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정치·경제]

삼국시대 ~ 고려

kipacti 2011. 1. 11. 11:15

 

 

 

  삼국 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고구려           백제     신라 틍일 신라   발해(698~926)     후삼국 시대(900~936)   고려  
    태조왕 고이왕 내물왕     태조왕 고국천왕 동천왕 미천왕 고국원왕 소수림왕 광개토 대왕 장수왕 문자왕 영양왕 영류왕 보장왕 발해 건국   고이왕 근초고왕 침류왕 비유왕 개로왕 문주왕 동성왕 무령왕 성왕 의자왕   내물왕 눌지왕 소지왕 지증왕 법흥왕 진흥왕 진평왕 선덕여왕 진덕여왕 무열왕 문무왕 신문왕 성덕왕 경덕왕 혜공왕 선덕왕 원성왕 헌덕왕 흥덕왕 문성왕 진성여왕 효공왕 멸망 전체적으로     대조영(고왕) 무왕(대무예) 문왕(대흠무) 선왕(대인수) 멸망 전체적으로     후백제 후고구려(마진 -> 태봉) 고려 고려사회 태조(왕건) 혜종 정종 광종 과거, 음서제도 경종 성종 통치 조직 군사 조직 목종 현종 덕종 문종 선종 숙종 예종 인종 의종 명종 신종 희종 고종 원종 충렬왕 충선왕 충목왕 원(몽골) 간섭기 권문세족 공민왕 우왕 신진 사대부 창왕 공양왕 멸망
    1세기 후반~2세기 3세기 중반 4세기 후반     1세기 후반~2세기 2세기 후반 3세기 중반 4세기 초반 4세기 초반 4세기 후반 5세기 초반 5세기 5세기 후반 600 624 645 7세기 말   3세기 중반 4세기 후반 4세기 후반 5세기 전반 5세기 후반 5세기 후반 5세기 후반~6세기 초 6세기 초반 6세기 중반 7세기   4세기 후반 5세기 전반 5세기 후반 6세기 초반 6세기 전반 6세기 후반 7세기 초반 7세기 중엽 7세기 중엽 654~661 661~681 681~692 702~737 742~765 771 하대 시작 788 821 828 838 888 900 935       698~719 719~737 737~793 818~830 926       900~936 901~918 918~ 태혜정광경성/현덕숙예인의/명신희고원/충렬선목/공우창공 936~943   945~949 949~975   975~981 981~997 - - 997~1009 1009~1031 1031~1034 1046~1083   1095~1105 1105~1122 1122~1146 1146~1170 1170~1197 무신정권 1259~1274 1274~1308         ~ 1351~1374 1374~1388 ~     1392
대외 상황 중국: 한 -> 위진 남북조 시대 -> 수 -> 당       5호 16국 시대 전진(북중), 동진(남중) 남북조             전진(북중),
동진(남중)
남북조         전진(북중),
동진(남중)
남북조                                 (668) 당의 안동도호부에 저항         거란 건국(916)     5대10국(907~960), 만주 서부 거란(발해 침공 926) -> 송(960~1127), 여진족(금, 1115~) -> 원(몽골, 1206~1368) - 귀족: 문벌 귀족- 음서, 과전, 공음전(자녀에게 세습), 왕실과 혼인

-
중류층
: 서리, 남반, 향리, 군반, 역리
세습적, 호족 ->
향리, 실지배층
-> 과거를 통해 몇몇은 귀족대열에 합류

-
양민
: 농민, 상공업, 백정
특수 구역:
향, 부곡(농업),
(수공업, 광업): 세금 부담이 큼.

-
천민
: 사노비, 공노비
사노비: 사원에 예속, 주인집에 살면서 잡일,
외거하면서 신공을 바침, 경제적으로는 독립, 양인으로 상승 가능
.
일천즉천
(부모 중 한쪽이 노비 -> 노비)
천자수모법
(어머니 쪽 소유주에 귀속)

대가족 단위

여성의 지위가 비교적 높음


과전(전시과): 세 1/10, 반납
사전(공음전, 공신전): 세 1/2, 세습


깊이갈이(심경법, 우경), 시비법(가축 배설물 + 풀, 갈대 태우거나), 윤작법(2년3작: 보리, 콩, 조 돌려짓기), 이앙법, 농상집요(이암이 원의 책 소개)


시전, 행상
화폐: 곡물이나 삼베가 대신
고리대업(장생고) 성행
발해 <- 거란에게 정복 경제

! 농민 보호책
: 잡역 금지, 면재법(재해), 자모 정식법(법으로 이자율 제한), 겸병 금지

!
향도
(불교의 신앙조직 -> 마을 공동체)

! 왕의 적전 경작, 개간 장려
  송(960~1127), 요(거란) 말갈(발해) -> 여진족(금, 1115~1234)   원(몽골, 1206~1368): 금 공격, 거란족 복속; 요 -> 대요수국(1216 거란); 금 쇠퇴 -> 동진국(1217 여진) 명(1368~1644) -> 청
발달 및 교류 철기 문화 -> 우세한 집단의 정복활동 부여 유이민 + 압록강 토착민 -> 계루부 고씨의 왕위 세습 (5부 체제) -> 옥저 정복, 낙랑 공격 북방(부여) 유이민 + 한강 토착민 토착 세력이 유이민 흡수, 통합 연맹체: 금관가야(3세기경) -> 고구려군의 공격(4세기 말 5세기 초) -> 대가야(5세기 초) -> 금관가야 정복(법흥왕, 532) -> 대가야 병합(진흥왕, 562)   부여 유이민 + 압록강 토착민 부족적 전통 5부 -> 행정적 성격의 5부제로 개편 서안평 공격(실패) -> 위축 서안평 점령(311), 낙랑군, 대방군 축출(313) 백제 근초고왕 침입 -> 왕 전사   연호: 영락   부여 복속(494) 살수대첩(을지문덕 612):수 양제의 침입   안시성 싸움(양만춘 645)     북방 유이민 + 한강 토착민 고구려 공격(고국원왕 전사(371)), 가야 공격     장수왕에 의해 전사 왕권 약화     국호: 남부여     토착 세력이 유이민 흡수, 통합     국호: 사로국 -> 신라,
왕호:
마립간 -> 왕
연호: 건원 연호: 개국, 대창
백제와 연맹 ->
한강 상류 진출(단양 적성비), 한강 하류까지 확보(북한산 순수비, 신주)
      무열계 김씨 집권(성골 -> 진골) 고구려 멸망(668) -> 삼국 통일(676), 왕권 전제화 김흠돌(장인) 모역 사건 -> 귀족 숙청 -> 왕권 전제화       혜공왕이 죽고 상대등 김양상이 즉위 내물계 김씨 집권 무열계의 몰락                 국호:진->발해(713), 연호:천통
고구려 유민 +
말갈 집단
연호:인안 연호:대흥 연호:건흥,
해동성국
거란에게 멸망       견훤 궁예(신라 왕족 후예, 도적 집단으로) 왕건(송악 지방 호족, 예성강 하구에서 중국과 해상 무역) 신라 병합(935): 정통성 확보 -> 후백제 멸망(936) ! 조세(1/10)
공납(부담), 역

호적작성
! 벽란도(무역항, 대외 무역) 과거제도
광종 때 쌍기의 건의
종류:
문과: 제술업(한문학), 명경업(유교 경전)
잡업
: 회계, 법률, 지리 등 기술관
승과
: 교종시, 선종시
무과: 무신(실시되지 못함)

양인 이상 응시 가능, 주로 귀족, 향리들이 응시. 백정 농민은 주로 잡과 응시.

3년주기(
식년시), 실제 격년시
유행
과거 시험관(
지공거
): 문생과 결속.

절차:
1단계(
향시
): 상공(개경), 향공(지방), 빈공(외국인) 구분
2단계(
국자감시
, 사마시, 진사시): 향시 합격자, 국자감생, 12공도 생도, 현직 관리 -> 진사(합격)
3단계(
예부시, 동당감시): 처음 국자감생, 12공도 응시 가능. 중기 이후 국자감시를 거친
진사만 응시.

음서제도
공신, 종실 자손, 5품 이상 고위 관료의 자손 등이 과거를 거치지 않고 관료 등극.
공음전귀족적 특성.
  친송, 북진정책 -> 1차 요나라(거란)의 침입(993). -> 서희: 외교, 강동6주 확보, 거란과 교류 약속. 중앙(2성6부)
중서문하성: 최고관서, 문하시중(장관)이 국정 총괄. (재신, 낭사)
중추원: 국정, (
추밀
, 승선)
재신+추밀: 핵심적 위치


도병마사: 국방 임시 회의 기구 -> 충렬왕 때 도평의사사(도당)로 개편. 최고 정무 기구.
식목도감: 재신, 추밀이 모여 법제정, 규정심의. 임시 회의 기구
.

상서성, 6부, 어사대(감찰), 삼사(곡식 출납 회계), 한림원(외교, 왕명 문서 작성), 춘추관(실록, 국사), 대간(낭사+어사대: 직위는 낮지만 견제 균형 역할)

전체적으로 세분화 전문화


지방
(12목 -> 4도호부8목(현종), 5도 양계)
5도: 안찰사 파
견, 상설x, 향리(실무 행정)
양계: 북계, 동계: 북방 군사 특수 지역, 병마사 파견
, 진 설치
4도호부8목
: 행정, 군사적 방비의 중심지 역할
3경
: 개경, 서경, 동경(경주)->남경(한양)

말단: 촌, 향 소 부곡
중앙군
2군 6위: 국왕 친위 부대(2군), 수도 경비, 국경 방어(6위), 상장군, 대장군 등의 무관, 직업 군인(군인전) -> 토목 공사 동원, 군인전 지급 미흡 -> 몰락
중방: 합좌 기관
, 군사문제 논의 -> 무신난 이후 정치적 역할.

지방군

주현군: 5도에 배치.
주진군
: 국경지대(양계) 배치.

특수군

광군: 정종 때(947) 거란족 대비. -> 주현군 모체.
별무반: 숙종 때(1095) 여진족 정벌
위해.
삼별초: 최우 집권 시(1219) 편성, 사병화 -> 개경 환도 후 몽골에 항쟁
.
연호군: 양민+천민. 혼성부대
  거란 2차 침입(1010): 친송, 교류x. 강조의 정변(목종 폐위) 계기. 강동 6주 반환 요구. -> 양규의 선전(퇴로 차단.) -> 강화(친조 약속)

거란 3차 침입(1018): 고려의 친조 약속 불이행, 강동 6주 반환 요구 거부 -> 침입 -> 귀주대첩(강감찬, 1019) -> 강화 후 철수

나성(개경) 축조
! 일본, 아라비아와 무역     화폐: 삼한통보, 해동통보, 해동중보, 활구(은병) -> 유통한계 금(여진) 건국(1115) -> 거란 정복 -> 고려에 군신 관계 요구.(이자겸이 정권 유지 목적으로 수락)     정중부의 집권(1170~1179):
중방
중심으로 권력 행사, 사병 기르며 권력 쟁탈전. 토지, 노비 탈취.
김보당의 난(1173), 조위총의 난(1174), 승려의 난: 의종 복위 운동.

경대승의 집권(1179~1183):

정중부 제거,
사병 집단 도방
설치.
전주 관노의 난(천민, 노비)


이의민의 집권(1183~1196):
김보당의 난 때 의종 제거. 천민 출신,
중방
중심.

최충헌의 집권(1196~1219):

봉사(시무)10조
제시:혼란 극복: 토지 겸병,승려 고리대업 금지, 조세제도 개혁
권력 유지에 치중: 사회 개혁 흐지부지, 사병 양성,
도방 부활, 교정도감 설치: 반대 세력 제거, 최고 집정부, 조계종
후원.
만적의 난(천민, 노비: 정권 탈취 시도)


최우(최이)의 집권(1219~1249):
정방 설치: 인사권 장악, 교정도감, 서방
설치: 숙위 기구, 고문역할
삼별초 조직: 사병, 몽골과 항쟁
.(자주성)
대몽 항쟁: 강화도 천도, 팔만대장경 조판
민란들
전주 관노의 난(천민, 노비)

김사미, 효심의 난
(양민, 명종 때 + 1193): 신라 부흥 표방

만적의 난(최충헌의 사노: 정권 탈취 시도, 천민 없는 (공경장상?) 추구)


망이, 망소이의 난(양민): 신분 해방 -> 향 소 부곡 해방.

최광수의 난(1217): 고구려 부흥 표방.
이연년의 난(1237): 백제 부흥 표방.
몽골의 침입
최우(최이)의 집권시기(1219~1249)
여몽협약(1219): 거란족 토벌 구실, 공물 강요.

1차 침입(1231): 몽골 사신 피살 -> 공물.

2차 침입(1232): 무리한 조공 요구, 간섭 -> 강화도 천도, 장기항전 태세 -> 처인성 전투(중 김윤후), 일반 민중의 대항.
-> 몽골군 퇴각.

국토의 황폐화, 문화재 소실, 최씨 정권 붕괴, 몽골과 강화.

정동행성(일본 원정):
고려에 선박, 식량, 무기, 군대, 선원 징발
  전민변정도감 설치: 권문세족 농장 혁파

홍자번의 편민 18사
건의: 재정난, 민생 문제

동녕부, 탐라총관부 수복
사림원 설치: 정방 폐지 시도, 왕명 출납

의염창
: 소금 전매제(각염법)
전농사 설치: 농장, 노비 조사
정치도감 설치: 권문세족 농장 혁파
양전 사업,
녹과전 지급
쌍성총관부(1258~1356): 화주(영흥), 철령 이북 -> 공민왕 때 수복(1356)
동녕부(1270~1290)
: 자비령 이북, 서경(평양) -> 충렬왕 때 수복.
탐라총관부(1273~1301): 삼별초 항쟁 진압 후 제주도, 목마장 경영 -> 충렬왕 때 수복


삼별초 항쟁(1270~1273): 배중손의 지휘아래 온을 왕으로 추대, 진도에서 장기항전 -> 제주도 -> 평정.
관제 개편: 부마국(속국보단 나은)
관제 격하
: 폐하->전하, 태자->세자, 조,종->충~왕 등
중서문하성+상서성 ->
첨의부

6부 ->
4사 통합.

내정간섭기구
정동행성: 개경, 일본 원정 준비.
순마소
: 반원 인사 색출, 개경 치안
만호부
: 군사적
다루가치
: 감찰관, 내정 간섭

결혼도감
: 고려의 처녀, 공녀 공출.
응방
: 매 징발, 특산물 징발

자주성 손상, 통치 질서 와해, 몽골풍(변발, 몽골식 복장, 몽골어)
고려양(몽골에 전해진 고려 풍습)

충선왕 때 원나라에 학문 연구소
만권당
설치: 학자간 학문 교류


홍건적(한족 농민 반란군), 왜구의 침입

1차(공민왕, 1359): 이승경, 이방실이 격퇴
2차(공민왕, 1361): 정세운, 안우, 이방실,
이성계 등이 격퇴

왜구의 고려 침입: 격퇴위해
신흥 무인 세력 성장
(최영, 최무선, 이성계, 정지, 박위)
화약 제조법 발달(최무선): 화통도감
무신 정권 붕괴 후 권문세족 대두

거대한 농장 소유
몰락한 농민을 노비로~
주로 친원파(몽골 귀족과 혼인, 몽골어 능숙, 친원적 전공)
과거보다 음서(유교적 소양이 약함, 불교를 옹호하거나 온건하게 비판), 보수적, 도평의사사, 첨의부, 밀직사 등의 고위 관직 독점.

위화도 회군(1388)이후 농장 상실 -> 세력 약화 -> 사대부에 의해 조선 건국
홍건적, 왜구의 침입 위화도 회군(1388) 무신 집권기 등장, 공민왕 때 세력화

하급관리나
향리
출신(중소 지주 출신, 권문세족과 농장 충돌)
원의 관섭과 측근 정치
-> 공민왕의 개혁 때 성장
성리학을 수용, 불교(권문세족) 폐단 시정, 친명적
과거
를 통해 정계 진출

관직으로의 진출 제한, 과전 녹봉 지급을 제대로 못받음.

성리학 사상
: 일상생활과 관계 된 실천적 기능 강조
소학, 주자가례 중시(
성리학적 유교 의식), 대의명분
강조
가묘
(개인 사당) 설치

신흥 무인 세력(이성계)과 제휴 -> 조선 건국
     
경제 퇴비x(땅을 묵혔다가(2~3년) 농사), 철제 농기구(4~5세기), 6세기:쟁기, 호미, 괭이, 우경
고리대
농경, 토기제작, 수공업, , 해상 교통(중계 무역: 왜-낙랑)     춘대추납(진대법)                                                   시장, 우역 개설 우경, 동시전(시장 관리 감독)             ! 향, 부곡 설치(반항지역에 특수한 역) 관료전 지급, 녹읍 폐지(왕권 강화) 정전(농민) 지급(722 왕권 강화) 녹읍 부활(왕권 약화), 민정문서(수취체제 정비)     사원 면세전 증가   동시(동시전) + 서시, 남시         동시(동시전) + 서시, 남시
견,마직물, 금은세공, 나전칠기
고리대, 밭농사 중심
                          역분전(개국 공신)
취민유도(조세 1/10)

흑창(춘대추납, <- 고구려 진대법)
제위보(963, 빈민 구제 기금)
황무지 개간 규정, 수리시설 개선, 시비법 발달
시정 전시과(인품 반영, 수조권만 줌) (흑창 ->)의창, 상평창(물가 안정)
무기 -> 농기구
화폐:
건원중보(최초의 철전)
개정 전시과(기준 마련) ! 문벌귀족: 점점 토지 세습(공음전, 사전) 경정 전시과(현직 관료에게만, 무신 차별 시정)
별사전(승려) 지급
    이자겸의 난(1126): 권력 장악 -> 척준경 -> 탄핵 -> 이자겸 세력 몰락.: 문벌 귀족의 폐단.
-> 왕권 위축
->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1135): 왕권 강화 목적
, 칭제건원, 금국정벌(북진 정책), 대위국: 묘청의 난
->
김부식과 대립. (보수적 사대적 유교 사상. 금에 굴복.) -> 진압. 서경 지위 하락(분사제도 폐지)


-> 숭문천무 현상 ->
무신정변
  숭문천무, 의종의 실정(향락), 무신의 경제권 침해(군인전) -> 무신정변(1170) 녹과전(관리의 생계를 위해) 과전법(권문세족 토지 몰수 -> 신진사대부)
목화(문익점)
경시서(시장, 물가 관리. 상행위 감독. 실패.)     과전법 제정(1391)
영토 정복, 통합 -> 영토 확장 졸본성 -> 국내성 하남 위례성 -> 한강 유역 진한 지역 차지 낙동강 유역   졸본성 -> 국내성       전연과 대립(요동), 선비족 모용씨 침입   요동지역 확보, 신라지역 왜 격퇴, 남부까지 영향 평양 천도(남하 정책), 흥안령 장악 최대 영토 살수 대첩 천리장성 축조 평양성 함락(668)     하남 위례성 -> 한강 유역 전라도(마한) 장악(369)
요서지방 진출, 산둥지방, 일본 규슈 지방 진출
      웅진(공주) 천도(475) 탐라국 복속   사비(부여) 천도(538)
신라와 연합 -> 고구려 -> 신라에게 한강유역 빼앗김.
사비성 함락(660)   진한 지역 차지     우산국(울릉도) 정벌 금관가야 정복(532) 대가야 점령(창녕비),
원산만 진출(함경도, 황초령비, 마운령비)
        대동강~원산만 삼국통일(676) 경주, 5소경 중심   불국사, 석굴암 축조, 신종 주조                   묵혔다가 농사     길림성의 돈화시 동모산 기슭 북만주 일대 장악 중경 -> 상경 천도 말갈족 복속, 요동 지역 진출         전라도 지방 완산주(전주) 도읍 송악(개성=개경) 도읍 -> 철원, 강원도, 경기 일대 송악(왕건의 세력 근거지)     강동 6주 설치(서희): 압록강까지 영토 확장. 한인전(6품이하 하급 관료의 자제)
공해전(중앙과 지방의 각 관청)
            친원파 숙청
정동행성 폐지

관제 복구
몽골풍 폐지
쌍성총관부 회복: 철령 이북 수복
요동 수복 정책

왕권 강화책
정방 폐지
-> 신진 사대부 등장
성균관: 유학교육 강화, 과거제 정비

전민변정도감 설치: 승려 신돈 등용, 권문세족 농장 혁파, 재정 확대

개혁 실패:
원나라의 간섭, 권문세족들의 반발(신돈 제거, 공민왕 시해), 신진 사대부의 세력 미약
      쓰시마 섬 토벌(박위, 1389)
사회 중앙 집권 국가 (국왕 중심 일원적 통치 체제), 부자 상속, 군대 파견
조세, 공물, 역


중국에 대항하며 성장
지배층: 형사취수제, 서옥제(데릴사위제) 관제 정비(6좌평 16관등제), 한 군현과 항쟁, 한강 차지, 율령 반포, 관복 제정 김씨의 왕위 세습(마립간), 고구려의 도움으로 왜구 격퇴(광개토대왕릉비, 경주의 호우총-호우명 그릇)     계루부 고씨의 왕위 세습 (5부 체제)
옥저 정복,
낙랑 공격
형제 상속 -> 부자 상속
족장 ->
귀족 편입
          광개토 대왕릉비, 중원 고구려비(백제 수도 한성 함락)       연개소문이 죽은 후 지배층의 권력 쟁탈전     관제 정비(6좌평 16관등제), 한 군현과 항쟁, 한강 차지, 율령 반포, 관복 제정 형제 상속 -> 부자 상속           22담로 설치(왕족 파견) 5부5방 지방제, 22부 중앙관서 정치 질서의 문란, 지배층의 향락   김씨의 왕위 세습(마립간), 고구려의 도움으로 왜구 격퇴(광개토대왕릉비, 경주의 호우총-호우명 그릇)   6부의 행정 구역 주군 정비, 군주 파견 병부설치, 상대등 제도, 골품 제도 정비, 율령 반포(17관등 및 백관의 공복 제정) 화랑도 공인(진골 출신 화랑 + 6두품이하 낭도)     관제 정비 직계 상속,
집사부 시중(중시)의 세력 강화, 상대등 세력 억제
마전, 적성 전투(675),
매소성 전투(675),
기벌포 전투(676)
중앙 14부, 지방 9주5소경(군주->총관), 군사 9서당(중앙, 민족 융합 정책) 10정(지방)

!
상수리 제도(호족 상경, -> 기인 제도(고려))
귀족 세력 약화, 6두품 부각(왕권 결탁, 집사부 사랑직: 왕의 조언자) 중시 -> 시중으로 격상

귀족: 향락, 사치 -> 농민 부담
귀족들간 권력 다툼,
지방 통제력 약화
힘이 있으면 왕이 된다.   김헌창의 난(822),
김범문의 난(825)
사치 금지령(834)
바다 가운데 섬에서 소, 말, 돼지를 길러 필요할 때에 활로 쏘아서 잡아먹었다.
  골품제도 모순 -> 자연재해 + 농민 부담 증가 -> 민란
원종과 애노의 난(889)
호족 세력(성주, 장군이라 칭하며, 지방 행정, 군사 장악, 경제 지배)
장보고 이후의
해상 세력
(금성, 송악 등지)
6두품 세력
      고구려 멸망 왕족: 대씨, 귀족: 고씨
고구려 계승 의식(고씨, 일본에 보낸 국서에 고려, 고려국왕이라 칭함.)
산둥반도 공격(장문휴의 수군),
요서지역에서 격돌
  지방 15부62주 귀족들의 권력 투쟁
유민들이 고려로 흡수
    호족, 6두품 중심의 개혁 신라에 적대적, 농민 수취, 호족 포섭 실패 광평성 등 여러 관서, 9관등제

지나친 조세, 전제정치
호족 세력의 지배층화 -> 문벌 귀족
유불 문화 융합
능력 본위의 개방적 사회
고구려 계승(고려): 북진정책
호족과 정략결혼, 사성정책(왕씨성 부여)
기인제도(향리 자제, <- 상수리(신라)), 사심관 제도(중앙의 고관 - 지역연대 책임)
태조의 정략 결혼 폐단(왕위 다툼) 서경 천도 계획(실패)

광군사 설치(947, 거란 침입 대비 30만명)
노비안검법(혼란기 노비 해방 -> 국가 재정 기반)
과거 제도(958, 신구 세력 교체): 쌍기의 건의
백관의 공복 제정
칭제 건원
(황제, 독자적 연호)
주현 공부법(주현 단위 공물 징수)

신구 세력 교체, 왕권 안정, 국가 기반 확립
  유교 정치 실현,
중앙 집권적 국가 체제 확립
(
문치주의에 입각한 문벌 귀족 사회로
~)

노비환천법, 연등회, 팔관회 폐지
천리장성 축조(1029, 덕종~정종) 녹봉 제도 완비(현직 관리에게 쌀, 보리 지급)   여진과의 1차 접촉 패 -> 별무반 편성,
윤관의 별무반 북침 ->
9성 축조(1107) -> 9성 환부(거란과 대치, 수비 곤란): 여진족의 조공
    최영, 이성계 개혁 방향 갈등     사대부 분열
급진 개혁파: 이성계, 정도전 -> 관학파, 훈구파(15세기)
온건 개혁파: 이색, 정몽주 등 사대부 대다수, 고려 틀 안 점진적 개혁 추진. -> 사학파, 사림파(16세기)
사상
(신앙, 법, 역사)
불교 수용, 율령 반포
시조신, 샤머니즘, 점술
도교 발달(불로장생, 신선, 산천숭배), 풍수지리설
제가회의(귀족 합의제) 정사암회의(귀족 합의제) 화백회의(귀족 합의제, 만장일치제)               율령 반포, 불교 공인, 태학 설립   경당 설립(사설 교육 기관)     도교 전래 불교 세력 누르기 위해 도교 장려       고흥 서기 편찬 불교 전래           불교 장려(일본에 전파)     ! 화백제도(집단의 단결) 불교 전래(고구려 묵호자)   순장 금지 불교 공인(이차돈 순교) 국사(거칠부) 편찬, 불교 장려
승려 혜랑을 맞아 국통으로 삼고 교단 조직
업설,
미륵불 신앙
세속5계(원광법사 -> 화랑도) 숭불 정책(분황사 건립)
선종(법랑)
설계두(골품제 모순 지적) -> 당으로(621)   화장법(호국적) 국학 설립(유학 교육), 유교 정치 이념, 화엄종 개창(의상), 설총의 화왕계(임금도 향락을 멀리하고 도덕적일 것)   국학 -> 태학(유학 교육) 선종(신행)   독서삼품과 설치(관리 채용) 도의: 중국의 선종 수입     삼대목 편찬, 최치원 시무10조(골품제 모순 지적?) 골품제 비판, 새로운 유교 정치 이념, 과거제도 제시
풍수지리설, 선종, 도교, 노장 사상 등 유행
  대승, 소승 불교(여러 종파), 귀족 불교, 토착신앙과 결합
통일 신라 명승(원효: 직접 전도,나무아미타불 정토종 아미타 신앙, 의상: 화엄 관음사상, 원측, 혜초)
    중국과 대등(연호 사용)
정당성(합의 기구)
  주자감(유학교육)   선종(실천적, 혁신적: 호족의 이념적 지주, 불교의식 권위 배격),
풍수지리설(지방의 중요성 -> 호족)
아들간 내분   독자적 통일, 유교 불교 중심 관습법
불교(연등회, 팔관회 강조(토착 신앙과 결합): 훈요10조)
      시무 28조(최승로, 왕의 명령으로 국정쇄신, 비판, 정책 건의) 수용. -> 유교 이념, 불교 규제(연등회, 팔관회 일시 폐지), 호족 세력 견제, 중앙 관제 정비, 군사제도 개편, 신분제도 확립, 문벌 귀족 사회 확립
봉사 2조(김심언)

국자감 정비(유교), 통치 기구 개편(당 송 모방(중추원, 삼사) + 도병마사, 식목도감 독자적 체계), 지방제도 정비(12목, 서경에 분사 -> 묘청 운동 때 폐지)
! 최충: 해동공자 칭호, 훈고학(유학) 7대 신록, 초조대장경
연등회, 팔관회 부활. 현화사 건립
  사학 12도 융성: 최충 문헌공도(9재학당)
풍수지리설: 한양 명당설(남경)
  서적포: 서적간행 국자감 -> 국학(유학 교육) 개칭, 7재 설치, 양현고 설치(경제기반, 장학재단), 청연각, 보문각 설치(도서관 겸 학문 연구소) 경사 6학(개경) 정비, 향교 중심 지방 교육 강화
풍수지리설(묘청의 서경 천도운동)
    안향: 성리학 소개, 섬학전 설치, 국학 -> 성균관 개칭, 문묘 신축(유교 진흥) 이제헌: 성리학 이해 심화   성리학 전파: 이색 -> 정몽주, 권근, 정도전    
외교       전진(북중국)과 수교         오와 수교(위촉오) -> 위 견제   전연과 대립(요동) 전진과 수교   남북조와 각각 교류, 두 세력을 조종   돌궐과 연합   나당 연합군에 의해 멸망       동진, 일본과 통교
왜와 친밀(칠지도)
  나제 동맹(장수왕의 남하 정책 대항) 위에 국서 보냄   결혼 동맹(493) 양나라와 수교   나당 연합군에 의해 멸망   전진(북중국)과 수교 나제 동맹(장수왕의 남하 정책 대항) 결혼 동맹(493)     당항성을 통해 중국과 직접 교류 수와 외교(원광 법사 -> 수 양제에게 걸사표)   친당 외교   당의 야욕:
계림 도독부(663, 경주),
웅진 도독부(664, 백제),
안동 도호부(668, 고구려)


고구려 부흥 운동 후원
소부리주 설치(671, 사비성)
            ! 일본 해적 장보고(청해진(완도) 설치) 청해진 해체(851)       신라방, 신라촌, 신라소, 신라관, 신라원 등이 당에 위치(무역 활발)       당과 대립(흑수부 말갈족),
돌궐, 일본과 연결
당관 친선, 신라와 관계 개선(신라와 상설 교통로 개설: 신라도) 당의 견재정책으로 신라와 경쟁 일본과 끝까지 우호관계 유지,
돌궐과 친교
발해관(당 산둥반도), 일본과 활발히 무역     중국과 외교, 오, 월, 거란, 일본 외교 사절   중국의 여러나라와 외교, 발해유민 포섭(926), 신라에 우호정책 북진정책, 거란에 대한 강경책     송과 통교(962), 거란(요) 견제     고려, 송, 거란 세력 균형.         기타! 신채호의 조선사연구초: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높이 평가. 자주성.       원의 간섭과 왕권 약화로 대부분의 개혁 실패      
예술   미륵보살 반가상     돌무지무덤 굴식 돌방무덤   돌무지무덤 굴식 돌방, 벽돌무덤(무령왕릉)   돌무지덧널무덤: 지상이나 지하에 시신과 껴묻거리를 넣은 나무덧널을 설치하고 그 위에 냇돌을 쌓은 다음에 흙으로 덮었다. 도굴이 어려워 많은 껴묻거리가 그대로 남아있다. 굴식 돌방무덤 화장법(호국적)     민정문서                   불교 중심, 귀족 중심   굴식 돌방무덤(고구려적)         ! 대장경 조판, 금속활자                 경원 이씨(대표적 문벌귀족, 이자겸)                        
유물 및 기타   광개토 대왕릉비 백제 금동 대향로, 사택지적비, 무령왕릉 지석                     광개토 대왕릉비                                             황룡사 9층 목탑   첨성대       만파식적(신성한 악기)   불국사, 석굴암, 무구정광대다라니경(목판 인쇄물), 다보탑                   ! 금동 미륵보살 반가상     이승휴(제왕운기), 유득공(발해고) 등이 연구                     의료 기관: 동서 대비원, 혜민국, 구제도감, 구급도감                     현화사 건립
초조대장경
  흥왕사 건립
속장경
      삼국사기(김부식, 1145): 현존하는 최고 역사서, 기전체,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 삼국부터 다룬 왕조 중심의 정사(신라 계승)     팔만대장경(재조대장경)
상정고금예문(금속활자)
  삼국유사(일연 1285): 고조선(자주적 사관), 기사본말체, 설화중심 야사
제왕운기(이승휴, 충렬왕 때): 단군 고조선(자주적), 중국사와 대등
동명왕편(이규보): 고구려 계승       직지심체요절(직지심경, 1377): 현존 세계 최고 금속 활자본        

'[사회·정치·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0) 2011.01.11
조선(개요)  (0) 2011.01.11
삼국 종합 정리  (0) 2011.01.11
구석기 ~ 연맹체  (0) 2011.01.11
국사 정리해 놓은 것.  (0) 2011.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