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사 정리해 놓은 것(엑셀(Excel)파일 포함.)
* 삼국 종합 정리
* 조선(개요)
* 조선
대외 상황 | 발달 | 정치 (통치 체계) | 경제 | 대외 정책 | ||||
조선 | 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광인경영정순헌철고순 | 1870년대 열강들의 침략 시작(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러시아, 일본) -> 1차 세계대전(1914) -> 파리 강화 회의(1919.1): 1차 세계대전 뒷처리, 민족 자결주의 간도 귀속 문제: 간도 협약(1909): 청과 일본, 청의 영토로 귀속 |
일본 미국에 개항(1854) -> 메이지 유신(1868): 자본주의화 -> 조선에 교섭 요구, 정한론 | 이양선의 출몰, 통상 요구, 영+프의 베이징 점령, 러시아의 연해주 차지, 최초의 통상 요구(1832 영국 로드 암허스트) 천주교 확산(프랑스 선교사), 서양 상품 유입 | ||||
조선 | 흥선대원군 | 1863~1873 | 나이 어린 고종, 국왕의 생부인 흥선군 이하응이 실세 | 세도 정치 타파, 비변사 격하-폐지(의정부, 삼군부 회복), 법전정비(대전회통, 육전조례), 경복궁 중건(원납전, 당백전:물가 폭등, 청전 유통, 벌목, 부역 동원), 서원의 정리 | 삼정의 문란 시정: 양전 실시(전정), 호포법(군정, 양반징수), 사창제(환곡) -> 한계: 통치체제 유지 목적 | 통상 수교 거부, 미국 상선 침몰(1866 제너럴 셔먼호, 평양주민과 충돌), 병인박해(1866): 프랑스 신부 9명, 신도들 처형 -> 병인양요(1866): 프랑스의 통상요구, 강화읍 점령, 외규장각 문화재, 서적, 병기 약탈 <-> 한성근, 양헌수 부대(문수산성, 정족산성)가 격퇴 오베르트 도굴 사건(1868): 독일 상인, 충남 덕산 남연군 묘 도굴 -> 존화 양이론, 통상수교거부(쇄국) 의지 강화 신미양요(1871): 강화도 공격 <-> 어재연(광성진, 갑곶 등지)이 격퇴 => 척화비 건립 대원군 하야(1873), 민씨(고종 친정) 세력 집권: 개화대두 | ||
조선 | 개화 | 1875~1886 | 통상개화론: 박규수, 오경석, 유홍기, 이동인(승려), 중인, 상민 | 운요 호 사건(1875): 일본의 정한론, 교섭요구, 강화도에서 피격 -> 강화도조약(1876): 조일 수호조규, 병자수호조약 체결 - 강화도조약(1876): 최초의 근대적 조약, 불평등 조약(치외 법권, 해안 측량권) 청의 종주권 부인+해안 측량권(군사 침략 의도), 수신사 파견, 영토 주권(항구 중심) 침해, 치외 법권 - 조일 수호조규 부록(1876, 부속조약): 외교관의 여행자유, 인본 거류민 거주 지역 설정, 일본 화폐의 유통 - 조일 통상 장정(1876): 무관세, 양곡의 무제한 유출 러시아의 남하, 미국의 접근, 황쭌셴의 조선책략(러시아 견제위해 중일미국과 외교하라) 유포. -> - 조미 수호 통상 조약(1882 서양과의 최초 조약): 청의 알선, 치외법권, 최혜국 대우, 관세부과, 상호협전(3국 압박시 서로도와줌) => 영국(1882), 러시아(1884, 직접), 프랑스(1886, 직접): 치외 법권, 최혜국 대우 당면 과제: 1. 자주 독립 유지, 2. 내외의 이중적 수탈로부터 민중 보호 -> 근대적 국민 국가 | ||||
조선 | 개화 정책 | 1876~1883 | 실학(북학파), 청의 양무운동, 일본의 문명개화론 -> 개화사상 수신사의 파견 <- 강화도 조약(1876) - 1차 수신사(1876): 김기수(일동기유) - 2차 수신사(1880): 김홍집(조선책략) -> 미국(1882) 일본의 발전상, 세계 정세 변화 -> 개화의 필요성 관제: 통리기무아문(개화정책 전담) 군제: 5군영 -> 2영 설치, 별기군 창설(일본교관, 근대적 군사 훈련, 사관 생도 양성) - 조사 시찰단 파견(1881, 신사유람단): 일본 정부 기관, 각종 산업 시설 시찰 - 영선사 파견(1881): 청의 텐진, 무기제조법, 자연과학 -> 기본지식부족으로 1년만에 돌아옴, 기기창(서울, 무기제조) - 보빙사 파견(1883): 미국, 민영익(전권대사) 파견 <-> 위정척사 운동(성리학 질서 수호, 외세배척) 1860년대: 이항로,기정진(통상 반대 운동, 척화 주전론) 1870년대: 최익현(왜양일체론) 1880년대: 이만손(영남 만인소), 홍재학(만언척사소) 1890년대 이후: 항일 의병 운동으로 계승. 반침략, 반외세 의지(경제적 파멸, 침략), 전통사회 유지 목적 | |||||
조선 | 임오군란, 갑신정변 | 1882~1884 | 구식군대 차별 -> 임오군란(1882): 일본 공사관 습격, 민씨 세력 축출, 대원군의 일시 재집권 -> 일본의 군대파견 움직임, 청의 군대 파견(대원군 압송) => 일본의 배상금 요구: 제물포 조약 체결(1882): 배상금, 공사관의 경비병 주둔, 태극기 사용(박영효), 수호조규 속약 청의 내정 간섭: 군대 주둔, 고문 파견(마 젠창, 묄렌도르프), 상민 수륙 무역 장정(청의 통상 특권), 민씨 일파 재집권(친청 정책) 개화 정책 후퇴 온건 개화파(사대당): 김홍집, 김윤식, 어윤중(민씨정권과 결탁): 청의 양무운동 급진 개화파(개화당):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서광범: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본받자 개화시책: 박문국 설치(한성순보 간행), 우정국 설치, 일본의 냉담한 태도(차관 실패), 친정세력의 견제 => 갑신정변(1884): 청-프의 베트남 문제 -> 청군 철수, 일본 공사의 지원 약속, 김옥균, 박영효 중심. 우정국 사건(1884): 수구 살해, 개화당 정부 수립, 14개조 개혁요강(사대관계 폐지, 입헌 군주제+내각제, 인민 평등권, 능력에 따른 인재 등용, 지조법 개혁, 재정 일원화(호조), 혜상공국 폐지(자유로운 상업의 발전)), 경찰(순사)제도 한계: 일본 의존적(국방 개혁 소홀), 민중과 유리, 토지제도 외면, 추진 세력 미약(청군개입 -> 3일천하) -> 한성 조약(1884): 일본에 보상금 지불, 공사관 신축비 부담 톈진 조약(1885): 청일간, 양국군 철수, 상호 파병시 알릴 것(일본의 파병권 획득) => 개화 세력의 위축(개화 정책 후퇴), 최초의 입헌 군주제 개혁, 신분제도 타파, 근대국가수립 목표 | |||||
조선 | 동학농민 운동의 전개 | 1884~1894 | 청과 일본의 침략적 대립<-갑신정변 정부의 친러경향, 청 견제 |
- 조러 통상 조약(1884): 베베르가 반청 경향을 보이던 정부와 조약 -> 영국의 거문도 점령(1885): 러시의 견제 - 조러 비밀 협정 추진(1886): 군사 협정 밀약, 청의 압력으로 폐기 - 청의 대책: 대원군 귀국, 고종 폐위 음모, 묄렌도르프 -> 데니(고종 폐위 음모 고발, 청의 속방론 비판) - 조러 육상 통상 조약(1888): 경흥 개방, 두만강 운항권 중립론 대두: 독일 부들러(영세 중립화), 유길준 일본의 경제적 침략: 면제품 중계무역<-, 미곡->, 입도선매, 고리대 동학농민군의 봉기(1894) 교조 신원 운동: 삼례집회(1892), 서울 복합 상소(1893), 보은 집회(1893), 포접제 조직 => 고부 민란(1기): 조병갑, 정봉준 항거, 안핵사(이용태) 파견진압 -> 1차 봉기(2기, 1894): 무장봉기, 백산 봉기(보국안민, 제폭구민, 균전사 반대), 전주 점령, 진주화약 -> 폐정 개혁안 실천(3기): 집강소(민정기관) 설치, 전주에 대도소(총본부) => 정부가 청에 지원 요청, 일본도 파병(톈진 조약) -> 청일전쟁(1894) -> 2차 봉기(4기): 공주 우금치 전투 패배 의의: 반봉건적, 반침략적, 갑오개격에 영향, 구국 의병 활성화 한계: 근대 건설 방안 미비, 무력적 열세, 신분간 갈등 | ||||
조선 | 근대적 개혁(갑오개혁, 을미개혁) | 1894~1896 | 천간: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 지지: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 갑오개혁(1894): 자주적 개혁 의지 - 교정청 설치: 일분 군대 철수 요구, 개혁추진 - 1차 개혁(1894.7.27~1894.12.17, 1차 김홍집 내각): 일본의 경복궁 점령->민씨정권 붕괴->흥선 대원군 섭정, 군국기무처(초정부적 회의 기관) 설치 - 2차 개혁(1894.12.17~1895.7.7, 2차 김홍집 내각): 청일전쟁 일본 승리->대원군 하야, 간섭 정책, 갑신정변 주도자 박영효, 서광범 귀국 참여, 군국기무처 폐지->김홍집, 박영효 연립내각(친일내각) 홍범14조(최초의 헌법적 성격): 자주권, 행정, 재정, 교육, 관리 임용, 민권 보장 정치: 연호:개국기원, 왕실(궁내부)과 정부(의정부) 분리, 과거제 폐지, 사법권 독립, 지방관 권한 축소(행정권만), 경찰제 확립(경무청) 경제: 재정의 일원화(탁지아문), 왕실과 정부 재정 분리, 은 본위 화폐 제도, 조세의 금납제, 도량형 통일, 토지제도의 개혁 미흡 사회: 신분제 폐지, 조혼 금지, 과부 개가 허용, 고문 및 연좌제 폐지 군사: 성과미흡(일본의 간섭) -> 박영효 망명 러프독 삼국 간섭(1895): 일본의 요동반도 청 반환 요구 -> 일견제 친러정책 선회 - 3차 김홍집 내각(1895.7 친러내각): 박영효 실각, 온건개혁파+친러파(명성황후, 이범진, 이완용) 일본 세력 제거 시도 -> 을미사변(1895.8): 명성황후 시해 - 을미개혁(3차 개혁, 1895.8~1896.2, 4차 김홍집 내각): 친러파 축출, 김홍집, 유길준 중심 친일내각 단발령 반포, 태양력 사용, 연호: 건양, 우편 사무 재개, 소학교 설치, 친위대, 진위대 설치, 종두법(천연두) 실시 => 명성황후 시해, 단발령 반발 -> 을미의병(1895): 위정척사 사상의 유생들 주도 -> 아관파천(1896) | ||||
조선 | 대한제국의 성립과 독립협회 | 1896~1899 | 춘생문 사건(1896): 친러 친미파(이범진)의 국왕 미국 공사관 이어, 친일정권 타도 시도 -> 실패 반일정서 확산, 고종의 개혁에 대한 불만, 신변위협, 러시아의 세력 만회 기회 -> 아관파천(1896): 친러내각 수립, 개화파 정부 와해(의병 해산 권고, 단발령 폐지), 열강의 이권 침탈 심화 -> 고종의 환궁, 대한제국 성립(1897): 연호: 광무, 점진적 개량(구본신참), 전제황권 강화(교정소: 황제직속 입법기구) * 독립협회(1896~1899): 개화파(서재필, 윤치호, 이상재)+유학자(남궁억, 정교)+도시 시민층, 독립신문 창간 민중 계몽(강연회, 토론회, 신문, 잡지 발간), 자주독립 의식 고취(독립문), 민중의 지지 확보, 정부의 외세 의존적 자세 비판 - 만민 공동회(1898 최초의 근대적 민중 대회): 러시아의 침략 규탄, 자주 국권 운동 - 기본권 운동: 신체 자유권, 재산권, 정치적(언론,출판,집회,결사) 자유 - 국민 참정권 운동: 민의 반영 -> 민중의 대표기관, 진보적 내각(박정양) 수립 성공 - 관민 공동회 개최: 헌의 6조 결의(자주 국립, 이권 침탈 방지, 재정 일원화, 재판 공개+인권 존중, 입헌군주제, 법치) => 보수세력과 대립, 해산(1899) -> 만민 공동회의 항거<- 황국협회(보부상)를 통한 탄압 독립협회의 3대 사상 - 자주 국권 사상: 러시아 배척, 미영일엔 우호적 - 자유 민권 사상: 자유, 평등, 국민 주권, 민주주의 - 자강 개혁 사상: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국력 배양 | |||||
조선 | 대한제국의 개혁(광무개혁) | 1899 | - 정치: 독립협회 탄압, 대한국 국제의 반포(1899): 헌법, 황제권 강조, 전제 군주 체제 강화 - 경제: 양전 사업, 지계(근대적 토지 소유권 제도), 상공업 진흥책 - 사회: 교육장려(실업 교육, 유학생 파견, 기술 교육), 근대 시설 확충(교통,통신,전기,의료) - 외교: 청과 통상조약(1899, 대등관계), 간도 관리사 파견(1902, 러시아 대항) - 군사: 원수부 설치(황제 통솔), 무관 학교 설립 한계: 전제 군주, 보수적, 열강의 관섭 |
간도 문제 청과의 간도 문제(1881~) -> 서북 경략사(1883), 토문 감계사(1885), 간도 관리사(1902, 함경도에 편입) 파견 일본이 간도 파출소 설치(1907), 간도 협약(1909): 남만주 철도(안봉선) 부설권 및 푸순 탄광 채굴권을 얻고, 청에게 넘김. 울릉도, 독도 문제 신라 지증왕 때 신라의 영토 -> 숙종 때 안용복: 일본 어부 축출, 일본에 우리 영토임을 확인 => 일본이 러일전쟁(1905) 중 불법적으로 강탈 | ||||
조선 | 을사조약과 항일 의병 투쟁 | 1905~ | //활빈당의 활동(1900~1905): 의병들, 관리, 부호, 일본 상인 공격 -> 빈민. 반봉건, 반침략적 운동, 대한 사민 논설 아관파천(1896) -> 베베르-고무라 각서(1896): 러일, 아관파천->한반도 38도선 분할 점령 제안 러일전쟁, 제1차 한일 협약(1904) -> 을사조약(1905): 외교권 박탈 => 상소 운동, 항일 순국, 5적 암살단(나철, 오기호): 일진회 습격, 매국노 처단, 항일 언론(황성신문: 시일야방성대곡(장지연), 고종의 을사조약 무효 선언(대한매일신보)) -> 을사(1905), 병오(1906)의병: 민종식, 최익현, 신돌석(평민) -> 헤이그 특사 파견(1907) -> 고종 퇴위, 군대 해산, 한일 신협약(정미7조약) -> 정미의병(1907): 해산 군대의 의병 합류, 간도 연해주까지 확산 -> 서울 진공 작전(1908): 이인영+허위, 1만여 명의 의병 연합 부대, 일본군의 반격에 실패 -> 국내 진공 작전(간도 연해주 지방의 홍범도, 이범윤) 장인환, 전명운(1908): 샌프란시스코에서 외교 고문 스티븐스 사살, 안중근(1909): 이토 히로부미(초대 통감) 사살(만주 하얼빈 역) => 일본군의 남한 대토벌 작전, 마지막 의병장 채응언(1913 황해도 헌병 파견소 공격)) 한계: 의병의 무력적 열세, 양반 층의 지배 질서 고집, 외교권 상실로 인한 국제적 고립 의의: 민족 구국 운동, 항일 무장 독립 투쟁의 기반, 반제국주의적 민족 운동 |
대외 상황 | 발달 | 정치 (통치 체계) | 경제 | 대외 정책 | ||||
조선 | 애국 계몽 운동 | 1905~ | 교육, 언론, 종교 등 문화 활동과 산업 진흥을 통한 국권 회복 운동 <- 사회진화론의 영향 일진회(친일 단체)에 대항 - 보안회(1904): 유생, 관료출신, 보국안민,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 저지운동 -> 일제의 탄압으로 해산 - 헌정 연구회(1905): 입헌 정치체제 수립 목적 계몽 운동, 일진회 규탄 -> 해산 을사조약 이후 - 대한 자강회(1906): 헌정 연구회를 모체로 사회 단체+언론 기관 주축, 교육과 산업 진흥, 월보의 간행, 연설회, 고종의 강제 퇴위 반대 운동 -> 해체 - 대한 협회(1907): 대한 자강회 계승, 교육의 보급, 산업의 개발, 민권신장, 행정 개선, 반일 운동에는 못나섬 - 신민회(1907~1911): 안창호, 양기탁, 각계각층 망라, 비밀결사 단체, 공화 정치 체제 목표 표면적: 문화적 경제적 실력 양성, 내면적: 독립군 기지 건설(1910년 이후 의병 부대와 연대) 일제가 날조한 105인 사건(1911) -> 와해 - 언론기관들: 황성신문(1898~1910), 대한매일신보(베델 1905~1910) -> 일제의 사전검열, 신문지법(1907) 국외: 신한민보(미국), 대동공보,해조신문(연해주) 한계: 정치적,군사적 예속상태의 투쟁 의미: 민족 독립 이념 제시, 전략 제시(국외 독립군 기지), 장기적 기반 구축(인재 양성, 민족 산업 진흥: 경제적 토대, 독립군 기지 건설) | |||||
조선 | 경제 침략 | 1876~1904 | 개항(1876), 정부의 노력(시찰단, 개혁 전담 기구), 재정 부족, 경험 미숙 등으로 어려움 불평등 조약: 무-저관세, 치외법권, 외국 화폐 유통 - 초기: 일본의 거류지 무역, 약탈적 무역, <-일용품, ->곡물,귀금속 - 임오군란(1882) 이후: 청 상권 확대, <-값싼 면제품(광목, 섬유, 국내 수공업 쇠퇴), ->쇠가죽,쌀(물가인상, 생계위협),콩,금(귀금속) 일부 지주와 상인: 미곡 수출로 이익, 실을 사들여 면직물 제조 - 1890년대: 곡물 수매 주력(자본주의 발달 초기 일본 농촌의 피폐) -> 방곡령 선포(1889), 실패 - 청일전쟁(1894) 이후: 시장 독점, 철도 부설권 탈취 - 아관파천(1896) 후: 열강의 이권 침탈 본격화, 최혜국 대우 러시아: 재정,군사 고문, 경성,경원 광산 채굴권, 삼림 벌채권 미국: 운산 금광, 경인선 철도 부설권, 전차,전기 부설권 독일: 당현 금광 일본: 직산 금광, 철도 부설 주력(경부선, 경인선, 경의선) 제일은행 설립: 중앙은행 기능, 세관, 화폐정리(메가다 1905) 업무. 고리대금업, 농장 경영, 철도 부지 약탈, 군용지 약탈, 황무지 개간, 동양척식 주식회사(일본인 토지 확대 지원) 청일전쟁(1894) 이후: 차관 제공 -> 러일전쟁(1904) 후: 차관 강요 | |||||
조선 | 경제 구국 운동 | - 방곡령 시행(1889): 함경도, 황해도 등지의 지방관 -> 외교 문제(조일 통상 장정), 철회, 배상금 - 서울 상인의 상권 수호 운동: 황국 중앙 총상회(1890년대) - 독립협회(1896):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 저지, 한러은행 폐쇄, 러시아의 도서의 매도 요구 저지, 프랑스 광산 채굴권 저지, 독일이 차지한 이권 반대 운동 - 황무지 개간권 반대 운동(1904): 보안회, 농광회사(우리 손으로 개간) -> 철회 - 국채 보상 운동(1907): 차관 도입->외채 총1300만원, 대구의 서상돈,김광제 국민의 힘으로 국채 상환하자 -> 양기탁 누명, 통감부 방해 - 정부: 전환국 설치(중앙은행), 근대적 기업 설립, 토지 개발 - 민간: 근대적 상인으로 변모, 상회사, 근대적 회사(철도, 광업) 설립 => 자본부족, 일본의 방해 조선 유기 상회, 대한 직조 공장, 종로 직조사, 조선은행 -> 화폐 정리 사업(1905) 및 일제의 방해로 몰락 | ||||||
조선 | 사회, 생활 변화 | 실학계승, 평등한 근대 사회 추구 천주교(평등, 조상 제사 문제), 동학(사회 혁명적, 인내천), 개신교(학교 설립, 의료 사업) - 갑신정변(1884): 인민 평등, 사민평등, 최초의 근대적 개혁, but 대중 기반 약소 - 동학 농민군(1892~1894): 신분제 폐지 요구, 지조법 개혁(평균분작), 집강소 설치 -> 양반들의 민보군 조직, 진압 -> 양반 중심의 전통적 신분제 사회 붕괴 기여, but 근대 사회의식 부족 - 갑오개혁(1894): 신분제의 폐지, 사법제도, 점진적,개량적, 평등사회의 기틀, but 민중과 유리, 민주주의사회x - 독립협회(1896~1899): 독립신문, 인권 확대 운동, 참정권 실현 운동 -> 사회의식의 변화 의생활 일부 상류층, 개화 인사: 단발, 양복, 양말, 구두 여학생, 신여성: 개량 한못, 두루마기, 양산 식생활 한상에서 식사, 포크, 나이프, 커피, 홍차, 양과자, 빵 임오군란 후: 중국 음식점(만두, 찐빵) 청일전쟁 후: 초밥, 우동, 어묵, 단팥죽, 단무지, 청주 주택문화 신분제한 해제, 서양식 건물, 일본식 주택, 한옥과 양옥 절충 국외 이주 만주(간도): 황무지 개간, 1910년 20만명, 독립 운동 연해주: 러시아의 이주 허가(개발 목적), 8만명, 신한촌, 무장 투쟁의 중심지 미국: 1902년 하와이(농장) 이민 | ||||||
조선 | 근대 문명의 수용 | 과학기술의 수용: 동도 서기론(서양 기술 수용) - 흥선 대원군: 서양의 무기 제조술 - 1880년대: 산업기술(양잠, 방직, 제지, 광산) - 1890년대: 교육 개혁 인식(의학교, 철도 학교, 광업 학교) 신사유람단(조사 시찰단) -> 근대 문물, 시설 한계: 외국인에 의존, 일본 침략 합리화 근대 교육 - 원산 학사(1883): 최초의 근대 사립학교(외국어, 자연과학, 국제법, 무술) -> 갑오개혁(1894) 때 원산 소학교(공립) - 동문학(1883): 정부산하 영어 강습 기관(통역관) - 육영 공원(1886): 최초의 관립학교, 상류층 자제중심, 미국인 교사(영어, 수학, 지리학, 정치학) - 개신교 계통의 사립학교: 배재학당(1885), 이화학당(1886), 경신학당(1886), 정신여학교(1895), 숭실학교(1897) - 민죽 운동가들의 사립학교: 보성학교(1905, 서울), 양정학교(1905, 서울), 서전서숙, 오산학교, 대성학교, 신흥학교 국학연구: 실학전통, 민족의식 고취 - 영웅들의 전기(을지문덕전, 강감찬전, 이순신전): 애국심 - 외국 역사서 번역, 일제 침략 비판 - 신채호: 독사신론(대한매일신보), 현채: 동국사략,유년필독, 월남망국사, 조선광문회: 민족 고전 정리,간행 - 국,한문체 보급(서유견문(유길준), 황성신문), 언론의 한글사용(독립신문, 제국신문) - 국문 연구소 설립(1907): 주시경, 지석영, 표기법 통일 - 문법서: 유길준(조선문전), 주시경(국어문법) | ||||||
조선 | 문예, 종교의 변화 | - 신소설 등장: 혈의 누(이인직), 자유종(이해조), 금수회의록(안국선) - 신체시 출현: 해에게서 소년에게(최남선, 1908 - 번역 문학: 성경, 천로역정, 이솝 이야기, 로빈슨 표류기 부정적 영향: 외국 문화의 분별없는 수입, 소개로 식민지 문화 터전 제공 - 찬송가, 독립가, 권학가, 애국가 유행 - 신극(원각사), 판소리, 민속 가면극 성행 - 서양식 유화 종교 - 천주교: 선교의 자유(1886 조프 수호 통상 조약), 고아원,양로원 설립 - 개신교: 서양의술 보급, 학교설립, 국민 교육회 - 천도교(동학): 친일세력 타파, 민족신문(만세보) 발간 - 대종교: 단군신앙 기반 창시(1909), 해외 항일 운동 참여 - 유교: 반침략적, 주자학 중심 비판, 양명학+사회 진화론: 대동사상 주창 -> 대동교 - 불교: 일본불교 침투, 미신타파(한용운), 불교혁신, 자주성 회복 |
대외 상황 | 발달 | 정치 (통치 체계) | 경제 | 대외 정책 | ||||
일제 강점기 | 국권의 피탈(고문,통감,차관 통치기) | 1904~1910 | - 제1차 영일 동맹(1902): 영국-청, 한국-일본 -> 러일전쟁(1904) - 가쓰라-태프트 밀약(1905): 일본-한국, 미국-필리핀 - 제2차 영일 동맹(1905): 일본 옹호 - 포츠머스 조약(1905): 러시아와 체결.(한국에 대한 우위권) |
- 러일전쟁(1904) -> 대한제국의 국외 중립 선언 -> 무시, 한일 의정서(1904.2) 체결: 러시아와의 조약 폐기, 군사적 요지 시설 사용, 외교에 일본 승인 필요 - 제1차 한일 협약(1904.8, 고문통치): 재정고문(일본인 메가다), 외교고문(미국인 스티븐스), 군사, 경찰, 학부, 궁내부에도 일본인 고문 - 제2차 한일 협약(1905.11, 을사조약, 통감정치): 통감정치 강요, 외교권 박탈, 통감부 설치 - 한일 신협약(1907.7, 정미7조약, 차관통치): 순종 즉위 후, 각 부에 차관, 군대 해산 - 기유각서(1909.7): 의병 진압, 사법권, 감옥 사무권 박탈, 경찰권 박탈(1910.6) => 총독부 설치, 총독에 의한 식민 통치 - 고종의 을사조약 무효 선언(1905) - 일진회의 합방 건의문(1909) | ||||
일제 강점기 | 헌병 경찰 통치기(무단 통치기) | 1910~1919 | 파리 강화 회의(1919.1): 1차 세계대전 뒷처리, 민족 자결주의 | - 조선 총독부 설치, 헌병 경찰 통치 실시 조선총독: 일본군 대장 출신, 일본 국왕 직속, 입법,사법,행정권 및 군대 통수권 장악 -> 독립운동의 철저한 탄압 행정(정무총감), 치안(경무총감) - 중추원 설치: 의장=정무 총감, 총독부 자문 기관(친일파 한국인 참여, 회유술책), 3.1운동까지 정식 소집 없었음. - 헌병 경찰: 2만여 명, 헌병 경찰+보조원, 제복착용(칼) 일본 헌병 사령관->경무 총감, 헌병 대장->경무 부장 독립 운동가 색출, 처단이 주된 업무, 즉결 처분권, 태형,구류 기본권(얼론,집회,출판,결사의 자유) 박탈, 독립운동 탄압 105인 사건(1911) 신민회 탄압 - 토지 조사 사업(1912~1918): 토지 약탈, 지주층 회유 기한부 신고제, 복잡한 절차, 동양척식 주식회사 -> 농민의 소작농화(50~70% 소작료) 1918년: 3%지주 50% 경작지 소유 -> 농민의 유민화 - 회사령(허가제, 강제해산), 산림령(1911), 조선 어업령(1911), 조선 광업령(1915) | ||||
일제 강점기 | 독립 운동의 전개 | 1910년대: 비밀결사(국내, 신민회), 독립운동 기지 건설(국외) - 독립 의군부(1912): 복벽주의(전제 군주제), 고종의 밀조(임병찬+유생), 일본에 국권 반환 요구서 제출 - 조선 국권 회복단(1915): 공화주의, 독립 청원서(파리강화회의) - 대한 광복회(1915): 공화주의, 의병 출신+신교육 인사, 군자금 모집 활동, 친일차 처단, 가장 활발한 활동 - 조선 국민회(1915): 공화주의, 숭실 학교 재학생, 군자금 모금, 무기 구입 활동: 독립사상 고취(선언문, 격문), 민족운동 확산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 파리강화회의에 대표 파견(김규식(신한 청년당)), 국내의 독립 운동 준비, 고종의 독살설, 2.8독립선언(일본 유학 중이던 학생들, 도쿄), 길림에서의 독립 선언(2월) => 3.1 운동: 독립 선언문 발표, 만세 시위 1단계: 독립 선언서 제작,배포, 비폭력주의 2단계: 학생들 주도의 시위 운동, 상인,노동자들의 만세 시위, 파업,운동자금 제공 3단계: 농민들의 적극적 참여, 무력저항, 국외로도 확산 의의: 독립 의지 천명, 민족 저력 과시, 민족 주체성 확인 계기, 독립 운동 방향 제시 =>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민족의 역량 통합, 무단통치->문화통치, (중국의 5.4운동, 인도의 무저항 운동, 중동 지역의 반제국주의 민족운동) 각지의 임시 정부: 대한 국민 의회(연해주, 손병희), 한성 정부(국내 13도 국민 대표, 이승만, 이동휘), 대한민국 임시 정부(중국 상하이, 민주 공화제 바탕, 이승만) 등 -> 통합(1919): 상하이, 근대적 헌법, 민주 공화제, 대통령제, 입법기관(임시 의정원), 사법기관(법원), 행정기관(국무원), 3권 분립의 헌정 체제 | ||||||
일제 강점기 | 임시 정부의 활동 | 독립 청원서 등의 독립외교의 실패, 노선 갈등, 이승만의 위임 통치안 제출(독립운동가들의 분노->박은식(제2대 임시 대통령)), 임시 정부 개편의 필요성(이동휘의 레닌 지원 자금 유용 혐의, 간도 참변) -> 국민대표회의 소집(1923): 신채호, 박용만(외교 노선 비판) 창조파(신채호, 문창범), 개조파(안창호, 이동휘) 대립으로 결렬 - 대통령제 -> 국무령제로 개헌(1925) - 창조파: 한 정부 조직, 연호: 기원, 소련의 원조(노령 지역)가 없어 실패 - 재정비: 김구 등의 노력. 이승만(외교), 안창호(실력 양성), 신채호(무장 투쟁) 활동 내역 - 연통제 실시: 비밀연락 조직(총판,독판,군감,면감), 교통국(통신기관, 군자금 모금, 정보 수집) - 군자금 지원: 이륭 양행(만주), 밴산 상회(안희제, 부산)->각 독립군에 전달, 애국 공채 발행 - 외교 활동: 김규식(외교 총장) 파리 강화 회의 참석, 국제 연맹, 워싱턴 회의, 구미 위원부 설치(이승만, 미국, 유럽 중심, 독립 문제 여론화) - 문화 사업: 독립신문 발행,배포, 사료 편찬소(한일관계 사료집) - 무장 활동: 육군 무관 학교(상하이), 한국 광복군(충칭, <- 윤봉길 사건) | ||||||
일제 강점기 | 민족 분열 통치기(문화 통치기) | 1919~1931 | 국제여론, 3.1운동(1919)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만주 연해주의 항일 무장 운동 - 총독 임명 규정 개정: 문관 가능. But x - 보통 경찰 통치: 제복만 바뀜. + 고등 경찰제 - 신문 발행 허가(1920): 조선일보, 동아일보. But 검열,삭제,정간,압수 - 회사령 철폐(1920): 허가제->신고제 - 교육 기회 확대: 초급학문, 기술 교육 - 치안 유지법 공포(1925): 공산당 체포, 독립 운동 억압 - 지방 자치의 부분적 허용: 무늬만(임명제, 특정계층만의 선거제) - 제복, 착검 폐지, 태형->벌금형 - 보통학교 교장에 한국인 등용 가능 - 식민 사관 정립(1922): 조선사 편찬 위원회 - 1920년대 중반: 본격적인 일제 독점 자본의 침투(광업, 비료, 섬유 회사), 중공업 정책(수력 발전소) -> 1930년대: 군수물자 공급 병참 기지(중공업 투자 증가) - 산미 증식 계획(1920~1933): 논농사 중심 정책, 쌀 수탈 -> 식량 부족(증가량<수탈양), 잡곡 수입, 농민의 유민화 기만정책, 한민족 이간 분열, 근대의식 성장 오도, 식민 통치 은폐 | |||||
일제 강점기 | 국내외 항일 운동 | 일제의 수탈, 식민지 교육 반발 -> 1926.6.10만세 운동: 순종 인산일, 전문학교, 고등 보통 학교, 사회주의계에 의해 각각 -> 연쇄 반응, 탄압, 거족적x, 학생들 투옥 -> 민족주의계, 사회주의계 통합 신간회 결성(1927) 한일 학생 충돌의 편파적 처리 ->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국민 가세, 전국적 규모(5만4천여명, 5개월)+일본 유학생, 신간회,성진회의 조직적 후원 항일 무장 투쟁: 구월산대(황해도), 천마산대(광복군 사령부와 협조, 이후 대한 통의부에 편입), 보합단(군자금 모집, 친일파 숙청) 애국 지사들의 의거 의열단(1919): 김원봉(만주, 길림), 5파괴 7가살, 조선 혁명 선언(1923, 신채호)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침체 -> 한인 애국단(1926, 상하이): 김구 중심, 활발한 활동 - 강우규(1919, 노인단): 사이토 총독 투탄 ... - 이봉창(1932, 애국단): 일본 국왕 폭살 기도 사건 -> 중국의 보도(아쉬워하는) -> 상하이 사변 - 윤봉길(1932, 애국단): 상하이 훙커우 공원 투탄, 국제거 관심 -> 한중 연합의 계기(대한민국 임시 정부 지원 강화, 무장 독립 승인) | ||||||
일제 강점기 | 독립 전쟁의 전개 | 독립 운동 기지의 건설 신민회(1907~1911)의 활동 -> 독립 운동 기지 설치(남만주의 삼원보(경학사 설립), 밀산부의 한흥동, 블라디보스토크의 신한촌) 한인의 국외 이주 19세기 중엽: 기아 빈곤 탈출위해 계절 출가 이민 을사조약(1905) 이후: 일제 반감 인사, 정치적 망명자 국권 강탈(1910) 이후: 의병, 애국지사 -> 중국, 연해주, 미국, 일본 망명, 경제 및 교육단체 표방 만주(간도) 지역 활동 3.1운동 이전: 황무지 개간, 민족 학교 성립, 경학사(1910): 자치기구->부민단(1914) 개편, 백서 농장(1917), 중광단(1911): 대종교 중심, ->북로 군정서 3.1운동 이후: 독립군 편성 - 간도 참변(1920.10 경신참변), 미쓰야 협정(1925 중국 군벌), 만보산 사건(1931, 일본의 이간책, 한중), 항일 운동 약화(1930년대) 중국(상해) 지역 활동 - 동제사(1911): 중국 국민당과 교류, -> 신아 동제사(1913): 발달 학원 설립 - 신한 혁명당(1915): 복벽주의 -> 공화주의, 대동 단결 선언(1917) - 신한 청년당(1919): 김구, 박은식, 외교활동 연해주 지역 활동 - 한민회(1905): 한인 자치 기구 - 13도 의군(1910): 의병 통합체 - 성명회(1910): 유인석, 이상설, 선언문(피의 투쟁) - 권업회(1911): 이종덕, 국권 회복, 경제 이익 증진, 민족 교육 운동 - 대한 광복군 정부(1914): 임시 정부 탄생의 계기 - 전러 한족회 중앙 총회(1917)->대한 국민 의회(1919, 정부형태): 고창일(파리 강화 회의) - 1920년대: 볼셰비키의 한인 무장 해제(자유시 참변(1921)), 운동 약화 - 1930년대: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1937), 희생, 재산 소실 | ||||||
일제 강점기 | 미주 지역 활동 하와이 사탕수수 노동자(7천여명), 미국 본토(유학생, 관리 출신, 인삼 장수, 지식인), 멕시코 쿠바(노예생활) 대부분 재정 지원, 선전, 외교 활동 - 하와이: 신민회(1903), 한인 협성회(1907) - 미국 본토: 공립 협회(1905)->국민회 대한인 국민회(1910): 외교, 신한민보 흥사단(1913, 안창호<-신민회): 군인 양성, 외교, 교민 교화, 동광(잡지) 구미 위원부(1919, 워싱턴): 이승만, 외교, 한국평론(영문 월간지), 구체적 성과x 일본 지역 활동 19세기 말: 유학생 -> 국권 강탈 후: 산업 노동자(착취, 차별) - 조선 청년 독립단: 2.8독립선언(1919) 3.1운동 이후 조직적 무장 독립 전쟁 전개!! - 봉오동 전투(1920.6 연해주): 일본군의 침입, 퇴각 - 청산리 전투(1920.10 만주): 훈춘 사건 조작->침투, 김좌진의 북로 군정서군(청산리 대첩), 대한 독립군, 국민회 독립군 등의 성과 -> 간도 참변(1920.10): 보복성 무차별 한인 학살 - 자유시 참변(1921): 소련 내전+일본과의 마찰 우려 -> 독립군 사상 - 독립군 재정비(3부, 민주적 민정기관, 군정 기관 설치): 육군 주만 참의부(1924~1927, 임시 정부 직할, 압록강 건너), 정의부(1925~1927, 길림,봉천,남만주), 신민부(1925~1927, 자유시 참변 독립군, 북만주) - 미쓰야 협정(1925): 일중, 현상금 협정->독립군 위협 - 민족 유일당 운동(1926, 북경) -> 3부 통합운동: 혁신 의회(1928, 북만주 김좌진,지청천,김동삼->한국독립당,군 결성), 국민부(1929, 남만주, ->조선혁명당,군 결성) - 만주사변(1931) -> 한중 연합 작전: 한국독립군(지청천)+중국호로군(쌍성보, 대전자령 전투, 사도하자 전투, 동경성 전투), 조선혁명군(양세봉)+중국의용군(흥경성 전투, 영릉가 전투) -> 일본군의 대토벌 작전, 사기저하, 의견대립 -> 대부분 중국 본토로 이동(임시 정부의 요청): 한국 광복군 창설 참여(1930년대 중반), 잔류+중국 공산당군: 동북 항일 연군 편성,항전 | |||||||
일제 강점기 | ||||||||
일제 강점기 | - 조국 광복회(1936): 동북 항일 연군의 민족 연합 전선 실현 목적, 함경도 - 보천보 전투(1937): 함경남도 보천 습격(북한의 김일성 주도 선전) - 민족 연합 전선 형성 노력: 좌우 대립 지양 -> 민족 혁명당(1935): 민족 독립 운동의 단일 정당 목표, 의열단(김원봉) 중심->지청천,조소앙 탈퇴 -> 조선 민족 혁명당 개편(1935), 중국정부의 협조(조선 의용대), 중국군과 합세 - (한국 국민당(김구)+민족주의계->)한국 광복 운동 단체 연합회 결성+조선 민족 전선 연맹(사회주의계)과 제휴 -> 전국 연합 진선 협회(1939): 완전한 통합은x - 한국 광복군(1940): 임시정부의 김구,지청천, 신흥 무관 학교 출신의 독립군+중국 각지 청년 -> 창설(충칭), 조선 의용대(김원봉) 흡수 - 조선 의용군(사회주의): 중국 화북지방 중국 공산당과 연계, 한국 광복군과 따로 전개 태평양 전쟁(1941) -> 대일,대독 선전 포고문 발표(한국 광복군), 연합군 합류 국내 집입 작전 계획: 지청천(총사령관),이범석(지대장), 미군과 연합, 비행대 편성 -> x(일본의 무조건 항복 1945) | |||||||
일제 강점기 | 사회(사상) 경제적 민족 운동 | 레닌(사회주의)의 약소 민족 독립 운동 지원 약속(1920년대), 3.1운동(1919) 후 세력분화 - 민족주의(자본주의): 실력 양성(비타협적, 민립대학, 물산 장려, 실력 양성), 민족 개량주의(이광수,최린, 식민지 인정, 정치적 자치권 획득 운동) - 사회주의: 노동자,농민 중심 국가, 노동 조합, 농민 조합, 계급운동+독립운동 - 아나키스트(무정부주의) => 민족 유일당(민족 협동 전선) 운동 - 북경 촉성회(1926): 안창호, 단결 호소로 창립 - 조선 민흥회(1926): 사회주의(서울 청년회계)+민족주의(조선 물산 장려회)의 제휴 민족주의 내 이광수,최린의 자치론(식민지 인정) -> 자치론 확산 우려로 사회주의 세력과 협동 - 신간회(1927~1931): 비타협적 민족주의+사회주의, 일제하 최대의 합법적 항일 단체, 전국 140여개 지회, 일본,만주까지 확대 사회운동 전개: 소작쟁의, 수재민 구호 운동, 재만 동포 옹호 운동 광주 학생 운동 후원(1929): 조사단 파견 한국어 교육, 한국인 교육, 착취 기관 철폐, 일본인 이민 반대, 과학 사상 연구의 자유 등을 주장 -> 코민테른의 좌경화 정책, 중앙 본부의 우경화로 지회와 마찰, 일제의 탄압으로 해체 - 근우회: 여성계의 민족 유일당, 강연회,토론회, 야학 설치, 여성 계몽, 신간회와 같이 해체 - 여성운동: 여자 청년회, 부인회 등, 가부장제, 전통적 인습 타파, 사회주의적 -> 많은 여성의 사회 활동 참여 - 소년 운동: 천도교 청년회의 소년부 설치, 어린이날 선전문, 조선 소년 연합회(1927), 용기 애국심 고취, 지도층의 이념 대립으로 분열 -> 중일전쟁 후 일제의 청소년 운동 일절 금지로 중단 - 청년 운동: 야학 설립, 물산 장려, 민립대학 설립 운동 등 지원, 사회주의적 -> 조선 청년 총동맹(1924): 민족주의+사회주의 분열 수습 - 학생 운동: 동맹 휴학 형태 전개, 조선 역사 교육, 조선어 사용, 학생회 자치, 언론 집회 자유 요구 ->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 ||||||
일제 강점기 | - 형평 운동: 백정의 차별 -> 조선 형평사(1923) <-> 반형평(신분의식) 운동 -> 성격 변화(대동사 1936, 순수한 경제적 이익 향상 운동) 경제적 저항 운동의 전개 농민 운동(소작쟁의) - 일본의 토지 약탈, 지주 성장 -> 농민 이탈, 소작농 전락 -> 농민 운동(소작쟁의): 생존권 투쟁, 전라남도 무안군 암태도 소작쟁의(1923) - 조선 농민 총동맹(1927): 조직적 전개 - 1930년대: 사회주의와 연계 노동 운동(노동쟁의) 식민지 공업화로 산업 노동자 증가, 열악한 노동 조건(12시간, 적은 임금), 민족 차별 -> 노동 조합의 결성: 임금 인상, 단체 계약권, 8시간 노동제, 악질 감독 추방, 노동 조건 개선 등 요구 - 원산 노동자 총파업(1929): 일본인 감독의 한국인 노동자 구타 사건 계기, 조직적 파업,투쟁, 항일적, 국제적 연대(외국의 격려문) 과시 - 1930년대: 일제의 병참 기지화 정책으로 통제 강화 민족 기업 육성 경공업 중심(직포, 메리야스, 고무신), 소규모 중심, 물산 장려 운동 전개(1922, 민족 기업 지원, 민족 경제 자립, 자작회, 물산 장려회) | |||||||
일제 강점기 | 민족 문화 수호 운동 | 일제의 한국사의 왜곡(단군 조선 부정, 식민 사관 전개): 외세의 간섭에 의한 한국사 전개론(타율성론), 정체(고대사회에서 정체)성론, 반도성론(위치적으로 외세 침탈 취약), 당파성론(내부 분열(파벌)에 의한 조선 왕조 멸망) - 조선사 편수회(1925): 식민 사관 토대 '조선사' 편찬 - 청구학회(1930): 경성 제국 대학 교수, 청구학보 민족 문화 수호 운동 한국사 연구 *민족주의 사학 - 박은식: 한국통사(19세기 민족 수난), 한국독립운동지혈사, 연개소문전, 안중근전, 혼 중요시, 임시 정부 대통령 활동 - 신채호: 주로 고대사 연구, 조선상고사, 조선사연구초, 최도통전, 을지문덕전, 낭가(화랑도) 사상 중시, 조선 혁명 선언 -> 무정부주의자 - 정인보: 신채호 계승, 실학 연구, 5천 년간의 조선의 얼, 조선사연구 - 문일평: 세종 중요시, 조선심, 조선 사상 강조 - 최남선: 조선 광문회 조직, 불함 문화론 주장(백두산: 동양 문화의 원천) 조선학 운동: 국수적 낭만적 역사 비판, 고증적, 자주적인 근대 사상, 주체성 *실증 사학 - 진단 학회(1934) 조직: 실증주의 사학 도입 *사회 경제 사학 - 백남운: 사적 유물론, 세계사적 보편성 위에서 체계화, 식민 사학의 정체성 반박, 민족주의 사학 정신도 비판, 조선사회경제사(1933), 조선봉건사회경제사(1937), 해방후 지주,자본가와 새나라(연합성 신민주주의) *신 민족주의 사학(1940~50년대) - 민족적 자유 평등 실현, 역사 재평가, 민족사 체계화 - 손진태: 평등,친화,자주독립 제창, 안재홍, 홍이섭 등 한글 보급 운동 - 조선어 연구회(1921): 한글 연구, 강습회,강연회, 한글 보급, 잡지(한글), 가갸날 -> 조선어 학회(1931~1942)로 개편: 우리말 큰사전 편찬 착수 -> 조선어 학회 사건(1942) | ||||||
일제 강점기 | 민족 교육 진흥 운동 | 낮은 취학률, 철저한 식민지 교육 -> 민족 교육 운동 전개 - 일본 총독의 조선 교육령(1911.8): 식민 사관 주입 - 1920년대 야학: 우리글,말, 역사 - 민립대학 설립 운동(1922): 총독부에 건의->묵살 -> 모금 활동, 실패(자연재해 및 일제방해) -> 일본의 무마책: 경성 제국 대학(1924) - 만주사변(1931) 이후: 야학 개량서당 위축 농촌 계몽 운동 - 문자 보급 운동: 조선일보(1929, "아는 것이 힘, 배워야 산다", 문맹퇴치) - 브나로드(Vnarod, 계몽) 운동(1923): 동아일보, 문맹 퇴치, 미신 타파, 구습 제거, 근검 절약 등의 생활 개선 운동 -> 금지령(1935) 과학 대중화 운동 - 안창남의 고국 방문 비행 - 민족지의 과학 대중화 주장 -> 발명 학회, 과학 문명 보급회(1924) - 발명 학회(1924): 과학조선, 과학의 날 행사 -> 1930년대 말 일본 과학 단체로 강제 흡수 종교 활동 - 개신교: 신사 참배 거부로 투옥, 학교 폐쇄 - 천주교: 경향(잡지), 의민단(무력 투쟁) - 천도교: 자주독립 선언문(제2의 3.1운동계획), 개벽, 어린이, 학생 등의 잡지 - 대종교: 항일 투쟁, 항일 무장 단체(중광단, 북로 군정서) - 불교: 사찰령, 승려법(일본 불교에 예속), 한용운(항일) - 원불교: 현대화, 생활화, 개간 사업, 저축 운동 일부 종교계 인사들은 친일적 성향 | ||||||
일제 강점기 | 민족 말살 통치기 | 1931~1945 | 세계적 경제공황(1920년대 후반) -> 일본의 대륙 침략 강행 -> 중일전쟁(1937), 태평양 전쟁(1940~) | -> 일본 본토+식민지: 하나의 경제 블록, 병참 기지화: 노동력, 자원 수탈 -> 유조구 사건: 고의적 철도 폭파 사건->만주사변(1931): 만주점령 - 남면북양(면화,면양) 정책: 산미 증식->공업 원료 증산 정책 - 중화학 공업 육성: 전기, 제철, 중화학 등 군수시설 - 대공황 여파, 소작 쟁의, 사회주의 세력, 적색 농조 운동 -> 농촌 진흥 운동(1932): 농민 회유책, 미봉책 -> 중일전쟁(1937) 도발 - 국가 총동원령(1938) 제정: 인적,물적 수탈, 생존,문화까지 말살 - 산미 증식 계획 재개(1939): 군량 확보, 식량 배급제(1939), 미곡 공출제, 가축 증식 계획 - 국민 정신 총동원 조선 연맹(1938): 국민 생활 전반 통제, 10호단위 애국반 -> 침략전쟁의 확대(태평양 전쟁) - 금속 그릇 공출: 농구, 식기, 제기, 교회나 사원의 종 - 인적자원 동원: 강제 전쟁 투입, 강제 노역 종사 - 학도 지원병제(1943), 징병제도(1944), 정신대(1944) 황국 신민화 - 민족 정신 말살: 내선 일체, 일선 동조론, 서사 암송, 궁성 요배, 신사 참배 강요 - 민족 문화 말살: 신교육령(1938): 우리말, 글, 역사공부 금지. - 민족 근원 말살: 창씨 개명 강요. - 물적, 인적 수탈: 강제 징용, 공출, 학도 지원병제(1943), 징병제도(1944), 정신대(1944), 패전후 대량학살 |
대외 상황 | 발달 | 정치 (통치 체계) | 경제 | 대외 정책 | ||||
대한민국 | 광복 | 미국+서유럽(NATO) <-> 소련+동유럽(WTO) 미국+동남아(SEATO), 흐루시초프(형식적 평화) |
- 한국 독립당(1940.4, 민족주의 계열): 대한민국 건국 강령(보통 선거, 민주 공화국, 삼균주의(정치,경제,교육)) - 조선 독립 동맹(1942.7, 사회주의): 김두봉, 조선 의용군(중국 공산당과 연합), 건국강령(보통 선거, 민주 공화국) - 조선 건국 동맹(1944.8, 좌+우): 일제타도, 민주주의 - 일제의 패망 인식: 여운형과 협상(치안권, 재정권 인계->안전 귀국 보장) 열강의 한국 문제 논의 - 카이로 회담(1943.11, 이집트): 미영중, 최초로 한국의 독립을 약속 - 얄타 회담(1945.2, 소련): 미영소, 38도선 진주 제안(일본군 무장 해제 이유), 신탁 통치 밀약->맥아더의 일반 명령1호(공식 확정) - 포츠담 선언(1945.7): 미영소중 등 연합국 대표, 카이로 선언 재확인 -> 미소 군정의 실시: 남(아놀드 군정 장관, 친미 우익), 북(소련, 공산주의) // 남한 정세: -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1945.8.15): 조선 인민 공화국 선포(1945.9.6) 이승만 주석, 여운형 부주석 (좌우->실제로는 좌익 정부,우익 외면,미국의 부정) - 우익: 한국 민주당, 독립 촉성 중앙 협의회(이승만), 한국 독립당(김구), 국민당 - 좌익: 조선 인민당 - 좌우: 민족 자주 연맹(김규식)// -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1945.12): 미소 공동 위원회 설치(임시 민주 정부 수립 지원 목적), 최고 5년간의 신탁통치 결정(미영중소) -> 반탁 운동 전개(김구, 이승만), 공산주의자들의 찬탁(소련의 사주) -> 민족분단 - 분단 극복 노력: 좌우 합작 운동, 납북 협상(1948, 김구,김규식)->실패 - 제1차 미소 공동 위원회(1946.3, 서울): 소련(신탁 지지 단체하고만 협의), 미국(모든 단체) - 제2차 미소 공동 위원회(1947.5): 의견차이 지속 -> 유엔에 이관 // 공산 세력의 움직임 - 민주주의 민족 전선(1946.2): 모스크바 3국회의 결정 지지, 미소 공동 위원회 지지, 친일파 처단 제시 -> 조선 정판사 위조 지폐 사건(1946.5): 남한의 경제 혼란, 당비 조달 목적(1300만원의 위조지폐) -> 미군정의 공산당에 대한 강경책// | |||||
대한민국 | 대한민국의 수립 | - 북한: 소련의 사실상 통치 - 남한: 이승만 등의 정부 수립 추진 - 정읍발언(1946.6 이승만): 남쪽만의 임시정부. -> 좌우 합작 위원회(1946.7 김규식,여운형) -> 미군정의 후원. But 좌익 세력의 탄압+이승만의 단독 정부 수립 운동, 주도 세력(김구,이승만,조선 공산당)의 불참, 극우세력의 여운형 암살(1947) - 미군정의 남조선 과도 입법 의원(1946.12): 45명의 민선의원(이승만)+45명의 관선의원(좌우합작파)+입법의원(김규식): 과도정부로 행정권 한국에 위임 - 제2차 유엔 총회의 결의(1947): 선거를 통한 통일된 정부 수립 결정 -> 소련의 반대 -> 유엔 소총회의 결의(1948.2): 가능한 지역에서만이라도 총선거, 정부수립 결정 - 5.10 총선거 반대 운동(김구,김규식,김일성,김두봉) - 제주도 4.3사건: 남한 단독 선거 반대, 미군 철수 구호 - 5.10 총선거(1948.5.10): 남북 협상파(김구), 사회주의계 대거 불참, 보통 비밀 선거 실시 -> 무소속, 독립 촉성 계열(이승만), 한민당(송진우, 김성수) 압승 - 제헌 국회 개원(1948.5.31): 북한 의석 남겨둔채 - 헌법 제정(1948.7.17): 민주 공화국 체제 -> 정부 수립(1948.8.15): 이승만(대통령), 이시영(부통령) -> 유엔 총회 승인(1948.12.12) 건국 초기의 국내 정세 - 좌우익의 대립: 제주도 4.3사건, 여수 순천 10.19사건(1948): 좌익의 대한민국 전복 시도 - 이승만의 반공 정책 강화, 농지 개혁 - 반민족 행위 처벌법(1948.9.22): 친일파 처벌, 민족정기 회복,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 설치 -> 반공 정책 위주의 이승만 정부: 소극적 태도, 친일파의 방해공작(반민 특위 습격 사건) 등 실패 | ||||||
대한민국 | 북한 정권의 수립과 6.25 | - 평남 건국 준비 위원회(1945.8): 조만식 -> 소련에 의해 해체 - 소련에 의한 북한의 공산화: 인민위원회 조직, 북조선 임시 인민 위원회 구성(1946): 김일성 선임, 토지 무상 몰수,무상 분배, 남녀평등법, 산업 국유화 -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수립(1948.9.9): 남침 준비 이승만 정부: 좌익 게릴라, 실업과 물가 폭등 등 어려움 - 애치슨 선언: 태평양 방위선 한국 제외 - 1950.6.25 발발 -> 낙동강 전선까지 후퇴(1950.9.2) -> 유엔군 참전(16개국): 서울 탄환과 진격 -> 중국군 개입: 38도선 부근 교착 // 실정: 거창 양민 학살 사건(1951), 국민 방위군 사건(1951): 군수 물자 빼돌림. - 휴전 협정(1953.7.27), 한미 상호 방위 조약(1953.10) 피해: 사상자(150만), 국토 초토화, 남북 대립 격화 영향: 이승만 독재화 이용, 경제 발전 의지, 가족 촌락 의식 약화(대이동), 서구 문화 무분별 침투 - 전후 복구 사업: 우방의 원조, 국민적 참여 - 제네바 회담(1954): 한국 통일, 인도차이나 휴전 토의 | ||||||
대한민국 | 이승만(제1공화국) | 1948~1960 | 농지 개혁법(1949.6) 제정: 유상 매입(지가 증권), 유상 분배, 지주 중심의 개혁과 6.25... 6.25전쟁 이후 반공 위주, 자유 제약 - 발췌 개헌(1952.5): 대통령 직선제 - 사사오입 개헌(1954.11): 중임 제한 철폐 - 1956선거: 자유당 이승만(대통령), 민주당 장면(부통령) 당선 -> 위기의식 자유당의 신국가보안법(2.4파동) -> 진보당 사건(1958): 진보당 당수 조봉암 간첩혐의 처형, 경향신문 폐간 - 1960.3.15 부정선거, 김주열 사망 - 1960.4.19 혁명 -> 시위 군중 발포, 강제 진압 -> 반감, 시위확산 -> 이승만 사임,망명 경제 6.25이후 미국의 경제 원조: 원료 중심 -> 삼백 산업(제분, 제당, 섬유) 1950년대 후반: 지원품의 차관전환 -> 중소기업 파산 | |||||
대한민국 | 장면 내각(2) | 1960~1961 | 과도 정부(허정) - 내각 책임제, 양원제로 헌법 개정, 총선거 실시 -> 민주당 압승: 윤보선(대통령), 장면(국무총리) - 내부 갈등, 시위 지속, 미흡한 대처 - 경제 정책 추진: 국토 개발 사업, 경제 개발 5개년 수립 -> 1961.5.16 군사 정변 | |||||
대한민국 | 박정희(3) | 1963~1972 | 쿠바위기, 베트남 전쟁(냉전) -> 닉슨 독트린(1969): 공산국가에 융통성, 베트남 철수(1972) | - 1961.5.16 군사 정변: 무질서,혼란 구실 - 국가 재건 최고 회의 구성: 헌정 중단, 군정 실시 - 혁명 공약 제시: 반공, 사회안정, 정치 활동 정화법(구정치인의 활동 금지) - 복귀 약속 외면, 선거 출마(1963) -> 박정희 당선 정치: 대통령 중심제, 단원제 경제: 경제 성장 최우선 폐단: 자유억압, 민주주의 저해, 과도한 외채 - 한일 국교 정상화 -> 1964.6.3시위(대일 굴욕 외교 반대) -> 계엄령, 한일협정(1965): 한미일 협력 체제, 배상금의 경제 개발 자금 이용 - 베트남 파병(1965): 브라운 각서(미국의 보상 조치) - 3선 개헌 강행(1969): 여야 극대립 경제 제1,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섬유, 신발 등 경공업): 저임금 정책 |
- 남북 적십자 회담 제의(1971): 이산가족 찾기, 1972 회담, 최초의 협상 - 1972.7.4 남북 공동 성명: 3대원칙(자주통일, 평화통일, 민족적 대단결), 남북 조절 위원회 설치 합의 | |||
대한민국 | 유신 체제(4) | 1972~1979 | 국제 정서 변화 -> 국가 안보, 사회 질서 유지 이유로 유신 헌법 제정(권위주의, 장기 집권): 대통령 각선제, 국회 장악, 긴급 조치권 - 부마(부산 마산) 사태(1979.10): 대학생 시민들의 시위 - 1979.10.26사태: 박정희 대통령 피살 -> 계엄령, 통일 주체 국민 회의: 최규하 대통령 선출 -> 1979.12.12사태: 신군부(전두환, 노태우) 군권 장악, 정치권 장악 경제 제3,4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외국인 직접 투자 유치, 기업 특혜, 중화학 공업화): 철강, 조선, 기계, 전자, 비철금속, 석유 화학 등 발전 |
- 1973.6.23 선언: 남북 유엔 동시 가입 제의, 호혜 평등의 원칙하에 모든 국가에 문호 개방, 내정 불간섭, 남북 대화, 북한의 국제 기구 참여 합의 - 1974 평화 통일 3대 원칙: 남북 상호 불가침 협정 체결 제의(1974.1), 3대 원칙(평화 정착, 상호 신뢰 회복, 토착 인구 비례에 의한 남북한 자유 총선거 실시 통일) | ||||
대한민국 | 전두환(5) | 1981~1988 | 고르바초프(1980년대): 소련의 개방과 개혁 | 1979.12.12사태: 신군부(전두환, 노태우) 군권 장악, 정치권 장악 -> 1980.5.18 광주 민주화 운동 - 국가 보위 비상 대책 위원회 설치: 정치인의 활동 규제 - 8차 개헌: 7년 단임의 대통령 간접 선거제, 민주 정의당 창당, 전두환 대통령 선출(1981) 국정: 정의사회 구현, 복지 사회 건설, 경제 안정, 수출 증대 문제점: 언론 통폐합, 삼청 교육대, 각종 부정 비리 1987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 4.13 호헌 조치(장기 집권 의도) -> 1987.6월 민주 항쟁 유화책: 정치 규제자 단계적 해금, 해외 여행 자유화, 통행 금지 해제, 중고생 교복 자율화 |
- 최고 책임자 상호 방문 제의(1981.1) - 민족 화합 민주 통일 방안(1982.1.22) - 남북 이산가족 고향 방문(1985) - 1988.7.7선언 | |||
대한민국 | 노태우(6) | 1988~1993 | 독일의 통일(1990) | 1987.6월 민주 항쟁: 대통령 직선제 개헌 요구, 호헌 철폐, 독재 타도, 민주 헌법 쟁취 -> 1987.6.29선언(노태우): 대통령 직선제 개헌 - 9차 개헌(1987): 5년 단임 대통령 직선제 - 선거결과: 신군부 노태우 정부 수립 - 올림픽 개최, 지방 자치제의 부분적 실시 - 북방 정책 추진: 동구 공산주의 국가 및 소련, 중국과 외교, 국제연합(UN) 남북 가입 문제점: 부정 비리, 민주주의x |
- 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1989): 자주, 평화, 민주 - 소련과 국교(1990) // 독일의 통일(1990) - 국제연합(UN) 남북 동시 가입(1991) - 남북 기본 합의서 채택(1991): 남북한 상호 화해, 불가침 선언, 교류, 협력,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 - 중국과 국교(1992) | |||
대한민국 | 김영삼(6) | 1993~1998 | 세계 무역 기구(WTO, 1995) 출범 | - 금융 실명제, 지방 자치제 전면 실시 - 12.12사태 규정, 5.18민주화 운동 추모식, 노태우,전두환 구속 기소(1995) - OECD가입(1996) - IMF 지원(1997말) 경제 - 우루과이 라운드 협정(1994): 농업 타격 - IMF 관리 체제(1997) |
- 3단계 3대 기조 통일 정책(1993) // 제네바 기본 합의서(1994): 한반도 핵문제 - 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1994) // 김일성 사망(1994) - 정상 회담 무산, 남북 관계 냉각(1994) | |||
대한민국 | 김대중(6) | 1998~2003 | 적극적 햇볕 정책 추진 남북 정상 회담 -> 6.15 남북 공동 선언, 남북 경제 협력, 이산가족 상봉 |
- 김대중 정부 이후 관계 급진전(1998) - 6.15 남북 공동 선언(2000, 평양): 자주적 해결, 남측 연합제와 북측 연방제 사이 공통성 인정, 이산가족 방문단 교환과 비전향 장기수 문제 해결 노력, 경제 협력 교류 활성화, 대화의 계속 | ||||
대한민국 | 노무현(6) | 2003~2008 | ||||||
대한민국 | 이명박(6) | 2008~ |
'[사회·정치·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명박 쓰레기 정부 - 미국산 소고기와 광우병 (0) | 2011.01.12 |
---|---|
MBC PD 수첩은 아직 살아있나? (0) | 2011.01.12 |
조선 (0) | 2011.01.11 |
조선(개요) (0) | 2011.01.11 |
삼국시대 ~ 고려 (0) | 2011.01.11 |