
경종: 소론의 지지, 희빈 소생 태자, 왕세제(영조)가 왕을 대신하여 정무를 처리(대리청정): 노론과 소론의 대립 격화 -> 노론 제거(신축옥사: 노론 4대신, 신임옥사, 신임사화)
-
영조: 탕평의 교서 발표
, 소론 남인의 영조의 정통성 부정, 이인좌의 난(1728): 소론 강경파, 남인 일부의 반란
탕평파 육성, 산림 격하, 서원 정리, 이조 전랑 권한 약화 -> 왕권(+탕평파 대신) 강화, 붕당의 의미 퇴색

나주 괘서 사건(1755): 소론 강경파의 변란, 사도 세자의 죽음 -> 노론 우세
//
남인+서인

시파: 영조 비난(사도 세자의 죽음), 노론의 일부 + 불우했던 남인, 소론 계통
벽파: 사도 세자 비판, 영조 지지, 노론 강경파//

-
정조: 척신, 환관 제거, 영조 때의 탕평파 비판,
남인 계열 시파 중용 -> 세도 정치

능력 중시, 왕권 강화(장용영(친위부대) 설치, 규장각 설치, 초계문신제 시행), 수원 육성, 수령의 권한 강화
양반 수 증가, 상민, 노비 수 감소, 양반층 동요
세도정치(일당 전제화) 후 양반 몰락
-> 향반, 잔반화

서얼, 중인
계층의 신분 상승 운동: 기술직, 이서 등 행정실무
서얼: 왜란 이후 완화(
납속책, 공명첩
), 영조, 정조 때 어느정도 등용
유득공, 이덕무, 박제가 등(규장각 검서관으로 등용)
중인
: 축적 재산, 실무 경력, 역관들의 외교(외래문화 수용) -> 철종 때 대규모 소청 운동

노비의 해방

노비종모법(영조, 1744): 어머니가 양민이면 양민
도망 노비 증가 -> 임노동자, 머슴, 행상
노비 해방:
순조 때 중앙 관서 노비 6만 6천여명 해방(1801)

사노비 해방:
갑오개혁(1894): 신분제 폐지

가족 제도의 변화
~조선 중기
남귀여가혼: 혼인 후 여자 집에서 생활, 자녀 균분 상속, 제사의 분담
조선 후기(17세기 이후)
친영 제도 정착(
부계 중심 가족): 남자 집에서 생활, 장자 중심 제사와 상속제, 양자 입양 일반화, 동성 마을 형성
효, 정절 강조, 과부 재가 금지
엄격한 족외혼, 일부 일처(첩)

인구 변동
호구 조사(3년 주기): 남성만 조사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하삼도): 50%, 경기도, 강원도: 20%, 평안도, 황해도, 함경도: 30%
550만~750만 -> 1000만(16세기) -> 왜란(감소) -> 1700만(19세기 말엽)
한성: 10만(세종) -> 20만(18세기)
부농 대두: 향전(구향 신향간), 농민 수탈(공동납제)
향회의 변화: 양반 이익 대변 -> 자문 기구, 사족 세력 약화

양반의 지배 약화: 부농층 등장, 양반의 몰락(전호, 임노동자)
양반의 노력:
족보 작성, 청금록+향안 작성: 서원 및 향교 명단, 지방 사족 명부, 동약의 실시, 서원+사우의 건립


대지주: 대부분 양반+경영형 부농, 광작
부농의 양반화: 전공(전투에서 공), 납속책(재물) 등 난국 극복책 + 족보 매입 및 위조
임노동자
: 국가나 관청에 고용, 양반 지주, 부농에게 고용, 1년단위 품팔이

신분제 동요, 농민 경제 파탄 -> 적극적 항거 운동 발생
19세기 탐관오리의 횡포, 1820년 전국적 수해+콜레라, 이양선 출몰 => 비시, 도참설 유행, 도적의 창궐(화적, 수적)

예언 사상
: 비기, 도참: 말세의 도래, 왕조의 교체, 변란의 예고 등 근거 없는 낭설. 변혁적 (정감록)
무격신앙, 미륵신앙: 현세도피적
(죽음 후), 미륵불 자처

천주교 전파: 중국 베이징 천주당 -> 17세기 우리나라 사신(서학) -> 18세기 후반 남인 계열 실학자 (이승훈), 불우한 계층
(평등 논리, 내세 신앙) -> 추조 적발 사건(정조 1785): 김범우 체포
신해박해(정조, 1791)
: 천주교 신자 윤지충의 모친상, 천주교식 장례(신주를 불사르고) -> 사형
신유박해(순조 1801): 노론 벽파 득세 -> 남인 사파 탄압 -> 실학 퇴조, 황사영 백서 사건(베이징에 전말 보고 발각)

기해박해(현종 1839)
: 풍양 조씨(벽파) 세도 -> 천주교 탄압, 오가작통법(연대 책임제), 척사윤음(사교 배척) 발표
병인박해(고종 1866): 수천명 순교 -> 프랑스 침입, 병인양요


동학의 발생: 1860년 경주 출신 최제우가 창도
유교 불교 선 바탕 + 주문 부적 등 민간 신앙 + 천주교 교리: 사회 모순 극복, 일본 서양의 침략 방어

주기론과 비슷, 샤머니즘, 도교적(부적, 주술)
평등(인내천), 후천 개벽(조선 부정), 보국 안민(외척 배척)
-> 최제우 처형(1864), 최시형(동경대전, 용담유사), 교단 조직
세도 정치의 폐해, 삼정의 문란(암행어사 파견, 삼정이정청 설치 -> 실패) -> 농민 이탈(유민, 화전민, 도적)
농민의 대응:
(군포계, 제언계, 농구계), 두레(노동 공유) 등 협력적 타개책, 항거(초기: 소청, 벽서 운동 -> 후기: 민란
)

-
홍경래의 난(순조 1811)
: 세도정치 폐해, 서북인의 차별 -> 몰락 양반 홍경래 + 영세 농민, 밀무역, 잠채 광업 규제 대항 중소 상인, 광산 노동자: 농민 항쟁의 선구적 역할 -> 5개월만에 평정.
-
임술 농민 봉기(철종 1862): 진주 민란 -> 전국적
청: 전통문화 + 서양 문물, 국경 대립(만주의 성역화): 백두산 정계비(1712) 순조 11세 즉위: 정순왕후의 수렴청정기, 노론 벽파 주도 -> 신유박해(1801): 규장각 인물들 몰아냄, 장용역 혁파, 훈련도감 정상화
정순왕후 사망 후:
안동 김씨 일파의 세도 정치기
: 김조순: 반남 박씨, 풍양 조씨의 협력, 순조의 견제 실패(세력 미흡)

헌종: 풍양 조씨
가문의 한 때 득세

철종: 안동 김씨
중심의 세도 정치


정2품 이상의
고위직만이 정치적 기능 발휘, 의정부 6조의 체제 붕괴,
비변사의 권한 집중


개혁 능력 부족, 사회 변화에 소극적, 사회 통합 실패(정조의 재야 세력, 남인, 소론, 지방 선비들 배제), 정치 기강 문란(관리의 수탈, 매관매직, 삼정(전정, 군정, 환곡)의 문란) -> 민란 발생, 상품 화폐 경제의 성장 둔화
고증학에 치우쳐 개혁 의지 상실, 도시 귀족화, 지방과 괴리
홍경래의 난(순조 1811)   임술 농민 봉기(철종 1862) 성리학의 교조화: 인조반정(<-광해군) 이후 의리 명분론 강화, 주자 중심 성리학 절대화, 송시열: 서인 주장 뒷받침

17세기 후반(숙종)~ 비판: 6경, 제자백가 등(모순 해결의 사상적 기반), 성리학 상대화
-
윤휴: 서경덕의 영향, 유교 경전에 독자적 해석(주자 비판)

-
박세당: 양명학, 노장사상의 영향, 사변록
->
서인의 공격
: 사문난적으로 몰려 죽음.
-
정약용: 고주 참작, 공자+맹자의 본뜻 노력, 독자적 철학 체계 수립.


양명학의 수용(16세기 중종 <- 명): 성리학의 교조화, 형식화 비판, 실천성 강조
심즉리, 치양지설, 지행합일설
17세기
서경덕 학파, 종친들 사이에 확산, 이황의 비판(전습록변)으로 수그러듬. -> 17세기 후반 소론 학자(최명길, 장유), 상업과 밀접: 서해안 지방 호응
18세기 초 학파의 형성: 강화 학파, 소론 중심(정권 소외),
가학의 형태

정제두의 활동: 존언, 만물일체설, 양반 신분제 폐지 주장
=> 양명학:
실학자에 영향, 국자학에 계승
17~18세기 사회 경제적 변동에 따른 사회모순 해결책 구상 -> 실학
통치질서의 와해(양난, 위정자), 경제적 변화와 발전, 신분 변동(몰락한 양반층의 생계 대책, 서민층의 생존문제 주목),
성리학의 사회적 기능 상실, 현실 물제 탐구 필요성, 서학의 영향(과학적, 합리적), 청의 고증학의 영향(실사구시, 실증적)

실학의 제기(17세기 전반기)

- 이수광: 지봉유설, 천문 지리 관제 및 천주실의
- 한백겸: 동국지리지, 역사 지리 고증, 토지 편중 지적,
대동법 확대 추진
- 김육: 시헌력 채용, 수차 제도의 이익 주장,
화폐 주조, 대동법 확대 주장
실학의 확산(18세기)
농업 중심 개혁론(남인 출신, 경세치용 학파):
-
유형원(1622~1673): 선구자, 반계수록, 균전론(토지 재분배), 자영농 육성 주장, 농병 일치(군사), 사농 일치(교육), 신분제(문벌, 과거, 노비제도 모순) 비판, 유교적 한계성(직업적 우열, 차별)
-
이익(1681~1763): 학파 형성(유형원 계승, 안정복,이긍익,이중환,정약용), 한전론(영업전 보호, 토지 소유의 평등), 성호사설, 곽우록, 빈곤의 원인(노비, 과거, 양반 문벌, 사치, 미신, 승려, 게으름) 규정, 폐전론(고리대, 화폐단점)+사창제도 주장

-
정약용(1762~1836): 주나라 모범, 집대성, 여전론(토지 공동 소유, 노동량에 따라 분배, 공동 농장 제도) 주장, 정전제(국가의 토지 매입 -> 농민, 자영농 육성), 백성 중심 제도 개선
-> 신유박해 때 유배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 탕로(역성혁명, 시민혁명사상), 원목(백성 중심 통치), 전론(여전제), 기예론(기술 혁신, 교육)
상공업 중심 개혁론(노론 출신, 이용후생, 북학파):
-
유수원(1694~1755): 직업적 평틍화, 전문화 주장(부국책), 상인간 합자(경영 규모 확대), 생산자 고용, 농업의 상업적 경영
-
홍대용(1731~1783): 임하경륜, 의산문답, 균전제
주장, 부국강병책(성리학과 중국 중심 사상 비판)
-
박지원(1737~1805): 과농소초, 한민명전의,
한전론 제시, 열하일기(상공업 진흥 강조, 수레, 선박, 화폐 유통의 필요성, 문벌 제도의 비생산성 비판)

-
박제가(1750~1800): 북학의, 청과 통상 강화, 절약보다 소비 권장
=> 부국강병의 적극적 방안, 19세기
개화사상

실학의 의미
폭넓은 영역(정치, 경제, 철학, 지리, 역사)
개혁 사상, 민족주의적(<->중국중심), 근대 지향적, 실증적, 민중적
한계:
몰락 지식층의 개혁론, 정책에 미반영

국학 연구의 확대(역사, 지리, 국어)
역사학

-
이익: 중국중심 탈피, 우리역사 체계화
-
안정복
: 동사강목(고조선~고려말), 독자적 정통론, 고증 사학
-
한치윤
: 해동역사(외국 자료 인용)
-
이긍익
: 연려실기술(실증적, 객관적)
-
이종휘, 유득공: 동사(고구려사), 발해고(발해사, 남북국 시대)

-
김정희: 금석과안록(북한산비=진흥왕 순수비)
지리학
-
역사지리서: 동국지리지(한백겸), 아방강역고(정약용)
-
인문지리서
: 택리지(이중환, 자연환경, 물산, 풍속, 인심)
-
지도제작
: 서양식 지도 전래, 동국지도(정상기), 대동여지도(김정호, 목판인쇄)

언어학

-
음운학: 훈민정음운해(신경준), 언문지(유희)
-
어휘 수집
: 재물보(이성지), 대동운부군옥(권문해), 아언각비(정약용), 고금석림(이의봉, 방언, 해외언어 정리)
-
백과사전: 지봉유설(이수광), 18~19세기: 성호사설(이익), 청장관전서(이덕무), 임원경제지(서유구), 오주연문장전산고(이규경), 동국문헌비고(국가적 사업, 역대 문물 정리)
서양 문물의 수용: <- 17세기 중국 명-청의 서양 선교사들, 선조: 세계지도(이광정), 인조: 화포, 천리경, 자명종(정두원)
서양인의 표류
: 17세기 벨테브레이(박연: 훈련도감, 서양식 대포), 하멜(15년간 억류, 하멜 표류기)
한계: 19세기에 정체


-
천문학: - 김석문, 홍대용: 지전설, 무한우주론 - 이익, 정약용
=> 성리학적 세계관 비판 근거
역법: 시헌력(김육의 노력)
-
수학
: 기하원본(유클리드 기하학) 도입, 최석정, 황윤석, 홍대용(주해수용)
-
세계지도
: 곤여만국전도(<-중국) => 세계관 확대
-
의학
: 17세기 동의보감(허준), 침구경험방(허임) -> 18세기 정약용(마과회통)+박제가: 홍역(마진), 종두법 연구 -> 19세기 이제마(동의수세보원, 사상의학, 체질의학이론)
-
기계 제작, 설계:
정약용(거중기, 배다리, 선박, 총포, 병차)

-
농서: 17세기 중엽 농가집성 -> 색경(박세당), 산림경제(홍만선), 해동농서(서후수) -> 19세기 임원경제지(농촌 생활 백과사전)
-
어업: 어살 설치, 면사 어망, 17세기 김 양식, 18세기 후반 냉장선 등장, 자산어보(정약전, 해물 명칭, 분포, 습성 기록)
성리학적 윤리관, 양반들의 교양, 여가 -> 17세기 이후 인간 감정의 묘사, 부정 비리 고발, 서민적 인물 등장, 현실적 인간 관계 묘사, 서민문화 발달(한글 소설, 판소리, 탈춤, 풍속화, 민화, 음악, 무용)

-
판소리
: 창과 사설, 직접적, 관중들의 추임새, 19세기 후반 신재효 정리
-
가면극
: 탈놀이, 산대놀이, 부패 위선 풍자
상품 유통 경제와 함께 성장

-
한글소설: 홍길동전(허균, 서얼차별, 탐관오리 응징), 춘향전(신분차별의 비합리성, 춘향의 항거, 평등의 요구), 용왕-토끼, 심청, 장화홍련
-
사설시조
: 서민들의 감정, 청구영언, 해동가요 등(김천택, 김수장)
-
한문학
: 비판적, 애절양(정약용, 삼정의 문란 폭로), 박지원(양반전, 허생전, 호질, 민옹전, 양반사회의 허구성 지적, 실요적 태도 강조)
-
동인지, 시사의 조직

-
풍자시인의 활동: 김삿갓, 정수동

그림

17세기 우리문화에 대한 자부심 -> 진경 산수화, 풍속화의 유행
18세기 전반: 진경 산수화(정선의 인왕제색도, 금강전도) -> 18세기 후반: 풍속화(김홍도의 산수화, 기록화, 신선도, +풍속화, 신윤복의 풍속화) -> 18세기 말: 서양화풍(강세황의 영통골 입구도) -> 19세기
복고적 문인화 유행(김정희의 세한도, 장승업)
민화 발달
: 한국적, 익살, 소박, 대담, 파격, 떠돌이 무명 화가, 서민층의 성장
서예
: 동국진체(이광사), 추사체(김정희)

건축의 변화

17세기 사원 건축: 금산사 미륵전, 화엄사 각황전, 법주사 팔상전, 불교의 사회적 지위 향상, 양반 지주층의 경제적 성장 반영
->
18세기
: 논산 쌍계사, 부안 개암사, 안성 석남사, 부농과 상인의 지원, 장식성 사원, 불국사 대웅전, 평양의 대동문
-
수원화성: 18세기 정약용의 거중기 사용
, 정조 때 새롭게 건축, 공격 겸한 성곽, 서양식 건축 기술 도입
->
19세기
: 흥선대원군 경복궁 재건, 근정전, 경회루

백자: 15세기 분청사기 -> 16세기 백자 -> 후기 청화 백자

음악: 양반층(가곡, 시조), 서민(민요), 광대 기생(판소리, 잡가)
   
발달 및 교류 최영: 즉각 출병 <->
이성계: 4불가론

위화도 회군(1388) -> 명과 관계 호전, 새 왕조 개창
숭유 억불(도첩제),
중농 억상,
사대교린 정책
두차례 왕자의 난 -> 개국 공신 세력 제거, 도평의사사 -> 의정부   병약한 문종 -> 어린 단종: 왕권 약화 -> 수양대군 정변 여진족 토벌 무오사화(1498): 조의제문(세조의 찬탈 비난) -> 훈구파의 사림세력 제거
갑자사화(1504): 척신(궁중파)들이 훈구 대신들을 몰아냄. 신진 사림 피해.(부중파)
중종반정(1506)
기묘사화(1519)
: 조광조(사림)의 급진적 개혁 추진 -> 훈구파 반발. 사림 제거
  을사사화(1545): 왕실 외척간의 대립 -> 사림 피해: 서원, 향약을 통한 향촌 세력 사림 중앙진출 -> 척신정치 청산에 대한 갈등 -> 붕당(사림 자체의 분열)정치: 장기적 투쟁, 지방(서원, 농장)이 근거, 심의겸 중심 서인 <-> 김효원, 신진 사림 동인 북인(대북: 학문적 기반 부족, 왕권 중심 지향, 소북) 정권
부국책: 양전 사업, 호적 정리,
대동법
시행, 은광 개발
강병책
: 성지, 무기 수리
문화 시책
: 동의보감(허준) 편찬, 소실된 사고 재정비(5대 사고)

중립(실리)외교

강홍립(1만 3천군)에게 소극적 전투 참여 명령 -> 조명 연합군 패배, 강홍립의 항복 -> 전쟁의 화로부터 해방, 복구 사업 치중

인조반정(1623): 명분을 중시하는 신하들의 반발 -> 인목대비 폐위, 영창 대군 살해, 무리한 토목 공사 -> 서인 중심의 인조반정(1623), 서인, 남인의 공존: 붕당 정치의 진전, 산림이 여론 주재
서인 주도의 인조반정

친명배금 정책, 명의 가도 사건(모문룡 장군 평안도 가도(압록강 끝자락)), 이괄의 난(후금과 내통) -> 광해군 보복 명분 정묘호란(1627) -> 정봉수(철산 용골산성), 이립(의주) -> 강화제의, 형제관계

후금 -> 청, 군신관계 요구: 주전파(척화파): 김상헌, 3학사 가담, 전쟁불사, 주화파: 최명길 중심, 외교적 교섭 해결 -> 병자호란(1636) -> 서울 점령(1636) -> 주화파 최명길이 청과 화의 -> 군신관계, 명과 단절, 두 왕자와 3학사(홍익한, 윤집, 오달제) 인질

국토 황폐화,
청에 대한 반감(오랑캐에게 항복, 군신관계) ->
북벌론 제기(서인의 패전 책임 회피 수단)
서인 주도의 인조반정     경신환국(경신 대출척, 1680):남인 병권 -> 역모모함 남인 실각 -> 서인 정권 일당 전제화
서인: 노론, 소론
분열
기사환국(1689): 장희빈, 남인
집권, 송시열 유폐
갑술환국(1694): 남인의 민씨(인현왕후) 복위 문제로 서인 무고 ->
서인(소론) 집권
희빈 소생 태자(소론 지지)
노론 제거(신축옥사, 신임옥사, 신임사화)
탕평책(탕평파 육성)
나주 괘서 사건(1755)
: 소론 강경파의 변란, 사도 세자의 죽음 -> 노론 우세
준론탕평(옳고 그름을 명백) -> 시파, 벽파, 붕당정치 붕괴 -> 세도정치 대왕대비 정순왕후: 수렴청정 -> 김조순(안동 김씨, 섭정) 정권, 세도정치 풍양 조씨 가문의 한 때 득세 안동 김씨 중심의 세도 정치    
경제 전제 개혁: 과전법(조준, 정도전): 구세력, 재야 세력 무마, 사대부 우대(휼양전, 수신전), 농민 우대 -> 신진 세력 기반 마련, 농민 생활 개선 ! 20년마다 양전 사업, 양안 작성
50만결 -> 160만결(15세기 중엽)
호패법 실시
사원 토지 몰수, 노비 해방
전분 6등법, 연분 9등법: 전제 상정소, 공법 상정소     직전법: 수신전, 휼양전 몰수, 인지의와 규형 발명, 팔방통보 주조, 호패 제도, 호적 제도 강화 관수 관급제: 지방 관청에서 생산량 조사 -> 관리에게 지급. !점점 농장, 지주 전호제 강화(병작반수제)->농민 몰락
!
공납: 방납(서리들이 대신 내주고 대가를 더 챙겨감)의 폐단, 수미법
대책
!군역: 요역 동원 -> 대립, 방군수포(다른 사람을 사거나, 포를 대신 냄.)
직전법 폐지(녹봉만 지급)
상공업 통제력 약화 -> 발전
임진왜란
이순신(전라 좌수사)의 활약: 한산도 대첩, 명량 해전, 노량 해전
김시민: 진주 대첩, 권율: 행주 대첩

의병
의 항쟁
농민, 전직 관리, 사림 양반, 승려: 충의, 향토 방위 -> 관군에 편입.

=> 수군, 의병의 활약+명의 원군 -> 평양성 탈환,
행주 산성 전투
-> 경상도 해안 일대 대치 -> 3년간에 걸친 회담 결렬

중앙군:
훈련도감 설치, 삼수병
양성
지방군:
속오법, 속오군
개편
화포 개냥, 조총 제작,
비격진천뢰, 화차

=> 인구 감소, 국가 재정 감소:
납속책, 공명첩(명예직 임명, 신분 동요), 민란봉기(이몽학의 난), 문화재 소실(불국사, 경복궁, 사고 등),
일본 -> 담배, 고추, 호박, 토마토 전래.
일본 <- 성리학, 출판술, 도자기 문화, 문화재, 포로
영정법(1635)
대동법(공물->쌀, 광해군~숙종)
상평통보
대동법 확대     금난전권 철폐(1791)          
영토 두만강 개척
진도: 요동 정벌 추진
사병 폐지 -> 군사 지휘권 장악 4군(압록강) 6진(두만강) 개척, 쓰시마 정벌, 현재 국경선 확보     보법 제정, 5위제, 진관 체제 요역: 토지 8결 기준 한사람씩만 동원, 6일/1년 제한. 규정. But … 훈구파 <-> 사림파
사화
서원: 성리학 연구, 제사, 교육, 향촌 사림 결집. 임진왜란 이후 급속히 발달. 최초 서원: 세운 백운동 서원(1543 풍기 군수 주세붕)
사액 서원: 이황
의 건의, 국가 지원(서적, 토지, 노비, 면세, 면역)
향약 보급(조광조): 전통적 공동 조직, 미풍 양속 계승 + 삼강오륜, 유교: 덕업상권, 과실상규, 예속상교, 환난상휼) -> 예안 향약(안동, 이황), 해주 향약(해주, 이이), 서원 향약(청주)
서인, 남인의 공존
북벌론 제기
(
서인의 패전 책임 회피 수단)
        균역법(1750): 군역 완화
훈련도감, 금위영, 어영청
           
사회 과전법: 수조권, 경기 지방, 세습(수신전, 휼양전) -> 조선개국(1392) -> 한양천도 정도전의 역할:
조선경국전, 경제문감: 민본적 통치규범,
재상 중심 정치
6조 직계제 실시
사관원 독립
외척과 대신들 견제
신문고 설치

악법:
서얼 차대법, 삼가 금지법
집현전 설치: 학문 연구, 국왕 통치 자문(-> 홍문관)
의정부 서사제: 재상
들에게 정치권 부여
인사와 군사 업무는 직접 처리(
왕권, 신권의 조화
)
유교 윤리 강조(주자가례
), 왕도정치
금부 삼복법: 사형 3심
    6조 직계제 부활
경국대전(법전) 편찬
집현전 폐지, 유향소 폐지(이시애의 난)
홍문관 설치(<- 집현전): 관리들의 경연 참여
사림파 등용, 유향소 부활(성리학), 도첩제 폐지(승려의 출가 금지), 불교 비판 -> 산간 불교
양난이후 예학 중시: 가례집람(김장생), 오선생예설분류(정구)
보학(족보) 중시
예송 논쟁(효종 왕위의 정통 성문제)
1차 기해예송(1659):
서인

2차 갑인예송(1674):
남인
환국을 왕이 주도(외척, 종실 집단의 비중↑),
3사와 전랑의 정치적 비중 감소
,
비변사의 기능 강화
  형벌 제도 개선, 속대전(법전) 편찬, 속오례의, 무원론
노비종모법(영조, 1744): 어머니가 양민이면 양민
서얼, 노비 차별 완화, 자유로운 상업 허락(통공 정책) 중앙 관서 노비 6만 6천여명 해방(1801) 기해박해(현종 1839): 풍양 조씨(벽파) 세도 -> 천주교 탄압, 오가작통법(연대 책임제), 척사윤음(사교 배척) 발표   대전회통, 육전조례

병인박해(고종 1866): 수천명 순교 -> 프랑스 침입, 병인양요
 
사상
(신앙, 법, 역사)
숭유 정책(성리학(유학) 통치 이념), 농본 정책
풍수지리설(한양천도, 산송문제)
관학파(훈구파): 타 사상도 포용, 주나라의 주례 중시
사학파(사림파)
: 성리학 중시, 왕도정치 강조
불씨잡변: 불교 비판(도첩제, 사원x)
훈민정음 창제, 과학기구 발명(측우기, 자격루, 앙부일구), 아악 정리, 갑인자, 사고 정비

선, 교 양종
으로 통합, 36개 절만 인정
내불당 설치, 불경 간행
    훈구파: 세조의 왕위찬탈 찬성, 외척이 되어 척신정치
불교 진흥책
(간경도감)
경국대전 반포: 정치 체계 법제화
불교 비판 -> 산간 불교
      16세기 중반: 주자가례 중심의 생활 규범서, 예학 -> 16세기 후반: 가묘, 사당 건립
승과제 부활(불교)
대의명분 중시(서인(노론)) 비변사를 통해 의견 수렴
3사 언관, 이조 전랑
: 정치적 비중 ↑
산림 출현,
서원, 향교: 지방 의견
      신해박해(정조, 1791): 천주교 신자 윤지충의 모친상, 천주교식 장례(신주를 불사르고) -> 사형 신유박해(순조 1801): 노론 벽파 득세 -> 남인 사파 탄압 -> 실학 퇴조, 황사영 백서 사건(베이징에 전말 보고 발각) 동학의 발생  
외교 사대교린(실리외교 추구) 요동 정벌 준비 <-> 명과 대립 명과 교류 일본: 3포 개항(1426) -> 지나친 교역 증가 -> 계해약조(1443): 무역 제한           3포왜란(1510): 비변사 설치(임시) -> 임신약조(1512, 제포(진해)만 개항) ->사량진왜변(1544)   정미약조(1547): 통제 강화 -> 을묘왜변(1555): 국교 일시 단절, 비변사 상설 기구화

10만 양병설(이이) x
도요토미 히데요시(내란 수습) -> 임진왜란(1592): 평양, 함경도 지방까지 침임, 비변사 최고 기구화 -> 정유재란(1597): 이순신, 도요토미 사망. 전쟁 종료 일본과 기유약조(1609): 부산포만 개항
일본에 통신사 파견(1607~1811)

명, 후금(여진, 청)
중립외교
친명배금(청, 여진)   북벌 준비: 송시열, 송준길, 이완 중용, 군대 양성, 성곽 수리, 복수설치(복수하여 치욕을 씻자) 준비.   윤휴: 북벌론
이후~
북학 운동으로 전화
! 백두산 정계비(1712): 압록강, 토문강 경계로 국경 일본에 통신사 파견(1607~1811)     최초의 통상 요구(1832 영국 로드 암허스트)      
예술                                                      
기타                       임꺽정의 난                              
유물     조선경국전(최초, 정도전), 경제문감, 경제육전 분청사기(->백자)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팔도도, 신찬팔도지리지, 농사직설(최초 농서)
삼강행실도, 효행록
자격루(물시계, 장영실), 해시계(앙부일구), 측우기(1441)
    동국지도, 해동제국기(일본)
오륜록
동국통감, 동문선, 팔도지리지, 동국여지승람, 악학궤범, 경국대전               신증동국여지승람   조선방역지도(만주, 쓰시마 섬) (분청사기->)백자                                     속대전(경국대전 보안) 대전통편(경국대전, 속대전 통합), 동문휘고, 탁지지, 추관지, 규장전운                        

 

일제~

  조선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광인경영정순헌철고순 흥선대원군 개화 개화 정책 임오군란, 갑신정변 동학농민 운동의 전개 근대적 개혁(갑오개혁, 을미개혁) 대한제국의 성립과 독립협회 대한제국의 개혁(광무개혁) 을사조약항일 의병 투쟁   애국 계몽 운동 경제 침략 경제 구국 운동 사회, 생활 변화 근대 문명의 수용 문예, 종교의 변화   국권의 피탈(고문,통감,차관 통치기) 헌병 경찰 통치기(무단 통치기) 독립 운동의 전개 임시 정부의 활동 민족 분열 통치기(문화 통치기) 국내외 항일 운동 독립 전쟁의 전개 사회(사상) 경제적 민족 운동 민족 문화 수호 운동 민족 교육 진흥 운동 민족 말살 통치기   광복 대한민국의 수립 북한 정권의 수립과 6.25 이승만(제1공화국) 장면 내각(2) 박정희(3) 유신 체제(4) 전두환(5) 노태우(6) 김영삼(6) 김대중(6) 노무현(6) 이명박(6)
    1863~1873 1875~1886 1876~1883 1882~1884 1884~1894 1894~1896 1896~1899 1899 1905~   1905~ 1876~1904           1904~1910 1910~1919     1919~1931                 1931~1945         1948~1960 1960~1961 1963~1972 1972~1979 1981~1988 1988~1993 1993~1998 1998~2003 2003~2009  
대외 상황 1870년대 열강들의 침략 시작(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러시아, 일본) -> 1차 세계대전(1914) -> 파리 강화 회의(1919.1): 1차 세계대전 뒷처리, 민족 자결주의
간도 귀속 문제: 간도 협약(1909): 청과 일본, 청의 영토로 귀속
청과 일본의 침략적 대립<-갑신정변
정부의 친러경향, 청 견제
천간: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 지지: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 제1차 영일 동맹(1902): 영국-청, 한국-일본
->
러일전쟁(1904)

-
가쓰라-태프트 밀약(1905): 일본-한국, 미국-필리핀
-
제2차 영일 동맹(1905)
: 일본 옹호
-
포츠머스 조약(1905): 러시아와 체결.(한국에 대한 우위권)
파리 강화 회의(1919.1): 1차 세계대전 뒷처리, 민족 자결주의                 세계적 경제공황(1920년대 후반) -> 일본의 대륙 침략 강행 -> 중일전쟁(1937), 태평양 전쟁(1940~)   미국+서유럽(NATO)<->소련+동유럽(WTO)
미국+동남아(SEATO), 흐루시초프(형식적 평화)
        쿠바위기, 베트남 전쟁(냉전) -> 닉슨 독트린(1969): 공산국가에 융통성, 베트남 철수(1972) 고르바초프(1980년대): 소련의 개방과 개혁 독일의 통일(1990) 세계 무역 기구(WTO, 1995) 출범      
발달 일본 미국에 개항(1854) -> 메이지 유신(1868): 자본주의화 -> 조선에 교섭 요구, 정한론 나이 어린 고종, 국왕의 생부인 흥선군 이하응이 실세 통상개화론: 박규수, 오경석, 유홍기, 이동인(승려), 중인, 상민 실학(북학파), 청의 양무운동, 일본의 문명개화론 -> 개화사상
수신사의 파견 <- 강화도 조약(1876)
-
1차 수신사(1876): 김기수(일동기유)
-
2차 수신사(1880)
: 김홍집(조선책략) -> 미국(1882)
일본의 발전상, 세계 정세 변화 ->
개화의 필요성

관제:
통리기무아문(개화정책 전담)
군제: 5군영 ->
2영 설치, 별기군 창설(일본교관, 근대적 군사 훈련, 사관 생도 양성)
-
조사 시찰단 파견(1881, 신사유람단)
: 일본 정부 기관, 각종 산업 시설 시찰
-
영선사 파견(1881)
: 청의 텐진, 무기제조법, 자연과학 -> 기본지식부족으로 1년만에 돌아옴, 기기창(서울, 무기제조)
-
보빙사 파견(1883)
: 미국, 민영익(전권대사) 파견

<->
위정척사 운동
(성리학 질서 수호, 외세배척)
1860년대: 이항로,기정진(통상 반대 운동, 척화 주전론)
1870년대: 최익현(왜양일체론)
1880년대: 이만손(영남 만인소), 홍재학(만언척사소)
1890년대 이후:
항일 의병 운동
으로 계승.
반침략, 반외세 의지(경제적 파멸, 침략), 전통사회 유지 목적
구식군대 차별 -> 임오군란(1882): 일본 공사관 습격, 민씨 세력 축출, 대원군의 일시 재집권 -> 일본의 군대파견 움직임, 청의 군대 파견(대원군 압송)
=>
일본의 배상금 요구: 제물포 조약 체결(1882): 배상금, 공사관의 경비병 주둔, 태극기 사용(박영효), 수호조규 속약
청의 내정 간섭: 군대 주둔, 고문 파견(마 젠창, 묄렌도르프), 상민 수륙 무역 장정(청의 통상 특권), 민씨 일파 재집권(친청 정책)

개화 정책 후퇴

온건 개화파(사대당): 김홍집, 김윤식, 어윤중(민씨정권과 결탁): 청의 양무운동
급진 개화파(개화당):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서광범
: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본받자
개화시책:
박문국 설치(한성순보 간행), 우정국 설치
, 일본의 냉담한 태도(차관 실패), 친정세력의 견제
=>
갑신정변(1884): 청-프의 베트남 문제 -> 청군 철수, 일본 공사의 지원 약속, 김옥균, 박영효 중심
.
우정국 사건(1884): 수구 살해, 개화당 정부 수립, 14개조 개혁요강(사대관계 폐지, 입헌 군주제+내각제, 인민 평등권, 능력에 따른 인재 등용, 지조법 개혁, 재정 일원화(호조), 혜상공국 폐지(자유로운 상업의 발전)), 경찰(순사)제도

한계: 일본 의존적(국방 개혁 소홀), 민중과 유리, 토지제도 외면, 추진 세력 미약(청군개입 -> 3일천하)
->
한성 조약(1884)
: 일본에 보상금 지불, 공사관 신축비 부담
톈진 조약(1885)
: 청일간, 양국군 철수, 상호 파병시 알릴 것(일본의 파병권 획득)
=>
개화 세력의 위축(개화 정책 후퇴),
최초의 입헌 군주제 개혁, 신분제도 타파, 근대국가수립 목표
- 조러 통상 조약(1884): 베베르가 반청 경향을 보이던 정부와 조약 -> 영국의 거문도 점령(1885): 러시의 견제
-
조러 비밀 협정 추진(1886)
: 군사 협정 밀약, 청의 압력으로 폐기
- 청의 대책: 대원군 귀국, 고종 폐위 음모, 묄렌도르프 -> 데니(고종 폐위 음모 고발, 청의 속방론 비판)
-
조러 육상 통상 조약(1888)
: 경흥 개방, 두만강 운항권
중립론 대두
: 독일 부들러(영세 중립화), 유길준

일본
의 경제적 침략: 면제품 중계무역<-, 미곡->, 입도선매, 고리대
동학농민군의 봉기(1894)

교조 신원 운동: 삼례집회(1892), 서울 복합 상소(1893), 보은 집회(1893), 포접제 조직 => 고부 민란(1기): 조병갑, 정봉준 항거, 안핵사(이용태) 파견진압 -> 1차 봉기(2기, 1894): 무장봉기, 백산 봉기(보국안민, 제폭구민, 균전사 반대), 전주 점령, 진주화약 -> 폐정 개혁안 실천(3기): 집강소(민정기관) 설치, 전주에 대도소(총본부)
=> 정부가 청에 지원 요청, 일본도 파병(톈진 조약) ->
청일전쟁(1894)

-> 2차 봉기(4기): 공주 우금치 전투 패배
의의: 반봉건적, 반침략적,
갑오개격에 영향, 구국 의병 활성화

한계:
근대 건설 방안 미비, 무력적 열세, 신분간 갈등
갑오개혁(1894): 자주적 개혁 의지
- 교정청 설치: 일분 군대 철수 요구, 개혁추진
-
1차 개혁(1894.7.27~1894.12.17, 1차 김홍집 내각): 일본의 경복궁 점령->민씨정권 붕괴->흥선 대원군 섭정, 군국기무처(초정부적 회의 기관) 설치

-
2차 개혁(1894.12.17~1895.7.7, 2차 김홍집 내각): 청일전쟁 일본 승리->대원군 하야, 간섭 정책, 갑신정변 주도자 박영효, 서광범 귀국 참여, 군국기무처 폐지->김홍집, 박영효 연립내각(친일내각)
홍범14조(최초의 헌법적 성격): 자주권, 행정, 재정, 교육, 관리 임용, 민권 보장
정치
: 연호:개국기원, 왕실(궁내부)과 정부(의정부) 분리, 과거제 폐지, 사법권 독립, 지방관 권한 축소(행정권만), 경찰제 확립(경무청)
경제: 재정의 일원화(탁지아문), 왕실과 정부 재정 분리, 은 본위 화폐 제도, 조세의 금납제, 도량형 통일, 토지제도의 개혁 미흡

사회: 신분제 폐지, 조혼 금지, 과부 개가 허용, 고문 및 연좌제 폐지
군사: 성과미흡(일본의 간섭) -> 박영효 망명


러프독 삼국 간섭(1895): 일본의 요동반도 청 반환 요구 -> 일견제 친러정책 선회
-
3차 김홍집 내각(1895.7 친러내각): 박영효 실각, 온건개혁파+친러파(명성황후, 이범진, 이완용) 일본 세력 제거 시도 -> 을미사변(1895.8): 명성황후 시해
-
을미개혁(3차 개혁, 1895.8~1896.2
, 4차 김홍집 내각): 친러파 축출, 김홍집, 유길준 중심 친일내각
단발령 반포, 태양력 사용, 연호: 건양, 우편 사무 재개, 소학교 설치, 친위대, 진위대 설치, 종두법(천연두) 실시
=> 명성황후 시해, 단발령 반발 ->
을미의병(1895): 위정척사 사상의 유생들 주도 -> 아관파천(1896)
춘생문 사건(1896): 친러 친미파(이범진)의 국왕 미국 공사관 이어, 친일정권 타도 시도 -> 실패
반일정서 확산, 고종의 개혁에 대한 불만, 신변위협, 러시아의 세력 만회 기회 ->
아관파천(1896)
: 친러내각 수립, 개화파 정부 와해(의병 해산 권고, 단발령 폐지), 열강의 이권 침탈 심화
-> 고종의 환궁,
대한제국 성립(1897)
: 연호: 광무, 점진적 개량(구본신참), 전제황권 강화(교정소: 황제직속 입법기구)

*
독립협회(1896~1899): 개화파(서재필, 윤치호, 이상재)+유학자(남궁억, 정교)+도시 시민층, 독립신문 창간

민중 계몽(강연회, 토론회, 신문, 잡지 발간), 자주독립 의식 고취(독립문), 민중의 지지 확보, 정부의 외세 의존적 자세 비판
-
만민 공동회(1898 최초의 근대적 민중 대회): 러시아의 침략 규탄, 자주 국권 운동
-
기본권 운동
: 신체 자유권, 재산권, 정치적(언론,출판,집회,결사) 자유
-
국민 참정권 운동
: 민의 반영
-> 민중의 대표기관, 진보적 내각(박정양) 수립 성공
-
관민 공동회 개최: 헌의 6조 결의(자주 국립, 이권 침탈 방지, 재정 일원화, 재판 공개+인권 존중, 입헌군주제, 법치)

=>
보수세력과 대립, 해산(1899) -> 만민 공동회의 항거<- 황국협회(보부상)를 통한 탄압

독립협회의 3대 사상

-
자주 국권 사상: 러시아 배척, 미영일엔 우호적
-
자유 민권 사상
: 자유, 평등, 국민 주권, 민주주의
-
자강 개혁 사상: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국력 배양
- 정치: 독립협회 탄압, 대한국 국제의 반포(1899): 헌법, 황제권 강조, 전제 군주 체제 강화
-
경제
: 양전 사업, 지계(근대적 토지 소유권 제도), 상공업 진흥책
-
사회
: 교육장려(실업 교육, 유학생 파견, 기술 교육), 근대 시설 확충(교통,통신,전기,의료)
-
외교:
청과 통상조약(1899, 대등관계)
, 간도 관리사 파견(1902, 러시아 대항)
-
군사
: 원수부 설치(황제 통솔), 무관 학교 설립
한계: 전제 군주, 보수적, 열강의 관섭
//활빈당의 활동(1900~1905): 의병들, 관리, 부호, 일본 상인 공격 -> 빈민. 반봉건, 반침략적 운동, 대한 사민 논설

아관파천(1896) -> 베베르-고무라 각서(1896): 러일, 아관파천->한반도 38도선 분할 점령 제안

러일전쟁, 제1차 한일 협약(1904) -> 을사조약(1905): 외교권 박탈 => 상소 운동, 항일 순국, 5적 암살단(나철, 오기호): 일진회 습격, 매국노 처단, 항일 언론(황성신문: 시일야방성대곡(장지연), 고종의 을사조약 무효 선언(대한매일신보)) -> 을사(1905), 병오(1906)의병: 민종식, 최익현, 신돌석(평민)
->
헤이그 특사 파견(1907) -> 고종 퇴위, 군대 해산, 한일 신협약(정미7조약)

->
정미의병(1907): 해산 군대의 의병 합류, 간도 연해주까지 확산 -> 서울 진공 작전(1908): 이인영+허위, 1만여 명의 의병 연합 부대, 일본군의 반격에 실패 -> 국내 진공 작전(간도 연해주 지방의 홍범도, 이범윤)
장인환, 전명운(1908): 샌프란시스코에서 외교 고문 스티븐스 사살, 안중근(1909): 이토 히로부미(초대 통감) 사살(만주 하얼빈 역)
=>
일본군의 남한 대토벌 작전, 마지막 의병장 채응언(1913 황해도 헌병 파견소 공격))

한계:
의병의 무력적 열세, 양반 층의 지배 질서 고집, 외교권 상실로 인한 국제적 고립
의의:
민족 구국 운동, 항일 무장 독립 투쟁의 기반, 반제국주의적 민족 운동
  교육, 언론, 종교 등 문화 활동산업 진흥을 통한 국권 회복 운동 <- 사회진화론의 영향
일진회(친일 단체)에 대항
-
보안회(1904)
: 유생, 관료출신, 보국안민,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 저지운동 -> 일제의 탄압으로 해산
-
헌정 연구회(1905): 입헌 정치체제 수립 목적
계몽 운동, 일진회 규탄 -> 해산

을사조약 이후

-
대한 자강회(1906): 헌정 연구회를 모체로 사회 단체+언론 기관 주축, 교육과 산업 진흥, 월보의 간행, 연설회, 고종의 강제 퇴위 반대 운동 -> 해체
-
대한 협회(1907)
: 대한 자강회 계승, 교육의 보급, 산업의 개발, 민권신장, 행정 개선, 반일 운동에는 못나섬
-
신민회(1907~1911): 안창호, 양기탁, 각계각층 망라, 비밀결사 단체, 공화 정치 체제 목표

표면적: 문화적 경제적 실력 양성, 내면적: 독립군 기지 건설(1910년 이후 의병 부대와 연대)
일제가 날조한
105인 사건(1911) -> 와해
-
언론기관들: 황성신문(1898~1910), 대한매일신보(베델 1905~1910) -> 일제의 사전검열, 신문지법(1907)
국외:
신한민보(미국), 대동공보,해조신문(연해주)

한계: 정치적,군사적 예속상태의 투쟁
의미: 민족 독립 이념 제시, 전략 제시(국외 독립군 기지), 장기적 기반 구축(인재 양성, 민족 산업 진흥: 경제적 토대, 독립군 기지 건설)
개항(1876), 정부의 노력(시찰단, 개혁 전담 기구), 재정 부족, 경험 미숙 등으로 어려움
불평등 조약: 무-저관세, 치외법권, 외국 화폐 유통

-
초기: 일본의 거류지 무역, 약탈적 무역
, <-일용품, ->곡물,귀금속
-
임오군란(1882) 이후: 청 상권 확대
, <-값싼 면제품(광목, 섬유, 국내 수공업 쇠퇴), ->쇠가죽,쌀(물가인상, 생계위협),콩,금(귀금속)
일부 지주와 상인: 미곡 수출로 이익, 실을 사들여 면직물 제조
-
1890년대:
곡물 수매 주력(자본주의 발달 초기 일본 농촌의 피폐) -> 방곡령 선포(1889)
, 실패
-
청일전쟁(1894) 이후: 시장 독점, 철도 부설권 탈취

-
아관파천(1896) 후: 열강의 이권 침탈 본격화, 최혜국 대우
러시아
: 재정,군사 고문, 경성,경원 광산 채굴권, 삼림 벌채권
미국
: 운산 금광, 경인선 철도 부설권, 전차,전기 부설권
독일
: 당현 금광
일본
: 직산 금광, 철도 부설 주력(경부선, 경인선, 경의선)

제일은행 설립: 중앙은행 기능, 세관,
화폐정리(메가다 1905)
업무.
고리대금업, 농장 경영, 철도 부지 약탈, 군용지 약탈, 황무지 개간,
동양척식 주식회사(일본인 토지 확대 지원)

청일전쟁(1894) 이후: 차관 제공 -> 러일전쟁(1904) 후: 차관 강요
- 방곡령 시행(1889): 함경도, 황해도 등지의 지방관 -> 외교 문제(조일 통상 장정), 철회, 배상금
-
서울 상인의 상권 수호 운동: 황국 중앙 총상회(1890년대)

-
독립협회(1896):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 저지, 한러은행 폐쇄, 러시아의 도서의 매도 요구 저지, 프랑스 광산 채굴권 저지, 독일이 차지한 이권 반대 운동
-
황무지 개간권 반대 운동(1904): 보안회, 농광회사(우리 손으로 개간) -> 철회
-
국채 보상 운동(1907): 차관 도입->외채 총1300만원, 대구의 서상돈,김광제 국민의 힘으로 국채 상환하자
-> 양기탁 누명, 통감부 방해

-
정부
: 전환국 설치(중앙은행), 근대적 기업 설립, 토지 개발
-
민간
: 근대적 상인으로 변모, 상회사, 근대적 회사(철도, 광업) 설립
=> 자본부족, 일본의 방해

조선 유기 상회, 대한 직조 공장, 종로 직조사, 조선은행 ->
화폐 정리 사업(1905) 및 일제의 방해로 몰락
실학계승, 평등한 근대 사회 추구
천주교(평등, 조상 제사 문제), 동학(사회 혁명적, 인내천), 개신교(학교 설립, 의료 사업)

-
갑신정변(1884): 인민 평등, 사민평등, 최초의 근대적 개혁, but 대중 기반 약소

-
동학 농민군(1892~1894): 신분제 폐지 요구, 지조법 개혁(평균분작), 집강소 설치 -> 양반들의 민보군 조직, 진압 -> 양반 중심의 전통적 신분제 사회 붕괴 기여, but 근대 사회의식 부족
-
갑오개혁(1894): 신분제의 폐지, 사법제도, 점진적,개량적, 평등사회의 기틀, but 민중과 유리, 민주주의사회x
-
독립협회(1896~1899): 독립신문, 인권 확대 운동, 참정권 실현 운동 -> 사회의식의 변화

의생활
일부 상류층, 개화 인사: 단발, 양복, 양말, 구두
여학생, 신여성: 개량 한못, 두루마기, 양산

식생활
한상에서 식사, 포크, 나이프, 커피, 홍차, 양과자, 빵
임오군란 후: 중국 음식점(만두, 찐빵)
청일전쟁 후: 초밥, 우동, 어묵, 단팥죽, 단무지, 청주

주택문화
신분제한 해제, 서양식 건물, 일본식 주택, 한옥과 양옥 절충

국외 이주
만주(간도): 황무지 개간, 1910년 20만명, 독립 운동
연해주: 러시아의 이주 허가(개발 목적), 8만명, 신한촌, 무장 투쟁의 중심지
미국: 1902년 하와이(농장) 이민
과학기술의 수용: 동도 서기론(서양 기술 수용)
-
흥선 대원군: 서양의 무기 제조술
-
1880년대
: 산업기술(양잠, 방직, 제지, 광산)
-
1890년대
: 교육 개혁 인식(의학교, 철도 학교, 광업 학교)
신사유람단(조사 시찰단)
-> 근대 문물, 시설

한계:
외국인에 의존, 일본 침략 합리화


근대 교육
-
원산 학사(1883): 최초의 근대 사립학교(외국어, 자연과학, 국제법, 무술) -> 갑오개혁(1894) 때 원산 소학교(공립)
-
동문학(1883)
: 정부산하 영어 강습 기관(통역관)
-
육영 공원(1886): 최초의 관립학교
, 상류층 자제중심, 미국인 교사(영어, 수학, 지리학, 정치학)
- 개신교 계통의 사립학교:
배재학당(1885), 이화학당(1886), 경신학당(1886), 정신여학교(1895), 숭실학교(1897)

- 민죽 운동가들의 사립학교:
보성학교(1905, 서울), 양정학교(1905, 서울), 서전서숙, 오산학교, 대성학교, 신흥학교

국학연구: 실학전통, 민족의식 고취
-
영웅들의 전기
(을지문덕전, 강감찬전, 이순신전): 애국심
-
외국 역사서 번역, 일제 침략 비판

-
신채호: 독사신론(대한매일신보), 현채: 동국사략,유년필독, 월남망국사, 조선광문회: 민족 고전 정리,간행
-
국,한문체 보급(서유견문(유길준), 황성신문), 언론의 한글사용(독립신문, 제국신문)

-
국문 연구소 설립(1907): 주시경, 지석영, 표기법 통일
-
문법서: 유길준(조선문전), 주시경(국어문법)
- 신소설 등장: 혈의 누(이인직), 자유종(이해조), 금수회의록(안국선)
-
신체시 출현
: 해에게서 소년에게(최남선, 1908
-
번역 문학
: 성경, 천로역정, 이솝 이야기, 로빈슨 표류기
부정적 영향: 외국 문화의
분별없는 수입, 소개로 식민지 문화 터전 제공


- 찬송가, 독립가, 권학가, 애국가 유행
-
신극(원각사), 판소리, 민속 가면극 성행
- 서양식 유화

종교

-
천주교: 선교의 자유(1886 조프 수호 통상 조약), 고아원,양로원 설립
-
개신교
: 서양의술 보급, 학교설립, 국민 교육회
-
천도교(동학)
: 친일세력 타파, 민족신문(만세보) 발간
-
대종교: 단군신앙 기반 창시(1909)
, 해외 항일 운동 참여
-
유교: 반침략적, 주자학 중심 비판, 양명학+사회 진화론: 대동사상 주창 -> 대동교

-
불교: 일본불교 침투, 미신타파(한용운), 불교혁신, 자주성 회복
  - 조선 총독부 설치, 헌병 경찰 통치 실시
조선총독: 일본군 대장 출신, 일본 국왕 직속, 입법,사법,행정권 및 군대 통수권 장악 -> 독립운동의 철저한 탄압
행정(정무총감), 치안(경무총감)

-
중추원 설치: 의장=정무 총감, 총독부 자문 기관(친일파 한국인 참여, 회유술책), 3.1운동까지 정식 소집 없었음.
-
헌병 경찰
: 2만여 명, 헌병 경찰+보조원, 제복착용(칼)
일본 헌병 사령관->경무 총감, 헌병 대장->경무 부장
독립 운동가 색출, 처단
이 주된 업무, 즉결 처분권, 태형,구류
기본권(얼론,집회,출판,결사의 자유) 박탈, 독립운동 탄압
105인 사건(1911) 신민회 탄압

-
토지 조사 사업(1912~1918): 토지 약탈, 지주층 회유
기한부 신고제, 복잡한 절차,
동양척식 주식회사
-> 농민의 소작농화(50~70% 소작료)
1918년: 3%지주 50% 경작지 소유 -> 농민의 유민화
-
회사령(허가제, 강제해산), 산림령(1911), 조선 어업령(1911), 조선 광업령(1915)
1910년대: 비밀결사(국내, 신민회), 독립운동 기지 건설(국외)
- 독립 의군부(1912)
: 복벽주의(전제 군주제), 고종의 밀조(임병찬+유생), 일본에 국권 반환 요구서 제출
-
조선 국권 회복단(1915): 공화주의, 독립 청원서(파리강화회의)

-
대한 광복회(1915): 공화주의, 의병 출신+신교육 인사, 군자금 모집 활동, 친일차 처단, 가장 활발한 활동
-
조선 국민회(1915): 공화주의, 숭실 학교 재학생, 군자금 모금, 무기 구입

활동: 독립사상 고취(선언문, 격문), 민족운동 확산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 파리강화회의에 대표 파견(김규식(신한 청년당)), 국내의 독립 운동 준비, 고종의 독살설, 2.8독립선언(일본 유학 중이던 학생들, 도쿄), 길림에서의 독립 선언(2월) =>
3.1 운동
: 독립 선언문 발표, 만세 시위
1단계:
독립 선언서 제작,배포
, 비폭력주의
2단계:
학생들 주도의 시위 운동, 상인,노동자들의 만세 시위, 파업,운동자금 제공

3단계:
농민들의 적극적 참여, 무력저항, 국외로도 확산

의의: 독립 의지 천명, 민족 저력 과시, 민족 주체성 확인 계기, 독립 운동 방향 제시

=>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민족의 역량 통합, 무단통치->문화통치, (중국의 5.4운동, 인도의 무저항 운동, 중동 지역의 반제국주의 민족운동)

각지의 임시 정부: 대한 국민 의회(연해주, 손병희), 한성 정부(국내 13도 국민 대표, 이승만, 이동휘), 대한민국 임시 정부(중국 상하이, 민주 공화제 바탕, 이승만)

->
통합(1919): 상하이, 근대적 헌법, 민주 공화제, 대통령제, 입법기관(임시 의정원), 사법기관(법원), 행정기관(국무원), 3권 분립의 헌정 체제
독립 청원서 등의 독립외교의 실패, 노선 갈등, 이승만의 위임 통치안 제출(독립운동가들의 분노->박은식(제2대 임시 대통령)), 임시 정부 개편의 필요성(이동휘의 레닌 지원 자금 유용 혐의, 간도 참변)
->
국민대표회의 소집(1923): 신채호, 박용만(외교 노선 비판)

창조파(신채호, 문창범), 개조파(안창호, 이동휘) 대립으로 결렬
- 대통령제 -> 국무령제로 개헌(1925)
-
창조파: 한 정부 조직, 연호: 기원, 소련의 원조(노령 지역)가 없어 실패
-
재정비: 김구
등의 노력.
이승만(외교), 안창호(실력 양성), 신채호(무장 투쟁)


활동 내역
-
연통제 실시: 비밀연락 조직(총판,독판,군감,면감), 교통국(통신기관, 군자금 모금, 정보 수집)
-
군자금 지원: 이륭 양행(만주), 밴산 상회(안희제, 부산)->각 독립군에 전달, 애국 공채
발행
-
외교 활동:
김규식(외교 총장) 파리 강화 회의 참석, 국제 연맹, 워싱턴 회의, 구미 위원부 설치(이승만, 미국, 유럽 중심, 독립 문제 여론화)

-
문화 사업: 독립신문 발행,배포, 사료 편찬소(한일관계 사료집)
-
무장 활동: 육군 무관 학교(상하이), 한국 광복군(충칭, <- 윤봉길 사건)
국제여론, 3.1운동(1919)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만주 연해주의 항일 무장 운동
-
총독 임명 규정 개정
: 문관 가능. But x
-
보통 경찰 통치
: 제복만 바뀜. + 고등 경찰제
-
신문 발행 허가(1920)
: 조선일보, 동아일보. But 검열,삭제,정간,압수
-
회사령 철폐(1920)
: 허가제->신고제
-
교육 기회 확대
: 초급학문, 기술 교육
-
치안 유지법 공포(1925)
: 공산당 체포, 독립 운동 억압
-
지방 자치의 부분적 허용
: 무늬만(임명제, 특정계층만의 선거제)
-
제복, 착검 폐지, 태형->벌금형

-
보통학교 교장에 한국인 등용 가능
-
식민 사관 정립(1922): 조선사 편찬 위원회
-
1920년대 중반: 본격적인 일제 독점 자본의 침투(광업, 비료, 섬유 회사), 중공업 정책(수력 발전소) -> 1930년대: 군수물자 공급 병참 기지(중공업 투자 증가)

-
산미 증식 계획(1920~1933): 논농사 중심 정책, 쌀 수탈 -> 식량 부족(증가량<수탈양), 잡곡 수입, 농민의 유민화

기만정책, 한민족 이간 분열, 근대의식 성장 오도, 식민 통치 은폐
일제의 수탈, 식민지 교육 반발 -> 1926.6.10만세 운동: 순종 인산일, 전문학교, 고등 보통 학교, 사회주의계에 의해 각각 -> 연쇄 반응, 탄압, 거족적x, 학생들 투옥 -> 민족주의계, 사회주의계 통합 신간회 결성(1927)

한일 학생 충돌의 편파적 처리 ->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국민 가세, 전국적 규모(5만4천여명, 5개월)+일본 유학생, 신간회,성진회의 조직적 후원

항일 무장 투쟁: 구월산대(황해도), 천마산대(광복군 사령부와 협조, 이후 대한 통의부에 편입), 보합단(군자금 모집, 친일파 숙청)

애국 지사들의 의거

의열단(1919): 김원봉(만주, 길림), 5파괴 7가살, 조선 혁명 선언(1923, 신채호)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침체 ->
한인 애국단(1926, 상하이): 김구
중심, 활발한 활동
-
강우규(1919, 노인단)
: 사이토 총독 투탄
... -
이봉창(1932, 애국단): 일본 국왕 폭살 기도 사건 -> 중국의 보도(아쉬워하는) -> 상하이 사변

-
윤봉길(1932, 애국단): 상하이 훙커우 공원 투탄, 국제거 관심 -> 한중 연합의 계기(대한민국 임시 정부 지원 강화, 무장 독립 승인)
독립 운동 기지의 건설
신민회(1907~1911)의 활동 -> 독립 운동 기지 설치(남만주의 삼원보(경학사 설립), 밀산부의 한흥동, 블라디보스토크의 신한촌)

한인의 국외 이주

19세기 중엽: 기아 빈곤 탈출위해
계절 출가 이민
을사조약(1905) 이후: 일제 반감 인사, 정치적 망명자
국권 강탈(1910) 이후: 의병, 애국지사 -> 중국, 연해주, 미국, 일본 망명, 경제 및 교육단체 표방

만주(간도) 지역 활동

3.1운동 이전: 황무지 개간, 민족 학교 성립, 경학사(1910): 자치기구->부민단(1914) 개편, 백서 농장(1917), 중광단(1911): 대종교 중심, ->북로 군정서
3.1운동 이후: 독립군 편성
-
간도 참변(1920.10 경신참변), 미쓰야 협정(1925 중국 군벌), 만보산 사건(1931, 일본의 이간책, 한중), 항일 운동 약화(1930년대)

중국(상해) 지역 활동

-
동제사(1911): 중국 국민당과 교류, -> 신아 동제사(1913): 발달 학원 설립
-
신한 혁명당(1915): 복벽주의 -> 공화주의
, 대동 단결 선언(1917)
-
신한 청년당(1919)
: 김구, 박은식, 외교활동

연해주 지역 활동

-
한민회(1905): 한인 자치 기구
-
13도 의군(1910)
: 의병 통합체
-
성명회(1910)
: 유인석, 이상설, 선언문(피의 투쟁)
-
권업회(1911)
: 이종덕, 국권 회복, 경제 이익 증진, 민족 교육 운동
-
대한 광복군 정부(1914)
: 임시 정부 탄생의 계기
-
전러 한족회 중앙 총회(1917)->대한 국민 의회(1919, 정부형태)
: 고창일(파리 강화 회의)
-
1920년대: 볼셰비키의 한인 무장 해제(
자유시 참변(1921)
), 운동 약화
-
1930년대: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1937), 희생, 재산 소실
미주 지역 활동
하와이 사탕수수 노동자(7천여명), 미국 본토(유학생, 관리 출신, 인삼 장수, 지식인), 멕시코 쿠바(노예생활)
대부분 재정 지원, 선전, 외교 활동
- 하와이: 신민회(1903), 한인 협성회(1907)
- 미국 본토: 공립 협회(1905)->국민회
대한인 국민회(1910): 외교, 신한민보
흥사단(1913, 안창호<-신민회): 군인 양성, 외교, 교민 교화, 동광(잡지)
구미 위원부(1919, 워싱턴): 이승만, 외교, 한국평론(영문 월간지)
, 구체적 성과x

일본 지역 활동

19세기 말: 유학생 -> 국권 강탈 후: 산업 노동자(착취, 차별)
-
조선 청년 독립단: 2.8독립선언(1919)

3.1운동 이후 조직적 무장 독립 전쟁 전개!!
- 봉오동 전투(1920.6 연해주)
: 일본군의 침입, 퇴각
-
청산리 전투(1920.10 만주): 훈춘 사건 조작->침투, 김좌진의 북로 군정서군(청산리 대첩
), 대한 독립군, 국민회 독립군 등의 성과
->
간도 참변(1920.10)
: 보복성 무차별 한인 학살
-
자유시 참변(1921)
: 소련 내전+일본과의 마찰 우려 -> 독립군 사상
-
독립군 재정비(3부, 민주적 민정기관, 군정 기관 설치): 육군 주만 참의부(1924~1927, 임시 정부 직할, 압록강 건너), 정의부(1925~1927, 길림,봉천,남만주), 신민부(1925~1927, 자유시 참변 독립군, 북만주)

-
미쓰야 협정(1925): 일중, 현상금 협정->독립군 위협
-
민족 유일당 운동(1926, 북경) -> 3부 통합운동
: 혁신 의회(1928, 북만주 김좌진,지청천,김동삼->한국독립당,군 결성), 국민부(1929, 남만주, ->조선혁명당,군 결성)
-
만주사변(1931) -> 한중 연합 작전: 한국독립군(지청천)+중국호로군(쌍성보, 대전자령 전투, 사도하자 전투, 동경성 전투), 조선혁명군(양세봉)+중국의용군(흥경성 전투, 영릉가 전투) -> 일본군의 대토벌 작전, 사기저하, 의견대립 -> 대부분 중국 본토로 이동(임시 정부의 요청): 한국 광복군 창설 참여(1930년대 중반), 잔류+중국 공산당군: 동북 항일 연군 편성,항전
- 조국 광복회(1936): 동북 항일 연군의 민족 연합 전선 실현 목적, 함경도
-
보천보 전투(1937): 함경남도 보천 습격(북한의 김일성 주도
선전)
-
민족 연합 전선 형성 노력: 좌우 대립 지양 -> 민족 혁명당(1935)
: 민족 독립 운동의 단일 정당 목표, 의열단(김원봉) 중심->지청천,조소앙 탈퇴 -> 조선 민족 혁명당 개편(1935), 중국정부의 협조(조선 의용대), 중국군과 합세
- (한국 국민당(김구)+민족주의계->)한국 광복 운동 단체 연합회 결성+조선 민족 전선 연맹(사회주의계)과 제휴 -> 
전국 연합 진선 협회(1939)
: 완전한 통합은x
-
한국 광복군(1940): 임시정부의 김구,지청천, 신흥 무관 학교 출신의 독립군+중국 각지 청년 -> 창설(충칭), 조선 의용대(김원봉) 흡수

-
조선 의용군(사회주의): 중국 화북지방 중국 공산당과 연계, 한국 광복군과 따로 전개

태평양 전쟁(1941) -> 대일,대독 선전 포고문 발표(한국 광복군), 연합군 합류
국내 집입 작전 계획: 지청천(총사령관),이범석(지대장), 미군과 연합, 비행대 편성 -> x(일본의 무조건 항복 1945)
레닌(사회주의)의 약소 민족 독립 운동 지원 약속(1920년대), 3.1운동(1919) 후 세력분화
-
민족주의(자본주의): 실력 양성(비타협적, 민립대학, 물산 장려, 실력 양성), 민족 개량주의(이광수,최린, 식민지 인정, 정치적 자치권 획득 운동)
-
사회주의: 노동자,농민 중심 국가
, 노동 조합, 농민 조합, 계급운동+독립운동
-
아나키스트(무정부주의)


=>
민족 유일당(민족 협동 전선) 운동
-
북경 촉성회(1926): 안창호, 단결 호소로 창립
-
조선 민흥회(1926)
: 사회주의(서울 청년회계)+민족주의(조선 물산 장려회)의 제휴
민족주의 내 이광수,최린의 자치론(식민지 인정)
-> 자치론 확산 우려로 사회주의 세력과 협동
-
신간회(1927~1931): 비타협적 민족주의+사회주의, 일제하 최대의 합법적 항일 단체
, 전국 140여개 지회, 일본,만주까지 확대
사회운동 전개
: 소작쟁의, 수재민 구호 운동, 재만 동포 옹호 운동
광주 학생 운동 후원(1929)
: 조사단 파견
한국어 교육, 한국인 교육, 착취 기관 철폐, 일본인 이민 반대, 과학 사상 연구의 자유 등을 주장
->
코민테른의 좌경화 정책, 중앙 본부의 우경화로 지회와 마찰, 일제의 탄압으로 해체

-
근우회: 여성계의 민족 유일당, 강연회,토론회, 야학 설치, 여성 계몽, 신간회와 같이 해체

-
여성운동
: 여자 청년회, 부인회 등, 가부장제, 전통적 인습 타파, 사회주의적 -> 많은 여성의 사회 활동 참여
-
소년 운동: 천도교 청년회의 소년부 설치, 어린이날
선전문, 조선 소년 연합회(1927), 용기 애국심 고취, 지도층의 이념 대립으로 분열 -> 중일전쟁 후 일제의 청소년 운동 일절 금지로 중단
-
청년 운동
: 야학 설립, 물산 장려, 민립대학 설립 운동 등 지원, 사회주의적 -> 조선 청년 총동맹(1924): 민족주의+사회주의 분열 수습
-
학생 운동: 동맹 휴학 형태 전개, 조선 역사 교육, 조선어 사용, 학생회 자치, 언론 집회 자유 요구 ->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 형평 운동: 백정의 차별 -> 조선 형평사(1923) <-> 반형평(신분의식) 운동
-> 성격 변화(대동사 1936, 순수한 경제적 이익 향상 운동)


경제적 저항 운동의 전개

농민 운동(소작쟁의)
- 일본의 토지 약탈, 지주 성장 -> 농민 이탈, 소작농 전락 -> 농민 운동(소작쟁의): 생존권 투쟁, 전라남도
무안군 암태도 소작쟁의(1923)
-
조선 농민 총동맹(1927): 조직적 전개
- 1930년대:
사회주의와 연계


노동 운동(노동쟁의)
식민지 공업화로 산업 노동자 증가,
열악한 노동 조건(12시간, 적은 임금), 민족 차별 -> 노동 조합의 결성: 임금 인상, 단체 계약권, 8시간 노동제, 악질 감독 추방, 노동 조건 개선 등 요구
-
원산 노동자 총파업(1929)
: 일본인 감독의 한국인 노동자 구타 사건 계기, 조직적 파업,투쟁, 항일적, 국제적 연대(외국의 격려문) 과시
-
1930년대: 일제의
병참 기지화 정책
으로 통제 강화

민족 기업 육성

경공업 중심(직포, 메리야스, 고무신), 소규모 중심, 물산 장려 운동 전개(1922, 민족 기업 지원, 민족 경제 자립, 자작회, 물산 장려회)
일제의 한국사의 왜곡(단군 조선 부정, 식민 사관 전개): 외세의 간섭에 의한 한국사 전개론(타율성론), 정체(고대사회에서 정체)성론, 반도성론(위치적으로 외세 침탈 취약), 당파성론(내부 분열(파벌)에 의한 조선 왕조 멸망)
-
조선사 편수회(1925): 식민 사관 토대 '조선사' 편찬
-
청구학회(1930)
: 경성 제국 대학 교수, 청구학보

민족 문화 수호 운동
한국사 연구
*민족주의 사학

-
박은식: 한국통사(19세기 민족 수난), 한국독립운동지혈사, 연개소문전, 안중근전, 중요시, 임시 정부 대통령 활동
-
신채호: 주로 고대사 연구, 조선상고사, 조선사연구초, 최도통전, 을지문덕전, 낭가(화랑도) 사상 중시, 조선 혁명 선언 -> 무정부주의자
-
정인보: 신채호 계승, 실학 연구, 5천 년간의 조선의 얼, 조선사연구
-
문일평
: 세종 중요시, 조선심, 조선 사상 강조
-
최남선
: 조선 광문회 조직, 불함 문화론 주장(백두산: 동양 문화의 원천)
조선학 운동: 국수적 낭만적 역사 비판, 고증적, 자주적인 근대 사상, 주체성

*
실증 사학
-
진단 학회(1934) 조직: 실증주의 사학 도입
*
사회 경제 사학

-
백남운: 사적 유물론, 세계사적 보편성 위에서 체계화, 식민 사학의 정체성 반박, 민족주의 사학 정신도 비판, 조선사회경제사(1933), 조선봉건사회경제사(1937), 해방후 지주,자본가와 새나라(연합성 신민주주의)
*
신 민족주의 사학(1940~50년대)

- 민족적 자유 평등 실현, 역사 재평가, 민족사 체계화
- 손진태: 평등,친화,자주독립 제창, 안재홍, 홍이섭 등

한글 보급 운동
-
조선어 연구회(1921): 한글 연구, 강습회,강연회, 한글 보급, 잡지(한글), 가갸날
->
조선어 학회(1931~1942)로 개편: 우리말 큰사전 편찬 착수 -> 조선어 학회 사건(1942)
낮은 취학률, 철저한 식민지 교육 -> 민족 교육 운동 전개
- 일본 총독의
조선 교육령(1911.8): 식민 사관 주입
-
1920년대 야학: 우리글,말, 역사
-
민립대학 설립 운동(1922): 총독부에 건의->묵살 -> 모금 활동, 실패(자연재해 및 일제방해) -> 일본의 무마책:
경성 제국 대학(1924)

-
만주사변(1931) 이후: 야학 개량서당 위축

농촌 계몽 운동
-
문자 보급 운동: 조선일보(1929, "아는 것이 힘, 배워야 산다", 문맹퇴치)
-
브나로드(Vnarod, 계몽) 운동(1923): 동아일보
, 문맹 퇴치, 미신 타파, 구습 제거, 근검 절약 등의 생활 개선 운동
->
금지령(1935)


과학 대중화 운동
-
안창남의 고국 방문 비행
- 민족지의 과학 대중화 주장 ->
발명 학회, 과학 문명 보급회(1924)

-
발명 학회(1924): 과학조선, 과학의 날 행사
-> 1930년대 말 일본 과학 단체로
강제 흡수


종교 활동
-
개신교: 신사 참배 거부로 투옥, 학교 폐쇄
-
천주교
: 경향(잡지), 의민단(무력 투쟁)
-
천도교
: 자주독립 선언문(제2의 3.1운동계획), 개벽, 어린이, 학생 등의 잡지
-
대종교
: 항일 투쟁, 항일 무장 단체(중광단, 북로 군정서)
-
불교
: 사찰령, 승려법(일본 불교에 예속), 한용운(항일)
-
원불교
: 현대화, 생활화, 개간 사업, 저축 운동
일부 종교계 인사들은 친일적 성향
-> 일본 본토+식민지: 하나의 경제 블록, 병참 기지화: 노동력, 자원 수탈 -> 유조구 사건: 고의적 철도 폭파 사건->만주사변(1931): 만주점령
-
남면북양(면화,면양) 정책
: 산미 증식->공업 원료 증산 정책
-
중화학 공업 육성
: 전기, 제철, 중화학 등 군수시설
- 대공황 여파, 소작 쟁의, 사회주의 세력, 적색 농조 운동 ->
농촌 진흥 운동(1932)
: 농민 회유책, 미봉책

 ->
중일전쟁(1937) 도발

-
국가 총동원령(1938) 제정: 인적,물적 수탈, 생존,문화까지 말살
-
산미 증식 계획 재개(1939)
: 군량 확보, 식량 배급제(1939), 미곡 공출제, 가축 증식 계획
-
국민 정신 총동원 조선 연맹(1938)
: 국민 생활 전반 통제, 10호단위 애국반

->
침략전쟁의 확대(태평양 전쟁)

-
금속 그릇 공출: 농구, 식기, 제기, 교회나 사원의 종
-
인적자원 동원:
강제 전쟁 투입, 강제 노역 종사

-
학도 지원병제(1943), 징병제도(1944), 정신대(1944)

황국 신민화
-
민족 정신 말살: 내선 일체, 일선 동조론, 서사 암송, 궁성 요배, 신사 참배 강요
-
민족 문화 말살:
신교육령(1938)
: 우리말, 글, 역사공부 금지.
-
민족 근원 말살:
창씨 개명
강요.
-
물적, 인적 수탈:
강제 징용, 공출, 학도 지원병제(1943), 징병제도(1944), 정신대(1944), 패전후 대량학살
  - 한국 독립당(1940.4, 민족주의 계열): 대한민국 건국 강령(보통 선거, 민주 공화국, 삼균주의(정치,경제,교육))
-
조선 독립 동맹(1942.7, 사회주의)
: 김두봉, 조선 의용군(중국 공산당과 연합), 건국강령(보통 선거, 민주 공화국)
-
조선 건국 동맹(1944.8, 좌+우)
: 일제타도, 민주주의

- 일제의 패망 인식:
여운형과 협상(치안권, 재정권 인계->안전 귀국 보장
)

열강의 한국 문제 논의

-
카이로 회담(1943.11, 이집트): 미영중, 최초로 한국의 독립을 약속
-
얄타 회담(1945.2, 소련): 미영소, 38도선 진주 제안(일본군 무장 해제 이유), 신탁 통치 밀약->맥아더의 일반 명령1호(공식 확정)
-
포츠담 선언(1945.7): 미영소중 등 연합국 대표, 카이로 선언 재확인
->
미소 군정의 실시: 남(아놀드 군정 장관, 친미 우익), 북(소련, 공산주의)
// 남한 정세:
-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1945.8.15): 조선 인민 공화국 선포(1945.9.6) 이승만 주석, 여운형 부주석 (좌우->실제로는 좌익 정부,우익 외면,미국의 부정)
- 우익:
한국 민주당, 독립 촉성 중앙 협의회(이승만), 한국 독립당(김구), 국민당

- 좌익:
조선 인민당
- 좌우:
민족 자주 연맹(김규식)//
-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1945.12): 미소 공동 위원회 설치(임시 민주 정부 수립 지원 목적), 최고 5년간의 신탁통치 결정(미영중소) -> 반탁 운동 전개(김구, 이승만), 공산주의자들의 찬탁(소련의 사주) -> 민족분단

-
분단 극복 노력: 좌우 합작 운동, 납북 협상(1948, 김구,김규식)->실패
-
제1차 미소 공동 위원회(1946.3, 서울)
: 소련(신탁 지지 단체하고만 협의), 미국(모든 단체)
-
제2차 미소 공동 위원회(1947.5): 의견차이 지속 -> 유엔에 이관

// 공산 세력의 움직임
-
민주주의 민족 전선(1946.2): 모스크바 3국회의 결정 지지, 미소 공동 위원회 지지, 친일파 처단 제시 -> 조선 정판사 위조 지폐 사건(1946.5): 남한의 경제 혼란, 당비 조달 목적(1300만원의 위조지폐) -> 미군정의 공산당에 대한 강경책//
- 북한: 소련의 사실상 통치
-
남한: 이승만 등의 정부 수립 추진
-
정읍발언(1946.6 이승만): 남쪽만의 임시정부. -> 좌우 합작 위원회(1946.7 김규식,여운형) -> 미군정의 후원. But 좌익 세력의 탄압+이승만의 단독 정부 수립 운동, 주도 세력(김구,이승만,조선 공산당)의 불참, 극우세력의 여운형 암살(1947)
-
미군정의 남조선 과도 입법 의원(1946.12): 45명의 민선의원(이승만)+45명의 관선의원(좌우합작파)+입법의원(김규식): 과도정부로 행정권 한국에 위임

-
제2차 유엔 총회의 결의(1947): 선거를 통한 통일된 정부 수립 결정 -> 소련의 반대 -> 유엔 소총회의 결의(1948.2): 가능한 지역에서만이라도 총선거, 정부수립 결정
-
5.10 총선거 반대 운동(김구,김규식,김일성,김두봉)

-
제주도 4.3사건: 남한 단독 선거 반대, 미군 철수 구호

-
5.10 총선거(1948.5.10)
: 남북 협상파(김구), 사회주의계 대거 불참, 보통 비밀 선거 실시 -> 무소속, 독립 촉성 계열(이승만), 한민당(송진우, 김성수) 압승
-
제헌 국회 개원(1948.5.31)
: 북한 의석 남겨둔채
-
헌법 제정(1948.7.17): 민주 공화국 체제 -> 정부 수립(1948.8.15): 이승만(대통령), 이시영(부통령) -> 유엔 총회 승인(1948.12.12)


건국 초기의 국내 정세
-
좌우익의 대립: 제주도 4.3사건, 여수 순천 10.19사건(1948): 좌익의 대한민국 전복 시도
-
이승만의 반공 정책 강화, 농지 개혁

-
반민족 행위 처벌법(1948.9.22): 친일파 처벌, 민족정기 회복,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 설치 -> 반공 정책 위주의 이승만 정부: 소극적 태도, 친일파의 방해공작(반민 특위 습격 사건) 등 실패
- 평남 건국 준비 위원회(1945.8): 조만식 -> 소련에 의해 해체
- 소련에 의한 북한의 공산화: 인민위원회 조직,
북조선 임시 인민 위원회 구성(1946): 김일성 선임, 토지 무상 몰수,무상 분배, 남녀평등법, 산업 국유화

-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수립(1948.9.9): 남침 준비

이승만 정부: 좌익 게릴라, 실업과 물가 폭등 등 어려움
-
애치슨 선언: 태평양 방위선 한국 제외
-
1950.6.25 발발 -> 낙동강 전선까지 후퇴(1950.9.2) -> 유엔군 참전(16개국): 서울 탄환과 진격 -> 중국군 개입
: 38도선 부근 교착
// 실정:
거창 양민 학살 사건(1951), 국민 방위군 사건(1951)
: 군수 물자 빼돌림.
-
휴전 협정(1953.7.27), 한미 상호 방위 조약(1953.10)


피해: 사상자(150만), 국토 초토화, 남북 대립 격화
영향
: 이승만 독재화 이용, 경제 발전 의지, 가족 촌락 의식 약화(대이동), 서구 문화 무분별 침투

-
전후 복구 사업:
우방의 원조, 국민적 참여

-
제네바 회담(1954): 한국 통일, 인도차이나 휴전 토의
농지 개혁법(1949.6) 제정: 유상 매입(지가 증권), 유상 분배, 지주 중심의 개혁6.25...

6.25전쟁 이후
반공 위주, 자유 제약
-
발췌 개헌(1952.5): 대통령 직선제
-
사사오입 개헌(1954.11)
: 중임 제한 철폐
-
1956선거: 자유당 이승만(대통령), 민주당 장면(부통령) 당선 -> 위기의식 자유당의 신국가보안법(2.4파동) -> 진보당 사건(1958): 진보당 당수 조봉암 간첩혐의 처형, 경향신문 폐간

-
1960.3.15 부정선거, 김주열 사망
-
1960.4.19 혁명 -> 시위 군중 발포, 강제 진압 -> 반감, 시위확산 -> 이승만 사임,망명


경제
6.25이후
미국의 경제 원조: 원료 중심 -> 삼백 산업(제분, 제당, 섬유)
1950년대 후반:
지원품의 차관전환 -> 중소기업 파산
과도 정부(허정)
-
내각 책임제, 양원제로 헌법 개정, 총선거 실시 -> 민주당 압승: 윤보선(대통령), 장면(국무총리)
-
내부 갈등, 시위 지속, 미흡한 대처

- 경제 정책 추진: 국토 개발 사업,
경제 개발 5개년 수립

->
1961.5.16 군사 정변
- 1961.5.16 군사 정변: 무질서,혼란 구실
- 국가 재건 최고 회의 구성: 헌정 중단,
군정 실시

- 혁명 공약 제시: 반공, 사회안정, 정치 활동 정화법(구정치인의 활동 금지)

-
복귀 약속 외면, 선거 출마(1963) -> 박정희 당선
정치: 대통령 중심제, 단원제
경제: 경제 성장 최우선
폐단: 자유억압, 민주주의 저해, 과도한 외채
- 한일 국교 정상화 ->
1964.6.3시위(대일 굴욕 외교 반대) -> 계엄령, 한일협정(1965): 한미일 협력 체제, 배상금의 경제 개발 자금 이용
-
베트남 파병(1965)
: 브라운 각서(미국의 보상 조치)
- 3선 개헌 강행(1969): 여야 극대립

경제
제1,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섬유, 신발 등 경공업): 저임금 정책
국제 정서 변화 -> 국가 안보, 사회 질서 유지 이유로 유신 헌법 제정(권위주의, 장기 집권): 대통령 각선제, 국회 장악, 긴급 조치권

-
부마(부산 마산) 사태(1979.10): 대학생 시민들의 시위
-
1979.10.26사태: 박정희 대통령 피살 -> 계엄령, 통일 주체 국민 회의: 최규하 대통령 선출 -> 1979.12.12사태
: 신군부(전두환, 노태우) 군권 장악, 정치권 장악

경제
제3,4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외국인 직접 투자 유치, 기업 특혜, 중화학 공업화): 철강, 조선, 기계, 전자, 비철금속, 석유 화학 등 발전
1979.12.12사태: 신군부(전두환, 노태우) 군권 장악, 정치권 장악 -> 1980.5.18 광주 민주화 운동
- 국가 보위 비상 대책 위원회 설치: 정치인의 활동 규제
-
8차 개헌: 7년 단임의 대통령 간접 선거제, 민주 정의당 창당, 전두환 대통령 선출(1981)

국정: 정의사회 구현, 복지 사회 건설, 경제 안정, 수출 증대
문제점:
언론 통폐합, 삼청 교육대, 각종 부정 비리

1987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 4.13 호헌 조치(장기 집권 의도) -> 1987.6월 민주 항쟁
유화책: 정치 규제자 단계적 해금, 해외 여행 자유화, 통행 금지 해제, 중고생 교복 자율화
1987.6월 민주 항쟁: 대통령 직선제 개헌 요구, 호헌 철폐, 독재 타도, 민주 헌법 쟁취 -> 1987.6.29선언(노태우): 대통령 직선제 개헌
-
9차 개헌(1987): 5년 단임 대통령 직선제
- 선거결과: 신군부
노태우
정부 수립

-
올림픽 개최, 지방 자치제의 부분적 실시

-
북방 정책 추진: 동구 공산주의 국가 및 소련, 중국과 외교, 국제연합(UN) 남북 가입
문제점:
부정 비리, 민주주의x
- 금융 실명제, 지방 자치제 전면 실시
-
12.12사태 규정, 5.18민주화 운동 추모식, 노태우,전두환 구속 기소(1995)
-
OECD가입(1996)
-
IMF 지원(1997말)

경제
- 우루과이 라운드 협정(1994):
농업 타격
-
IMF 관리 체제(1997)
적극적 햇볕 정책 추진
남북 정상 회담 -> 6.15 남북 공동 선언, 남북 경제 협력, 이산가족 상봉
   
정치 (통치 체계) 세도 정치 타파, 비변사 격하-폐지(의정부, 삼군부 회복), 법전정비(대전회통, 육전조례), 경복궁 중건(원납전, 당백전:물가 폭등, 청전 유통, 벌목, 부역 동원), 서원의 정리 운요 호 사건(1875): 일본의 정한론, 교섭요구, 강화도에서 피격 -> 강화도조약(1876): 조일 수호조규, 병자수호조약 체결
-
강화도조약(1876): 최초의 근대적 조약
, 불평등 조약(치외 법권, 해안 측량권)
청의 종주권 부인+해안 측량권(군사 침략 의도), 수신사 파견, 영토 주권(항구 중심) 침해, 치외 법권

-
조일 수호조규 부록(1876, 부속조약): 외교관의 여행자유, 인본 거류민 거주 지역 설정, 일본 화폐의 유통
-
조일 통상 장정(1876)
: 무관세, 양곡의 무제한 유출

러시아의 남하, 미국의 접근, 황쭌셴의 조선책략
(러시아 견제위해 중일미국과 외교하라) 유포. ->
-
조미 수호 통상 조약(1882 서양과의 최초 조약): 청의 알선, 치외법권, 최혜국 대우
, 관세부과, 상호협전(3국 압박시 서로도와줌)
=>
영국(1882), 러시아(1884, 직접), 프랑스(1886, 직접): 치외 법권, 최혜국 대우


당면 과제: 1. 자주 독립 유지, 2. 내외의 이중적 수탈로부터 민중 보호 -> 근대적 국민 국가
     
경제 삼정의 문란 시정: 양전 실시(전정), 호포법(군정, 양반징수), 사창제(환곡) -> 한계: 통치체제 유지 목적     - 러일전쟁(1904) -> 대한제국의 국외 중립 선언 -> 무시, 한일 의정서(1904.2) 체결: 러시아와의 조약 폐기, 군사적 요지 시설 사용, 외교에 일본 승인 필요
-
제1차 한일 협약(1904.8, 고문통치)
: 재정고문(일본인 메가다), 외교고문(미국인 스티븐스), 군사, 경찰, 학부, 궁내부에도 일본인 고문
-
제2차 한일 협약(1905.11, 을사조약, 통감정치)
: 통감정치 강요, 외교권 박탈, 통감부 설치
-
한일 신협약(1907.7, 정미7조약, 차관통치)
: 순종 즉위 후, 각 부에 차관, 군대 해산
-
기유각서(1909.7)
: 의병 진압, 사법권, 감옥 사무권 박탈, 경찰권 박탈(1910.6)

=>
총독부 설치, 총독에 의한 식민 통치


-
고종의 을사조약 무효 선언(1905)
-
일진회의 합방 건의문(1909)
 
대외 정책 이양선의 출몰, 통상 요구, 영+프의 베이징 점령, 러시아의 연해주 차지, 최초의 통상 요구(1832 영국 로드 암허스트)
천주교 확산(프랑스 선교사), 서양 상품 유입
통상 수교 거부, 미국 상선 침몰(1866 제너럴 셔먼호, 평양주민과 충돌), 병인박해(1866): 프랑스 신부 9명, 신도들 처형 -> 병인양요(1866): 프랑스의 통상요구, 강화읍 점령, 외규장각 문화재, 서적, 병기 약탈 <-> 한성근, 양헌수 부대(문수산성, 정족산성)가 격퇴
오베르트 도굴 사건(1868): 독일 상인, 충남 덕산 남연군 묘 도굴 -> 존화 양이론, 상수교거부(쇄국) 의지 강화

신미양요(1871): 강화도 공격 <-> 어재연(광성진, 갑곶 등지)이 격퇴
=>
척화비 건립


대원군 하야(1873), 민씨(고종 친정) 세력 집권: 개화대두
간도 문제
청과의 간도 문제(1881~) -> 서북 경략사(1883), 토문 감계사(1885),
간도 관리사(1902, 함경도에 편입) 파견
일본이 간도 파출소 설치(1907), 간도 협약(1909): 남만주 철도(안봉선) 부설권 및 푸순 탄광 채굴권을 얻고, 청에게 넘김.


울릉도, 독도 문제
신라 지증왕 때 신라의 영토 -> 숙종 때 안용복: 일본 어부 축출, 일본에 우리 영토임을 확인
=>
일본이
러일전쟁(1905) 중 불법적으로 강탈
     
      - 남북 적십자 회담 제의(1971): 이산가족 찾기, 1972 회담, 최초의 협상
-
1972.7.4 남북 공동 성명: 3대원칙(자주통일, 평화통일, 민족적 대단결), 남북 조절 위원회 설치 합의
- 1973.6.23 선언: 남북 유엔 동시 가입 제의, 호혜 평등의 원칙하에 모든 국가에 문호 개방, 내정 불간섭, 남북 대화, 북한의 국제 기구 참여 합의
-
1974 평화 통일 3대 원칙: 남북 상호 불가침 협정 체결 제의(1974.1), 3대 원칙(평화 정착, 상호 신뢰 회복, 토착 인구 비례에 의한 남북한 자유 총선거 실시 통일)
- 최고 책임자 상호 방문 제의(1981.1)
-
민족 화합 민주 통일 방안
(1982.1.22)
-
남북 이산가족 고향 방문
(1985)
-
1988.7.7선언
- 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1989): 자주, 평화, 민주
-
소련과 국교(1990)

//
독일의 통일(1990)
-
국제연합(UN) 남북 동시 가입(1991)
-
남북 기본 합의서 채택(1991): 남북한 상호 화해, 불가침 선언, 교류, 협력,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
-
중국과 국교(1992)
- 3단계 3대 기조 통일 정책(1993)
//
제네바 기본 합의서(1994): 한반도 핵문제
-
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1994)
//
김일성 사망(1994)
-
정상 회담 무산, 남북 관계 냉각(1994)
- 김대중 정부 이후 관계 급진전(1998)
-
6.15 남북 공동 선언(2000, 평양): 자주적 해결, 남측 연합제와 북측 연방제 사이 공통성 인정, 이산가족 방문단 교환과 비전향 장기수 문제 해결 노력, 경제 협력 교류 활성화, 대화의 계속


국사_정리.xlsx
0.22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