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연구요원 시험 준비하면서 정리했던 것 방출.
Excel 파일: 국사_정리.xlsx
옆쪽 드레그가 어려워서 각 sheet별로도 따로 포스팅 합니다.
구석기~연맹체
삼국 종합 정리
삼국 시대~고려
삼국 시대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 고구려 | 백제 | 신라 | 틍일 신라 | 발해(698~926) | 후삼국 시대(900~936) | 고려 | |||||||||||||||||||||||||||||||||||||||||||||||||||||||||||||||||||||||||||||||||||||||||||||
태조왕 | 고이왕 | 내물왕 | 태조왕 | 고국천왕 | 동천왕 | 미천왕 | 고국원왕 | 소수림왕 | 광개토 대왕 | 장수왕 | 문자왕 | 영양왕 | 영류왕 | 보장왕 | 발해 건국 | 고이왕 | 근초고왕 | 침류왕 | 비유왕 | 개로왕 | 문주왕 | 동성왕 | 무령왕 | 성왕 | 의자왕 | 내물왕 | 눌지왕 | 소지왕 | 지증왕 | 법흥왕 | 진흥왕 | 진평왕 | 선덕여왕 | 진덕여왕 | 무열왕 | 문무왕 | 신문왕 | 성덕왕 | 경덕왕 | 혜공왕 | 선덕왕 | 원성왕 | 헌덕왕 | 흥덕왕 | 문성왕 | 진성여왕 | 효공왕 | 멸망 | 전체적으로 | 대조영(고왕) | 무왕(대무예) | 문왕(대흠무) | 선왕(대인수) | 멸망 | 전체적으로 | 후백제 | 후고구려(마진 -> 태봉) | 고려 | 고려사회 | 태조(왕건) | 혜종 | 정종 | 광종 | 과거, 음서제도 | 경종 | 성종 | 통치 조직 | 군사 조직 | 목종 | 현종 | 덕종 | 문종 | 선종 | 숙종 | 예종 | 인종 | 의종 | 명종 | 신종 | 희종 | 고종 | 원종 | 충렬왕 | 충선왕 | 충목왕 | 원(몽골) 간섭기 | 권문세족 | 공민왕 | 우왕 | 신진 사대부 | 창왕 | 공양왕 | 멸망 | |||||||||||
1세기 후반~2세기 | 3세기 중반 | 4세기 후반 | 1세기 후반~2세기 | 2세기 후반 | 3세기 중반 | 4세기 초반 | 4세기 초반 | 4세기 후반 | 5세기 초반 | 5세기 | 5세기 후반 | 600 | 624 | 645 | 7세기 말 | 3세기 중반 | 4세기 후반 | 4세기 후반 | 5세기 전반 | 5세기 후반 | 5세기 후반 | 5세기 후반~6세기 초 | 6세기 초반 | 6세기 중반 | 7세기 | 4세기 후반 | 5세기 전반 | 5세기 후반 | 6세기 초반 | 6세기 전반 | 6세기 후반 | 7세기 초반 | 7세기 중엽 | 7세기 중엽 | 654~661 | 661~681 | 681~692 | 702~737 | 742~765 | 771 | 하대 시작 | 788 | 821 | 828 | 838 | 888 | 900 | 935 | 698~719 | 719~737 | 737~793 | 818~830 | 926 | 900~936 | 901~918 | 918~ | 태혜정광경성/목현덕문선숙예인의/명신희고원/충렬선목/공우창공 | 936~943 | 945~949 | 949~975 | 975~981 | 981~997 | - | - | 997~1009 | 1009~1031 | 1031~1034 | 1046~1083 | 1095~1105 | 1105~1122 | 1122~1146 | 1146~1170 | 1170~1197 | 무신정권 | 1259~1274 | 1274~1308 | ~ | 1351~1374 | 1374~1388 | ~ | 1392 | |||||||||||||||||||||||
대외 상황 | 중국: 한 -> 위진 남북조 시대 -> 수 -> 당 | 5호 16국 시대 | 전진(북중), 동진(남중) | 남북조 | 전진(북중), 동진(남중) |
남북조 | 전진(북중), 동진(남중) |
남북조 | 수 | 당 | 당 | (668) 당의 안동도호부에 저항 | 거란 건국(916) | 5대10국(907~960), 만주 서부 거란(발해 침공 926) -> 송(960~1127), 여진족(금, 1115~) -> 원(몽골, 1206~1368) | - 귀족: 문벌 귀족- 음서, 과전, 공음전(자녀에게 세습), 왕실과 혼인 - 중류층: 서리, 남반, 향리, 군반, 역리 세습적, 호족 -> 향리, 실지배층 -> 과거를 통해 몇몇은 귀족대열에 합류 - 양민: 농민, 상공업, 백정 특수 구역: 향, 부곡(농업), 소(수공업, 광업): 세금 부담이 큼. - 천민: 사노비, 공노비 사노비: 사원에 예속, 주인집에 살면서 잡일, 외거하면서 신공을 바침, 경제적으로는 독립, 양인으로 상승 가능. 일천즉천(부모 중 한쪽이 노비 -> 노비) 천자수모법(어머니 쪽 소유주에 귀속) 대가족 단위 여성의 지위가 비교적 높음 과전(전시과): 세 1/10, 반납 사전(공음전, 공신전): 세 1/2, 세습 깊이갈이(심경법, 우경), 시비법(가축 배설물 + 풀, 갈대 태우거나), 윤작법(2년3작: 보리, 콩, 조 돌려짓기), 이앙법, 농상집요(이암이 원의 책 소개) 시전, 행상 화폐: 곡물이나 삼베가 대신 고리대업(장생고) 성행 |
발해 <- 거란에게 정복 | 경제 ! 농민 보호책: 잡역 금지, 면재법(재해), 자모 정식법(법으로 이자율 제한), 겸병 금지 ! 향도(불교의 신앙조직 -> 마을 공동체) ! 왕의 적전 경작, 개간 장려 |
송(960~1127), 요(거란) | 말갈(발해) -> 여진족(금, 1115~1234) | 원(몽골, 1206~1368): 금 공격, 거란족 복속; 요 -> 대요수국(1216 거란); 금 쇠퇴 -> 동진국(1217 여진) | 명(1368~1644) -> 청 | |||||||||||||||||||||||||||||||||||||||||||||||||||||||||||||||||||||||||||||||||||
발달 및 교류 | 철기 문화 -> 우세한 집단의 정복활동 | 부여 유이민 + 압록강 토착민 -> 계루부 고씨의 왕위 세습 (5부 체제) -> 옥저 정복, 낙랑 공격 | 북방(부여) 유이민 + 한강 토착민 | 토착 세력이 유이민 흡수, 통합 | 연맹체: 금관가야(3세기경) -> 고구려군의 공격(4세기 말 5세기 초) -> 대가야(5세기 초) -> 금관가야 정복(법흥왕, 532) -> 대가야 병합(진흥왕, 562) | 부여 유이민 + 압록강 토착민 | 부족적 전통 5부 -> 행정적 성격의 5부제로 개편 | 서안평 공격(실패) -> 위축 | 서안평 점령(311), 낙랑군, 대방군 축출(313) | 백제 근초고왕 침입 -> 왕 전사 | 연호: 영락 | 부여 복속(494) | 살수대첩(을지문덕 612):수 양제의 침입 | 안시성 싸움(양만춘 645) | 북방 유이민 + 한강 토착민 | 고구려 공격(고국원왕 전사(371)), 가야 공격 | 장수왕에 의해 전사 | 왕권 약화 | 국호: 남부여 | 토착 세력이 유이민 흡수, 통합 | 국호: 사로국 -> 신라, 왕호: 마립간 -> 왕 |
연호: 건원 | 연호: 개국, 대창 백제와 연맹 -> 한강 상류 진출(단양 적성비), 한강 하류까지 확보(북한산 순수비, 신주) |
무열계 김씨 집권(성골 -> 진골) | 고구려 멸망(668) -> 삼국 통일(676), 왕권 전제화 | 김흠돌(장인) 모역 사건 -> 귀족 숙청 -> 왕권 전제화 | 혜공왕이 죽고 상대등 김양상이 즉위 | 내물계 김씨 집권 | 무열계의 몰락 | 국호:진->발해(713), 연호:천통 고구려 유민 + 말갈 집단 |
연호:인안 | 연호:대흥 | 연호:건흥, 해동성국 |
거란에게 멸망 | 견훤 | 궁예(신라 왕족 후예, 도적 집단으로) | 왕건(송악 지방 호족, 예성강 하구에서 중국과 해상 무역) | 신라 병합(935): 정통성 확보 -> 후백제 멸망(936) | ! 조세(1/10) 공납(부담), 역 호적작성 |
! 벽란도(무역항, 대외 무역) | 과거제도 광종 때 쌍기의 건의 종류: 문과: 제술업(한문학), 명경업(유교 경전) 잡업: 회계, 법률, 지리 등 기술관 승과: 교종시, 선종시 무과: 무신(실시되지 못함) 양인 이상 응시 가능, 주로 귀족, 향리들이 응시. 백정 농민은 주로 잡과 응시. 3년주기(식년시), 실제 격년시 유행 과거 시험관(지공거): 문생과 결속. 절차: 1단계(향시): 상공(개경), 향공(지방), 빈공(외국인) 구분 2단계(국자감시, 사마시, 진사시): 향시 합격자, 국자감생, 12공도 생도, 현직 관리 -> 진사(합격) 3단계(예부시, 동당감시): 처음 국자감생, 12공도 응시 가능. 중기 이후 국자감시를 거친 진사만 응시. 음서제도 공신, 종실 자손, 5품 이상 고위 관료의 자손 등이 과거를 거치지 않고 관료 등극. 공음전 등 귀족적 특성. |
친송, 북진정책 -> 1차 요나라(거란)의 침입(993). -> 서희: 외교, 강동6주 확보, 거란과 교류 약속. | 중앙(2성6부) 중서문하성: 최고관서, 문하시중(장관)이 국정 총괄. (재신, 낭사) 중추원: 국정, (추밀, 승선) 재신+추밀: 핵심적 위치 도병마사: 국방 임시 회의 기구 -> 충렬왕 때 도평의사사(도당)로 개편. 최고 정무 기구. 식목도감: 재신, 추밀이 모여 법제정, 규정심의. 임시 회의 기구. 상서성, 6부, 어사대(감찰), 삼사(곡식 출납 회계), 한림원(외교, 왕명 문서 작성), 춘추관(실록, 국사), 대간(낭사+어사대: 직위는 낮지만 견제 균형 역할) 전체적으로 세분화 전문화 지방(12목 -> 4도호부8목(현종), 5도 양계) 5도: 안찰사 파견, 상설x, 향리(실무 행정) 양계: 북계, 동계: 북방 군사 특수 지역, 병마사 파견, 진 설치 4도호부8목: 행정, 군사적 방비의 중심지 역할 3경: 개경, 서경, 동경(경주)->남경(한양) 말단: 촌, 향 소 부곡 |
중앙군 2군 6위: 국왕 친위 부대(2군), 수도 경비, 국경 방어(6위), 상장군, 대장군 등의 무관, 직업 군인(군인전) -> 토목 공사 동원, 군인전 지급 미흡 -> 몰락 중방: 합좌 기관, 군사문제 논의 -> 무신난 이후 정치적 역할. 지방군 주현군: 5도에 배치. 주진군: 국경지대(양계) 배치. 특수군 광군: 정종 때(947) 거란족 대비. -> 주현군 모체. 별무반: 숙종 때(1095) 여진족 정벌 위해. 삼별초: 최우 집권 시(1219) 편성, 사병화 -> 개경 환도 후 몽골에 항쟁. 연호군: 양민+천민. 혼성부대 |
거란 2차 침입(1010): 친송, 교류x. 강조의 정변(목종 폐위) 계기. 강동 6주 반환 요구. -> 양규의 선전(퇴로 차단.) -> 강화(친조 약속) 거란 3차 침입(1018): 고려의 친조 약속 불이행, 강동 6주 반환 요구 거부 -> 침입 -> 귀주대첩(강감찬, 1019) -> 강화 후 철수 나성(개경) 축조 |
! 일본, 아라비아와 무역 | 화폐: 삼한통보, 해동통보, 해동중보, 활구(은병) -> 유통한계 | 금(여진) 건국(1115) -> 거란 정복 -> 고려에 군신 관계 요구.(이자겸이 정권 유지 목적으로 수락) | 정중부의 집권(1170~1179): 중방 중심으로 권력 행사, 사병 기르며 권력 쟁탈전. 토지, 노비 탈취. 김보당의 난(1173), 조위총의 난(1174), 승려의 난: 의종 복위 운동. 경대승의 집권(1179~1183): 정중부 제거, 사병 집단 도방 설치. 전주 관노의 난(천민, 노비) 이의민의 집권(1183~1196): 김보당의 난 때 의종 제거. 천민 출신, 중방 중심. 최충헌의 집권(1196~1219): 봉사(시무)10조 제시:혼란 극복: 토지 겸병,승려 고리대업 금지, 조세제도 개혁 권력 유지에 치중: 사회 개혁 흐지부지, 사병 양성, 도방 부활, 교정도감 설치: 반대 세력 제거, 최고 집정부, 조계종 후원. 만적의 난(천민, 노비: 정권 탈취 시도) 최우(최이)의 집권(1219~1249): 정방 설치: 인사권 장악, 교정도감, 서방 설치: 숙위 기구, 고문역할 삼별초 조직: 사병, 몽골과 항쟁.(자주성) 대몽 항쟁: 강화도 천도, 팔만대장경 조판 |
민란들 전주 관노의 난(천민, 노비) 김사미, 효심의 난(양민, 명종 때 + 1193): 신라 부흥 표방 만적의 난(최충헌의 사노: 정권 탈취 시도, 천민 없는 (공경장상?) 추구) 망이, 망소이의 난(양민): 신분 해방 -> 향 소 부곡 해방. 최광수의 난(1217): 고구려 부흥 표방. 이연년의 난(1237): 백제 부흥 표방. |
몽골의 침입 최우(최이)의 집권시기(1219~1249) 여몽협약(1219): 거란족 토벌 구실, 공물 강요. 1차 침입(1231): 몽골 사신 피살 -> 공물. 2차 침입(1232): 무리한 조공 요구, 간섭 -> 강화도 천도, 장기항전 태세 -> 처인성 전투(중 김윤후), 일반 민중의 대항. -> 몽골군 퇴각. 국토의 황폐화, 문화재 소실, 최씨 정권 붕괴, 몽골과 강화. 정동행성(일본 원정): 고려에 선박, 식량, 무기, 군대, 선원 징발 |
전민변정도감 설치: 권문세족 농장 혁파 홍자번의 편민 18사 건의: 재정난, 민생 문제 동녕부, 탐라총관부 수복 |
사림원 설치: 정방 폐지 시도, 왕명 출납 의염창: 소금 전매제(각염법) 전농사 설치: 농장, 노비 조사 |
정치도감 설치: 권문세족 농장 혁파 양전 사업, 녹과전 지급 |
쌍성총관부(1258~1356): 화주(영흥), 철령 이북 -> 공민왕 때 수복(1356) 동녕부(1270~1290): 자비령 이북, 서경(평양) -> 충렬왕 때 수복. 탐라총관부(1273~1301): 삼별초 항쟁 진압 후 제주도, 목마장 경영 -> 충렬왕 때 수복 삼별초 항쟁(1270~1273): 배중손의 지휘아래 온을 왕으로 추대, 진도에서 장기항전 -> 제주도 -> 평정. |
관제 개편: 부마국(속국보단 나은) 관제 격하: 폐하->전하, 태자->세자, 조,종->충~왕 등 중서문하성+상서성 -> 첨의부 6부 -> 4사 통합. 내정간섭기구 정동행성: 개경, 일본 원정 준비. 순마소: 반원 인사 색출, 개경 치안 만호부: 군사적 다루가치: 감찰관, 내정 간섭 결혼도감: 고려의 처녀, 공녀 공출. 응방: 매 징발, 특산물 징발 자주성 손상, 통치 질서 와해, 몽골풍(변발, 몽골식 복장, 몽골어) 고려양(몽골에 전해진 고려 풍습) 충선왕 때 원나라에 학문 연구소 만권당 설치: 학자간 학문 교류 홍건적(한족 농민 반란군), 왜구의 침입 1차(공민왕, 1359): 이승경, 이방실이 격퇴 2차(공민왕, 1361): 정세운, 안우, 이방실, 이성계 등이 격퇴 왜구의 고려 침입: 격퇴위해 신흥 무인 세력 성장(최영, 최무선, 이성계, 정지, 박위) 화약 제조법 발달(최무선): 화통도감 |
무신 정권 붕괴 후 권문세족 대두 거대한 농장 소유 몰락한 농민을 노비로~ 주로 친원파(몽골 귀족과 혼인, 몽골어 능숙, 친원적 전공) 과거보다 음서(유교적 소양이 약함, 불교를 옹호하거나 온건하게 비판), 보수적, 도평의사사, 첨의부, 밀직사 등의 고위 관직 독점. 위화도 회군(1388)이후 농장 상실 -> 세력 약화 -> 사대부에 의해 조선 건국 |
홍건적, 왜구의 침입 | 위화도 회군(1388) | 무신 집권기 등장, 공민왕 때 세력화 하급관리나 향리 출신(중소 지주 출신, 권문세족과 농장 충돌) 원의 관섭과 측근 정치 -> 공민왕의 개혁 때 성장 성리학을 수용, 불교(권문세족) 폐단 시정, 친명적 과거를 통해 정계 진출 관직으로의 진출 제한, 과전 녹봉 지급을 제대로 못받음. 성리학 사상: 일상생활과 관계 된 실천적 기능 강조 소학, 주자가례 중시(성리학적 유교 의식), 대의명분 강조 가묘(개인 사당) 설치 신흥 무인 세력(이성계)과 제휴 -> 조선 건국 |
||||||||||||||||||||||||||||||||||||||||||||
경제 | 퇴비x(땅을 묵혔다가(2~3년) 농사), 철제 농기구(4~5세기), 6세기:쟁기, 호미, 괭이, 우경 고리대 |
농경, 토기제작, 수공업, 철, 해상 교통(중계 무역: 왜-낙랑) | 춘대추납(진대법) | 시장, 우역 개설 | 우경, 동시전(시장 관리 감독) | ! 향, 부곡 설치(반항지역에 특수한 역) | 관료전 지급, 녹읍 폐지(왕권 강화) | 정전(농민) 지급(722 왕권 강화) | 녹읍 부활(왕권 약화), 민정문서(수취체제 정비) | 사원 면세전 증가 | 동시(동시전) + 서시, 남시 | 동시(동시전) + 서시, 남시 견,마직물, 금은세공, 나전칠기 고리대, 밭농사 중심 |
역분전(개국 공신) 취민유도(조세 1/10) 흑창(춘대추납, <- 고구려 진대법) |
제위보(963, 빈민 구제 기금) 황무지 개간 규정, 수리시설 개선, 시비법 발달 |
시정 전시과(인품 반영, 수조권만 줌) | (흑창 ->)의창, 상평창(물가 안정) 무기 -> 농기구 화폐: 건원중보(최초의 철전) |
개정 전시과(기준 마련) | ! 문벌귀족: 점점 토지 세습(공음전, 사전) | 경정 전시과(현직 관료에게만, 무신 차별 시정) 별사전(승려) 지급 |
이자겸의 난(1126): 권력 장악 -> 척준경 -> 탄핵 -> 이자겸 세력 몰락.: 문벌 귀족의 폐단. -> 왕권 위축 ->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1135): 왕권 강화 목적, 칭제건원, 금국정벌(북진 정책), 대위국: 묘청의 난 -> 김부식과 대립. (보수적 사대적 유교 사상. 금에 굴복.) -> 진압. 서경 지위 하락(분사제도 폐지) -> 숭문천무 현상 -> 무신정변 |
숭문천무, 의종의 실정(향락), 무신의 경제권 침해(군인전) -> 무신정변(1170) | 녹과전(관리의 생계를 위해) | 과전법(권문세족 토지 몰수 -> 신진사대부) 목화(문익점) |
경시서(시장, 물가 관리. 상행위 감독. 실패.) | 과전법 제정(1391) | |||||||||||||||||||||||||||||||||||||||||||||||||||||||||||||||||||||||||||||||
영토 | 정복, 통합 -> 영토 확장 | 졸본성 -> 국내성 | 하남 위례성 -> 한강 유역 | 진한 지역 차지 | 낙동강 유역 | 졸본성 -> 국내성 | 전연과 대립(요동), 선비족 모용씨 침입 | 요동지역 확보, 신라지역 왜 격퇴, 남부까지 영향 | 평양 천도(남하 정책), 흥안령 장악 | 최대 영토 | 살수 대첩 | 천리장성 축조 | 평양성 함락(668) | 하남 위례성 -> 한강 유역 | 전라도(마한) 장악(369) 요서지방 진출, 산둥지방, 일본 규슈 지방 진출 |
웅진(공주) 천도(475) | 탐라국 복속 | 사비(부여) 천도(538) 신라와 연합 -> 고구려 -> 신라에게 한강유역 빼앗김. |
사비성 함락(660) | 진한 지역 차지 | 우산국(울릉도) 정벌 | 금관가야 정복(532) | 대가야 점령(창녕비), 원산만 진출(함경도, 황초령비, 마운령비) |
대동강~원산만 삼국통일(676) | 경주, 5소경 중심 | 불국사, 석굴암 축조, 신종 주조 | 묵혔다가 농사 | 길림성의 돈화시 동모산 기슭 | 북만주 일대 장악 | 중경 -> 상경 천도 | 말갈족 복속, 요동 지역 진출 | 전라도 지방 완산주(전주) 도읍 | 송악(개성=개경) 도읍 -> 철원, 강원도, 경기 일대 | 송악(왕건의 세력 근거지) | 강동 6주 설치(서희): 압록강까지 영토 확장. | 한인전(6품이하 하급 관료의 자제) 공해전(중앙과 지방의 각 관청) |
친원파 숙청 정동행성 폐지 관제 복구 몽골풍 폐지 쌍성총관부 회복: 철령 이북 수복 요동 수복 정책 왕권 강화책 정방 폐지 -> 신진 사대부 등장 성균관: 유학교육 강화, 과거제 정비 전민변정도감 설치: 승려 신돈 등용, 권문세족 농장 혁파, 재정 확대 개혁 실패: 원나라의 간섭, 권문세족들의 반발(신돈 제거, 공민왕 시해), 신진 사대부의 세력 미약 |
쓰시마 섬 토벌(박위, 1389) | ||||||||||||||||||||||||||||||||||||||||||||||||||||||||||||||||||
사회 | 중앙 집권 국가 (국왕 중심 일원적 통치 체제), 부자 상속, 군대 파견 조세, 공물, 역 중국에 대항하며 성장 |
지배층: 형사취수제, 서옥제(데릴사위제) | 관제 정비(6좌평 16관등제), 한 군현과 항쟁, 한강 차지, 율령 반포, 관복 제정 | 김씨의 왕위 세습(마립간), 고구려의 도움으로 왜구 격퇴(광개토대왕릉비, 경주의 호우총-호우명 그릇) | 계루부 고씨의 왕위 세습 (5부 체제) 옥저 정복, 낙랑 공격 |
형제 상속 -> 부자 상속 족장 -> 귀족 편입 |
광개토 대왕릉비, 중원 고구려비(백제 수도 한성 함락) | 연개소문이 죽은 후 지배층의 권력 쟁탈전 | 관제 정비(6좌평 16관등제), 한 군현과 항쟁, 한강 차지, 율령 반포, 관복 제정 | 형제 상속 -> 부자 상속 | 22담로 설치(왕족 파견) | 5부5방 지방제, 22부 중앙관서 | 정치 질서의 문란, 지배층의 향락 | 김씨의 왕위 세습(마립간), 고구려의 도움으로 왜구 격퇴(광개토대왕릉비, 경주의 호우총-호우명 그릇) | 6부의 행정 구역 | 주군 정비, 군주 파견 | 병부설치, 상대등 제도, 골품 제도 정비, 율령 반포(17관등 및 백관의 공복 제정) | 화랑도 공인(진골 출신 화랑 + 6두품이하 낭도) | 관제 정비 | 직계 상속, 집사부 시중(중시)의 세력 강화, 상대등 세력 억제 |
마전, 적성 전투(675), 매소성 전투(675), 기벌포 전투(676) |
중앙 14부, 지방 9주5소경(군주->총관), 군사 9서당(중앙, 민족 융합 정책) 10정(지방) ! 상수리 제도(호족 상경, -> 기인 제도(고려)) |
귀족 세력 약화, 6두품 부각(왕권 결탁, 집사부 사랑직: 왕의 조언자) | 중시 -> 시중으로 격상 귀족: 향락, 사치 -> 농민 부담 |
귀족들간 권력 다툼, 지방 통제력 약화 |
힘이 있으면 왕이 된다. | 김헌창의 난(822), 김범문의 난(825) |
사치 금지령(834) 바다 가운데 섬에서 소, 말, 돼지를 길러 필요할 때에 활로 쏘아서 잡아먹었다. |
골품제도 모순 -> 자연재해 + 농민 부담 증가 -> 민란 원종과 애노의 난(889) |
호족 세력(성주, 장군이라 칭하며, 지방 행정, 군사 장악, 경제 지배) 장보고 이후의 해상 세력(금성, 송악 등지) 6두품 세력 |
고구려 멸망 | 왕족: 대씨, 귀족: 고씨 고구려 계승 의식(고씨, 일본에 보낸 국서에 고려, 고려국왕이라 칭함.) |
산둥반도 공격(장문휴의 수군), 요서지역에서 격돌 |
지방 15부62주 | 귀족들의 권력 투쟁 유민들이 고려로 흡수 |
호족, 6두품 중심의 개혁 | 신라에 적대적, 농민 수취, 호족 포섭 실패 | 광평성 등 여러 관서, 9관등제 지나친 조세, 전제정치 |
호족 세력의 지배층화 -> 문벌 귀족 유불 문화 융합 |
능력 본위의 개방적 사회 고구려 계승(고려): 북진정책 호족과 정략결혼, 사성정책(왕씨성 부여) 기인제도(향리 자제, <- 상수리(신라)), 사심관 제도(중앙의 고관 - 지역연대 책임) |
태조의 정략 결혼 폐단(왕위 다툼) | 서경 천도 계획(실패) 광군사 설치(947, 거란 침입 대비 30만명) |
노비안검법(혼란기 노비 해방 -> 국가 재정 기반) 과거 제도(958, 신구 세력 교체): 쌍기의 건의 백관의 공복 제정 칭제 건원(황제, 독자적 연호) 주현 공부법(주현 단위 공물 징수) 신구 세력 교체, 왕권 안정, 국가 기반 확립 |
유교 정치 실현, 중앙 집권적 국가 체제 확립 (문치주의에 입각한 문벌 귀족 사회로~) 노비환천법, 연등회, 팔관회 폐지 |
천리장성 축조(1029, 덕종~정종) | 녹봉 제도 완비(현직 관리에게 쌀, 보리 지급) | 여진과의 1차 접촉 패 -> 별무반 편성, 윤관의 별무반 북침 -> 9성 축조(1107) -> 9성 환부(거란과 대치, 수비 곤란): 여진족의 조공 |
최영, 이성계 개혁 방향 갈등 | 사대부 분열 급진 개혁파: 이성계, 정도전 -> 관학파, 훈구파(15세기) 온건 개혁파: 이색, 정몽주 등 사대부 대다수, 고려 틀 안 점진적 개혁 추진. -> 사학파, 사림파(16세기) | |||||||||||||||||||||||||||||||||||||||||||||||||||||||
사상 (신앙, 법, 역사) |
불교 수용, 율령 반포 시조신, 샤머니즘, 점술 도교 발달(불로장생, 신선, 산천숭배), 풍수지리설 |
제가회의(귀족 합의제) | 정사암회의(귀족 합의제) | 화백회의(귀족 합의제, 만장일치제) | 율령 반포, 불교 공인, 태학 설립 | 경당 설립(사설 교육 기관) | 도교 전래 | 불교 세력 누르기 위해 도교 장려 | 고흥 서기 편찬 | 불교 전래 | 불교 장려(일본에 전파) | ! 화백제도(집단의 단결) | 불교 전래(고구려 묵호자) | 순장 금지 | 불교 공인(이차돈 순교) | 국사(거칠부) 편찬, 불교 장려 승려 혜랑을 맞아 국통으로 삼고 교단 조직 업설, 미륵불 신앙 |
세속5계(원광법사 -> 화랑도) | 숭불 정책(분황사 건립) 선종(법랑) |
설계두(골품제 모순 지적) -> 당으로(621) | 화장법(호국적) | 국학 설립(유학 교육), 유교 정치 이념, 화엄종 개창(의상), 설총의 화왕계(임금도 향락을 멀리하고 도덕적일 것) | 국학 -> 태학(유학 교육) | 선종(신행) | 독서삼품과 설치(관리 채용) | 도의: 중국의 선종 수입 | 삼대목 편찬, 최치원 시무10조(골품제 모순 지적?) | 골품제 비판, 새로운 유교 정치 이념, 과거제도 제시 풍수지리설, 선종, 도교, 노장 사상 등 유행 |
대승, 소승 불교(여러 종파), 귀족 불교, 토착신앙과 결합 통일 신라 명승(원효: 직접 전도,나무아미타불 정토종 아미타 신앙, 의상: 화엄 관음사상, 원측, 혜초) |
중국과 대등(연호 사용) 정당성(합의 기구) |
주자감(유학교육) | 선종(실천적, 혁신적: 호족의 이념적 지주, 불교의식 권위 배격), 풍수지리설(지방의 중요성 -> 호족) |
아들간 내분 | 독자적 통일, 유교 불교 중심 | 관습법 불교(연등회, 팔관회 강조(토착 신앙과 결합): 훈요10조) |
시무 28조(최승로, 왕의 명령으로 국정쇄신, 비판, 정책 건의) 수용. -> 유교 이념, 불교 규제(연등회, 팔관회 일시 폐지), 호족 세력 견제, 중앙 관제 정비, 군사제도 개편, 신분제도 확립, 문벌 귀족 사회 확립 봉사 2조(김심언) 국자감 정비(유교), 통치 기구 개편(당 송 모방(중추원, 삼사) + 도병마사, 식목도감 독자적 체계), 지방제도 정비(12목, 서경에 분사 -> 묘청 운동 때 폐지) |
! 최충: 해동공자 칭호, 훈고학(유학) | 7대 신록, 초조대장경 연등회, 팔관회 부활. 현화사 건립 |
사학 12도 융성: 최충의 문헌공도(9재학당) 풍수지리설: 한양 명당설(남경) |
서적포: 서적간행 | 국자감 -> 국학(유학 교육) 개칭, 7재 설치, 양현고 설치(경제기반, 장학재단), 청연각, 보문각 설치(도서관 겸 학문 연구소) | 경사 6학(개경) 정비, 향교 중심 지방 교육 강화 풍수지리설(묘청의 서경 천도운동) |
안향: 성리학 소개, 섬학전 설치, 국학 -> 성균관 개칭, 문묘 신축(유교 진흥) | 이제헌: 성리학 이해 심화 | 성리학 전파: 이색 -> 정몽주, 권근, 정도전 | ||||||||||||||||||||||||||||||||||||||||||||||||||||||||||||
외교 | 전진(북중국)과 수교 | 오와 수교(위촉오) -> 위 견제 | 전연과 대립(요동) | 전진과 수교 | 남북조와 각각 교류, 두 세력을 조종 | 돌궐과 연합 | 나당 연합군에 의해 멸망 | 동진, 일본과 통교 왜와 친밀(칠지도) |
나제 동맹(장수왕의 남하 정책 대항) | 위에 국서 보냄 | 결혼 동맹(493) | 양나라와 수교 | 나당 연합군에 의해 멸망 | 전진(북중국)과 수교 | 나제 동맹(장수왕의 남하 정책 대항) | 결혼 동맹(493) | 당항성을 통해 중국과 직접 교류 | 수와 외교(원광 법사 -> 수 양제에게 걸사표) | 친당 외교 | 당의 야욕: 계림 도독부(663, 경주), 웅진 도독부(664, 백제), 안동 도호부(668, 고구려) 고구려 부흥 운동 후원 소부리주 설치(671, 사비성) |
! 일본 해적 | 장보고(청해진(완도) 설치) | 청해진 해체(851) | 신라방, 신라촌, 신라소, 신라관, 신라원 등이 당에 위치(무역 활발) | 당과 대립(흑수부 말갈족), 돌궐, 일본과 연결 |
당관 친선, 신라와 관계 개선(신라와 상설 교통로 개설: 신라도) | 당의 견재정책으로 신라와 경쟁 | 일본과 끝까지 우호관계 유지, 돌궐과 친교 |
발해관(당 산둥반도), 일본과 활발히 무역 | 중국과 외교, 오, 월, 거란, 일본 외교 사절 | 중국의 여러나라와 외교, 발해유민 포섭(926), 신라에 우호정책 | 북진정책, 거란에 대한 강경책 | 송과 통교(962), 거란(요) 견제 | 고려, 송, 거란 세력 균형. | 기타! 신채호의 조선사연구초: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높이 평가. 자주성. | 원의 간섭과 왕권 약화로 대부분의 개혁 실패 | ||||||||||||||||||||||||||||||||||||||||||||||||||||||||||||||||||||
예술 | 미륵보살 반가상 | 돌무지무덤 | 굴식 돌방무덤 | 돌무지무덤 | 굴식 돌방, 벽돌무덤(무령왕릉) | 돌무지덧널무덤: 지상이나 지하에 시신과 껴묻거리를 넣은 나무덧널을 설치하고 그 위에 냇돌을 쌓은 다음에 흙으로 덮었다. 도굴이 어려워 많은 껴묻거리가 그대로 남아있다. | 굴식 돌방무덤 | 화장법(호국적) | 민정문서 | 불교 중심, 귀족 중심 | 굴식 돌방무덤(고구려적) | ! 대장경 조판, 금속활자 | 경원 이씨(대표적 문벌귀족, 이자겸) | |||||||||||||||||||||||||||||||||||||||||||||||||||||||||||||||||||||||||||||||||||||||||||
유물 및 기타 | 광개토 대왕릉비 | 백제 금동 대향로, 사택지적비, 무령왕릉 지석 | 광개토 대왕릉비 | 황룡사 9층 목탑 | 첨성대 | 만파식적(신성한 악기) | 불국사, 석굴암, 무구정광대다라니경(목판 인쇄물), 다보탑 | ! 금동 미륵보살 반가상 | 이승휴(제왕운기), 유득공(발해고) 등이 연구 | 의료 기관: 동서 대비원, 혜민국, 구제도감, 구급도감 | 현화사 건립 초조대장경 |
흥왕사 건립 속장경 |
삼국사기(김부식, 1145): 현존하는 최고 역사서, 기전체,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 삼국부터 다룬 왕조 중심의 정사(신라 계승) | 팔만대장경(재조대장경) 상정고금예문(금속활자) |
삼국유사(일연 1285): 고조선(자주적 사관), 기사본말체, 설화중심 야사 제왕운기(이승휴, 충렬왕 때): 단군 고조선(자주적), 중국사와 대등 |
동명왕편(이규보): 고구려 계승 | 직지심체요절(직지심경, 1377): 현존 세계 최고 금속 활자본 |
조선(개요)
조선
일제~
'[사회·정치·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 종합 정리 (0) | 2011.01.11 |
---|---|
구석기 ~ 연맹체 (0) | 2011.01.11 |
김성민 마약 복용. 왜 마약이 불법일까? (0) | 2010.12.05 |
[파업뉴스]MBC 파업 뉴스데스크~! (0) | 2010.05.04 |
[지식채널e] 어떤 임시직(스웨덴 국회의원 이야기) (0) | 2010.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